수신료 가치는 어디에..흉흉한 KBS의 연말 [안윤지의 돋보기]

안윤지 기자 2023. 12. 31.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타뉴스 | 안윤지 기자]
MC 신동엽, 조이현, 주우재가 2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KBS 신관홀에서 진행된 '2023 KBS 연예대상' 레드카펫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3.12.23 /사진=김창현
아무래도 말로만 '수신료의 가치'를 실현하나 보다. 방송법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국가기관 방송, 즉 공영방송인 KBS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 개최한 가요 시상식, 갑작스럽게 폐지를 선언한 예능 프로그램, 대대적인 개편과 인사이동까지. 이 모든 게 근시일내에 몰아쳤다. 이러니 한 해의 정점을 찍는다는 연말 시상식도 엉망진창이 됐다. KBS는 올해 흉흉한 분위기로 마무리된다.

수신료 징수는 매년 KBS에서 언급되는 주요한 부분이다. 시청자들이 직접 KBS를 위해 수신료를 내는 만큼, KBS는 충분한 성과를 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상황이 계속되지 않았고 시청자들의 불만이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왔다. 이는 결국 수신료 분리 징수란 결과로 이어졌다. 올해 초 대통령실에서 언급된 수신료 분리 징수는 숱한 반대에도 7월 시행령이 떨어졌으며 김의철 전 KBS 사장과 관련한 해임안은 의결됐다.

이후 새롭게 취임한 박민 사장이 대대적으로 개편 및 인사이동을 진행하면서 KBS의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박민 사장 취임날, 여러 시사·경제 프로그램이 폐지됐으며 그중 가장 큰 화제성이 있던 KBS 1라디오 '주진우 라이브'가 주진우에 하차를 통보했다.

당시 주진우는 "한 간부는 방송 날 해고 통보는 비상식적인 일이고 예의가 아닌 줄 알지만 안 된다고 했다. 사장이 워낙 강경해서 어쩔 수 없다고 했다"라며 "'주진우 라이브'에는 내가 없다. 앞으로 '주진우 라이브'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을 듣지 못했다. 하지만 곧 사라질 운명"이라고 토로했다.

'홍김동전' 주우재, 우영, 김숙, 조세호, 홍진경이 2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KBS 신관홀에서 진행된 '2023 KBS 연예대상' 레드카펫에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3.12.23 /사진=김창현
이 외에도 화제성이 좋았던 예능 프로그램 '홍김동전', '옥탑방의 문제아들'의 폐지를 결정했다. KBS는 폐지 이유를 정확하게 밝히진 않았지만, 시청률이 가장 큰 부분인 걸로 보인다. 두 프로그램 모두 저조한 시청률에 속했으나 현 미디어 상황을 살펴본다면 시청률은 프로그램 향방을 결정짓는 부분에서 큰 요소로 자리 잡지 않는다. 휴대폰 이용 시간이 늘어나고 TV 보단 유튜브를 더 선호하고, 긴 호흡 보단 짧은 호흡을 더 원하는 집단 사이에선 프로그램 화제성이 1순위다.

특히 '홍김동전'의 경우,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SNS 및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높은 화제성을 유지했으며 시청자의 충성도가 강했다. 충분히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결국 KBS는 '홍김동전'을 폐지하기에 이르렀다. 시청자들의 반대 청원도 듣지 않은 채 말이다. 그렇다 보니 '홍김동전' 멤버들은 큰 활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연예 대상에서 큰 이득을 얻지 못했으며 '2023 KBS 연예대상'은 '빅재미'는 없었다. 수상 이력과 관련, 일각에서는 '1박 2일' 팀이 대상을 받은 것 역시, 오랜 시간 프로그램을 유지해온 공을 치하하는 느낌이라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서 한 방송 관계자는 "'홍김동전' 폐지는 KBS의 패착으로도 볼 수 있다. KBS가 '개그콘서트' 부활을 공표한 이후 '홍김동전'을 폐지한다고 밝힌 것은 '홍길동전'이 거둔 성과를 전면으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그간 예능이 단순히 시청률 퍼센티지로 성적이 매겨졌는데 '홍김동전'은 OTT 플랫폼 범람 시대에 발맞추며 TV가 아닌 곳에서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상징했다. 이는 K-예능이 가야 할 노선이기도 했으나 역사 속으로 사라지면서 KBS의 몇 안 되는 예능 흥행작으로만 남게 된 모양새다"라고 평가했다.

현재 KBS 예능은 '슈퍼맨이 돌아왔다' '살림하는 남자들 시즌2' '불후의 명곡' '1박 2일' 등이 있다. 그나마 최근 '개그콘서트'가 부활하면서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바라본다면 KBS는 올해를 기점으로 세대교체에 실패했다.

/사진='KBS 연기대상', 'KBS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드라마도 이와 마찬가지다. 올해 KBS는 '순정복서', '가슴이 뛴다', '어쩌다 마주친, 그대', '오아시스', '두뇌공조', '혼례대첩', '고려 거란 전쟁' 등을 방영했다. 이 가운데 제대로 화제성과 시청률을 잡은 드라마는 올 하반기에 방영한 '고려 거란 전쟁' 하나다. 이 때문인지 별다른 대상 후보감이 없는 '2023 KBS 연기대상'의 주인공은 배우 최수종으로 좁혀져 가고 있다.

이번 연말 시상식에서 가장 심각한 건 가요 시상식이었다. KBS는 매년 '가요대축제'라는 이름으로 가요 시상식을 개최해왔다. 그러나 올해는 일본 개최설이 알려진 후 큰 비판을 받자, KBS는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로 타이틀을 걸었다. 이후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1부는 서울 영등포구 KBS홀 생방송, 2부는 일본 사이타마현 베루나돔 녹화본을 방영했다. 일본에서 진행한 공연의 티켓값은 1일권 지정석 2만 2000엔(한화 약 20만 원)이다. 그 어떤 이유를 가져와도 KBS가 일본에서 연말 시상식을 진행했다는 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 행동이다. 아직도 국가 간 해결되지 못한 역사가 있으며 국민들의 분노가 남아있다. 공영방송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수신료를 받으며 콘텐츠를 제작하는 KBS가 '돈' 하나만 쫓다가 모든 걸 놓쳐버렸다.

앞선 상황을 보고 있노라면 지상파 중에서도 정통성이 강한 KBS가 왜 이렇게 변했냐는 질문이 절로 나온다. 그엔 이렇게 답할 수 있겠다. 하루아침에 프로그램이 폐지됐고 출연자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또 갑작스럽게 직원들의 위치가 바뀌고 국민 청원에 의견을 내도 어떠한 답이 들려오지 않는다. 그들의 무자비함이 수신료의 가치를 잃게 했고 어딘지 모르고 걸어가는 길은 시청자들에게 외면만 받을 뿐이다.

안윤지 기자 zizirong@mtstarnews.com

Copyright © 스타뉴스 & starnewskore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