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에 주도권 뺏긴 5G 전철 밟지 않게 정부가 6G 지원을”

이해인 기자 2023. 12. 30. 03: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의 ‘뉴 엔진’ 3부]
전문가들 “인프라 준비해야”

전문가들은 미래 시장인 6G(6세대 이동통신)에서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기술로 평가되는 5G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효율화, 정부 차원의 지원, 킬러 콘텐츠·서비스 발굴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국은 2019년 5G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는 타이틀은 얻었지만 이후 세계 시장 주도권은 기술력과 자본력을 앞세운 중국이 차지했다.

한국통신학회장인 홍인기 경희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기지국이나 통신 설비 자체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6G 기술의 성공적 확산에 필요한 과제”라며 “인공지능(AI)을 6G에 접목해 통신 효율을 높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삼성전자도 6G에서 통신 효율성을 중요 요소로 보고 AI를 활용해 통신 거리를 늘리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5G포럼 집행위원장을 지낸 김동구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는 “새로 나온 기술이 확산하려면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범부처 차원의 기구를 발족해 6G 기술이 나오자마자 각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미리 판을 깔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통신 업계에선 기지국이나 중계기 설치 같은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투자비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송철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대외협력실장은 “통신사들의 투자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도 반드시 적기에 이뤄져야 한다”며 “특히 중국 화웨이는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입어 성장한 만큼 한국도 든든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3G에서 4G로 넘어갈 때 스마트폰이 등장했고 모바일에서 유튜브 등을 통한 영상 콘텐츠 시장이 함께 성장한 것처럼 6G만의 디바이스와 콘텐츠·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다. 장경희 인하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일반 이용자 입장에선 5G의 기술을 체감할 만한 킬러 콘텐츠나 앱이 없었고, 산업적인 측면에서는 완전한 의미의 자율 주행차, 스마트 공장, 스마트 시티 같은 산업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했기 때문에 5G의 필요성이 주목받지 못했다”며 “6G 시대는 소비자나 산업 측면에서 6G의 기술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는 영역이 함께 등장해야 통신 기술과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