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름진 손으로 초등 과정부터 차근차근…꿈 이뤄낸 '87세'

손기준 기자 2023. 12. 29. 20: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든일곱 살의 나이에 대학 신입생이 된 할머니 한 분이 있습니다.

[김금자 할머니 : 배울 수 있다는 거는 아예 생각을 못하죠. 우선 먹고 살아야 하는데 무슨 배워요.]

[김금자 할머니 (지난 2020년) : (초등학교까지 졸업하신 거니까 목표가 혹시 있으시면.) 건강이 허락하는 한은 글쎄 전문대라도 가보는 것도 소원인데.]

[김금자 할머니 : '내가 학교, 대학을 갈 수 있을까?' 하는 거. 흥분도 되고 설레기도 하고 그러지.]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여든일곱 살의 나이에 대학 신입생이 된 할머니 한 분이 있습니다. 어린 시절 하지 못했던 공부를 초등학교 과정부터 차근차근히 배워나가 마침내 대학 입학이라는 꿈을 이룬 겁니다.

손기준 기자입니다.

<기자>

필기구를 잡은 주름진 손으로 한 글자씩 또박또박 종이에 써 내려갑니다.

누구에게는 쉬운 영어 문장일 수 있지만, 1936년생, 만 87세 김금자 할머니에겐 한없이 소중한 문장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부모를 잃은 김 할머니에게 남은 피붙이는 오빠뿐.

하루하루 살아가기조차 어려웠습니다.

[김금자 할머니 : 배울 수 있다는 거는 아예 생각을 못하죠. 우선 먹고 살아야 하는데 무슨 배워요.]

어렵사리 남편과 만나 다섯 아이를 키웠지만, 배움에 대한 갈망은 꺼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지난 2020년 초졸 검정고시에 합격한 데 이어,

[김금자 할머니 (지난 2020년) : (초등학교까지 졸업하신 거니까 목표가 혹시 있으시면.) 건강이 허락하는 한은 글쎄 전문대라도 가보는 것도 소원인데….]

이듬해에는 학력인증시설을 다니며 중졸 검정고시도 통과했습니다.

집에서 대중교통으로 왕복 3시간이 넘는 거리를 통학했지만, 김 할머니의 공부 열정을 막을 순 없었습니다.

[김금자 할머니 : 힘든지도 몰랐어요. 힘든지도 모르고 신나게 다니는 거지. 이제 글씨 하나만 이렇게 봐도 눈에 들어오는 게 이게 신기하고.]

끝내 스스로 소원이라고 말했던 전문대 두 곳에 합격하며 김 할머니는 늦깎이 신입생이 됐습니다.

[김금자 할머니 : '내가 학교, 대학을 갈 수 있을까?' 하는 거. 흥분도 되고 설레기도 하고 그러지.]

김 할머니의 배움은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김금자 할머니 : 안 배웠을 때하고 배웠을 때하고 이게 세상 보는 눈이 달라지더라고요. 세상이 옛날엔 깜깜했다면, 지금은 환하게 조금 보이는 것 같아.]

(영상취재 : 강동철, 영상편집 : 최혜란)

손기준 기자 standard@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