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라미드 지을 때도 마신 맥주…한국에서 가장 인기인 건? [기술자]
몇 해 전 영국 출신의 스타 셰프 고든 램지(Gordon Ramsay)가 오비맥주의 카스 모델로 발탁됐을 때 온라인에서는 “자본주의에 패배한 스타 셰프”, “맥주 맛이 아니라 돈 맛”, “아 형마저 결국” 등 재밌는 반응이 쏟아졌습니다. 국산 맥주가 맛이 없다는 인식 때문이었죠.
오비맥주 측에 물어보니, 당시 카스 브랜드 관계자들도 시장 반응에 대해 무척 재미있게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랬던 소비자들의 반응과 달리 한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맥주가 진짜 카스라는 점, 알고 계셨나요? 어쩌면 램지가 한국 시장을 정확히 봤는지도 모릅니다.
맥주가 기원전 6000~4000년경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처음 만들어졌다는 이야기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수메르인들이 곡물로 거친 빵을 만들어낸 뒤 더 맛있게 먹을 방법을 고안해내다가 마시는 빵 ‘시카루(Sikaru)’를 만들어냈다는 이야기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요.
빵가루와 맥아를 물에 넣고 한 대 섞은 뒤 발효했다는 이 음료는 지금의 맥주와 달리 곡물 찌꺼기 등 침전물이 많았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잔에 빨대를 꽂아놓고 위쪽에 있는 맑은 부분만 즐긴 것으로 전해집니다. 맛을 더 내고자 벌꿀 등을 첨가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혹시 유럽 여행을 다녀오셨다면 현지에서 ‘수도원 맥주’를 드셔보신 적 있으신지요? 그리스인, 로마인들을 통해 유럽에도 전파된 맥주는 중세 시대 수도사의 건강을 위해 수도원에서 흔히 빚어냈다고 합니다. 사순절 금식 기간에 먹을 수 있는 음식이 굉장히 제한적이었기 때문이죠.
기록에 따르면 금식하는 40일 동안 달걀이나 고기, 빵, 유제품 등을 먹을 수 없었다고 합니다. 생선이나 채소류 등 극히 제한적인 식사만 가능했는데 그마저도 오후 3시 이전에는 먹을 수 없었습니다. 어휴, 물고기와 풀만 먹고 산다니요. 맨정신으로 가능할까요?
중세 시대에는 뮌헨에서 로마로 가는 길이 오늘날처럼 간편하지 않았습니다. 변질을 막고자 알코올 도수가 높은 맥주를 보내고, 또 교황에게 보내는 만큼 좋은 재료를 썼더라도 긴 시간 때문에 당연히 변질될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냉장고가 있던 시기도 아니니까요.
맥주가 로마에 도착할 시점에는 이미 크게 변질돼 끔찍한 맛이 났을 것으로 사학자들은 추정합니다. 악마도 “아, 이건 좀”이라고 할 만큼 이상한 맛은 아니었을까요? 실제로 교황은 맥주를 맛본 뒤 “이걸 마시는 건 자신에 대한 희생”이라며 음주를 허락했다고 합니다.
유럽 등지에서 인기를 끌었던 맥주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 고종 20년인 1883년께로 추정됩니다. 제물포항에 외국 선박 출입이 허용되면서 맥주가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데 한성순보의 1883년 12월 20일 기록을 보면 맥줏값의 10%를 세금으로 내게 했다고 합니다.
이후 일제 강점기에 접어든 뒤 일본 맥주 회사들이 이 땅에 출장소를 내면서 수입량이 조금씩 늘었고, 1933년에는 경기도 시흥군 영등포읍(지금의 영등포)에 ‘조선맥주주식회사’가 설립됐습니다. 이 회사가 바로 지난 2005년 ‘진로’와 한 식구가 된 ‘하이트 맥주’입니다.
1300여년 전 독일 바바리안(Bavarian) 지역에서 처음 발견한 이 제조법은 효모를 저온(8~12도)에서 일정 기간(25~30일) 발효하는 식입니다. 톡 쏘는 탄산과 특유의 씁쓸한 뒷맛이 라거 맥주의 특징인데 대형 냉장 설비가 꼭 필요해 주로 대기업이 만들어냅니다.
오비맥주의 ‘카스’와 ‘한맥’, 하이트진로의 ‘테라’와 ‘켈리’가 모두 라거에 속합니다. 청량감이 특징인지라 온도가 미지근하면 본연의 맛을 제대로 느끼기 어렵습니다. ‘페일 라거(Pale Lager)’가 가장 대표적인 제조 공법이고, ‘보크(Bock)’나 ‘필스너(Pilsner)’도 이에 속합니다.
또 여느 술이 그렇듯 음식과의 궁합도 이유로 꼽히는데요. 한식 제조에 여러 향신료가 두루 쓰이는 만큼 가장 무난하고, 얌전한 맥주를 선호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실제로 램지 같은 셰프 중에서는 음식과의 조화를 중요하게 여겨 라거를 선호하는 이들이 많다고 합니다.
여러 맥주 중 국내에서 가장 인기인 건 바로 카스입니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카스는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국내 맥주 가정시장에서 42.0%의 압도적인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유흥·외식시장까지 고려하면 카스의 점유율이 과반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나는 아무리 마셔봐도 카스는 별로던데?” 하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술도 음식이니만큼 정답은 없습니다. 결국 각자의 입맛에 가장 맛있는 게 최고가 아닐까요? 다음 주 <기술자> 코너에서는 라거 외 맥주 종류와 더 상세한 제조법, 그리고 최근 한국 시장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참고문헌 및 자료>
ㅇ술 잡학사전, 클레어 버더(Clare Burder), 문예출판사, 2018
ㅇ맥주 만드는 사람들, 윌리엄 보스트윅(William Bostwick), 글항아리, 2020
ㅇ비어 마스터 클래스, 오비맥주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굿바이 나의 아저씨”...故 이선균 발인, 전혜진 오열 속 영면 - 매일경제
- 봉준호·아이유·하정우…이선균의 마지막길 함께 한 동료들 - 매일경제
- “뼈 빠지게 일했는데”…50대초중반 직장인 절반 ‘이것’ 때문에 ‘불안’ - 매일경제
- “설마 트레이더스서 샀는데 짝퉁일까?”…몽클레르 패딩 2종 전격 회수 “가품 의심” - 매일경
- 비행기 탈때마다 만졌는데 ‘경악’…승무원이 알려줬다, 변기보다 더러운 곳은 - 매일경제
- “54세 아줌마의 인생 2막 축하합니다”…서울시 공무원 합격자에 당당히 이름 올려 - 매일경제
- 6천원이던 주가가 7만4천원까지…올해 유일한 ‘꿈의 10루타’ 종목은 - 매일경제
- "복잡한 유언장은 가라"… 재산 물려줘야 하는데 난감하다면 - 매일경제
- 현대차 14만원에 철수…재현된 러시아 ‘몰수의 추억’ [핫이슈] - 매일경제
- ‘손흥민 5호 도움’ 로메로 공백 컸던 토트넘, 브라이튼 원정서 0-4→2-4 추격 끝 패배→3연승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