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me on the endless family feud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 재계는 가족간 송사와 갈등으로 시끄럽다.
2대 혹은 3대에 걸쳐 물려 받은 경영권 및 재산을 놓고 형제ㆍ남매가, 혹은 부부가 법정 안팎에서 다툰다.
형제간 다툼에 사모펀드(PEF)가 끼어들고, 남매간 다툼도 늘고 있으며, 평가액 조(兆) 단위의 주식이 재산분할 대상이냐를 두고 겨루는 이혼소송도 등장했다.
자산 170조원의, 재계 4위 대기업에서 벌어진 상속재산 다툼의 내막이 전세계에 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PARK SU-RYEONThe author is head of the IT industry news department at the JoongAng Ilbo. The business community has been in an uproar due to family disputes and conflicts. Siblings and couples sue one another over management rights and wealth inherited over two or three generations.
This is not the first time. Only a handful of major conglomerates did not go through the “brotherly conflicts” in the succession process after the founder. Whenever the management is passed from the founder to the next generation, the discord repeats, and they engage in a fierce media war.
Lately, a dramatic element has been added to their scandals. Private equity funds are involved in sibling disputes and brother-sister disputes are increasing. A divorce lawsuit also involves stocks valued at trillions of won.
Either way, it is a battle that ordinary people cannot imagine or sympathize with. Nevertheless, the public’s interest is great because the future of large corporations, which contribute to employment and GDP, is at stake. In particular, if the family members of a listed company compete for stakes, the stock price fluctuates regardless of the actual value of the company. Individual shareholders suffer as a result. Nevertheless, the public is not surprised, as similar discords have repeated for generations in many large corporations.
Unlike Koreans who have grown insensitive to the disputes, these wars seem strange and exotic to the eyes of non-Koreans. The New York Times on Dec. 18 reported on the LG Group family dispute. The inheritance battle of the fourth largest company in Korea with an asset of 170 trillion won ($131.8 billion) was broadcast around the world.
The episode of the controversial conversation between current Chairman Koo Kwang-mo and the spouse and two daughters of the late former chairman Koo Bon-moo was described as a scene from a novel or a movie. Many readers had a bitter laugh when reading the cold views of the global investors cited in the article and the follow-up article, titled “Chaebol Families Dominate South Korea’s Economy.”
Major Korean companies operating around the world are global companies. As the world has changed, many point out that the heads should not be used as a background for the president’s visit to a traditional market and instead focus on competing with their global rivals. People hope for sustainable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rather than the success of the administration.
However, some companies haven’t gotten out of the management rights succession and inheritance disputes. While the dirty gossip is spreading, the pioneering spirits of the founders and the legacy of the predecessors are long lost. As long as their family scandals repeat themselves, their demand to lower one of the world’s highest inheritance tax rates — up to 60 percent of the inherited assets when the premium for the biggest shareholder is applied — will remain up in the air. Ordinary people’s prediction that they will repeat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is reasonable enough. Am I wrong?
한국 대기업들의 패밀리 스캔들 박수련 산업부장
요즘 재계는 가족간 송사와 갈등으로 시끄럽다. 2대 혹은 3대에 걸쳐 물려 받은 경영권 및 재산을 놓고 형제ㆍ남매가, 혹은 부부가 법정 안팎에서 다툰다.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주요 대기업집단 중 창업주 이후 대물림 과정에서 ‘형제의 난’을 겪지 않은 곳은 손에 꼽을 정도다. 창업주 다음 세대로 넘어갈 때마다 갈등은 반복됐고, 여론전도 치열했다. 최근들어 이들의 스캔들엔 극적인 요소가 추가됐다. 형제간 다툼에 사모펀드(PEF)가 끼어들고, 남매간 다툼도 늘고 있으며, 평가액 조(兆) 단위의 주식이 재산분할 대상이냐를 두고 겨루는 이혼소송도 등장했다.
어느 쪽이든 보통사람들은 상상도, 공감도 잘 안 되는 다툼이다. 그럼에도 고용이나 GDP(국내총생산)에 기여도가 큰 대기업의 미래가 달린 일이라, 대중의 관심은 크다. 특히, 상장사 총수 일가가 지분확보 경쟁이라도 벌이면 회사의 실제 가치와 무관하게 주가는 널뛰고, 개미 주주들은 피해를 본다. 그럼에도 여러 대기업에서 여러 대에 걸쳐 이런 갈등이 되풀이되니, 여론은 ‘이번에도 그러려니’ 한다.
이렇게 무뎌진 국내와 달리, 한국 밖에서는 이들의 전쟁을 신기하고 이국적으로 보는 듯하다. 그들 눈엔 '해외토픽감'이다. 지난 18일 미국 뉴욕타임스에 소개된, LG그룹 총수일가의 소송이 그렇다. 자산 170조원의, 재계 4위 대기업에서 벌어진 상속재산 다툼의 내막이 전세계에 중계됐다. 총수인 구광모 회장과 고(故) 구본무 선대 회장의 배우자 및 두딸이 주고받은 논란의 대화까지 포함된 에피소드는 마치 소설이나 영화의 한 장면처럼 묘사됐다. 기사에 인용된 글로벌 투자자들의 싸늘한 평가와, ‘한국경제를 지배하는 재벌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이라는 이 매체의 부속기사를 보며 쓴웃음을 지은 사람이 어디 한둘이었을까.
세계를 무대로 뛰는 한국 대기업들은 이미 글로벌 기업이다. 치열한 경쟁에 대비해야 할 총수들을 대통령이 ‘떡볶이 병풍’으로 세워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올 만큼 세상은 달라졌다. 정권의 성공보다 우리경제의 지속성장을 더 바라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부 대기업들은 여전히 경영권 승계와 상속 갈등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막장극에 가까운 가십이 퍼지는 사이 창업주의 도전정신이나 선대회장의 유지는 국민기억에서 사라진지 오래다. 그들만의 패밀리 스캔들이 반복되는 한, 세계 최고수준의 상속세율(최대주주 할증 적용시, 상속 재산의 60%)을 낮추자는 재계의 주장은 허공에 맴돌 것이다. ‘계속 이럴 텐데’라는 보통 사람들의 예단은 충분히 합리적이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TS asks military community app to stop using BTS, its members' names
- Seoul abandons failed measure to ease downtown's bus stop chaos
- K-pop stars criticized for drinking coffee from 'pro-Israel' Starbucks
- 'Single's Inferno' gets viewers worked up, in anger, during season three
- Entertainment figures slam police and press for actor Lee Sun-kyun's death
- [SHOWCASE] Rookie band All(H)ours hopes to be the next Stray Kids, Seventeen
- Nude model Ha Young-eun bares all with her first book
- Oil prices rebound, as Middle East remains unstable
- Child rapist Cho Doo-soon defies curfew, sent back home
- Riize's Seunghan to 'indefinitely' halt activities due to controversial p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