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특별해” 달고 사는 데다 X세대에 치여… 밀레니얼 결혼 늦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베이비붐 세대나 X세대에 익숙해질 무렵 밀레니얼 세대가 등장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등장한 알파 세대와 Z세대를 묶어 '잘파 세대'라고 부른다.
사일런트 세대(1925~1945), 베이비붐 세대(1946~1964), X세대(1965~1979), 밀레니얼 세대(1980~1994), Z세대(1995~2012), 알파 세대(2013~2029)다.
베이비붐 세대보다 기술을 잘 다루지만 부모가 된 이후 틱톡 같은 플랫폼에 빠져 사는 Z세대 자녀들을 보면 당혹감을 느끼는 '낀 세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사·문화 중심으로 美 인구 분류
베이비붐 세대, 다수로 큰 영향력
X세대, 틱톡 쓰는 자녀에 당혹감
Z·알파 세대, 디지털 시대 당연시
베이비붐 세대나 X세대에 익숙해질 무렵 밀레니얼 세대가 등장했다. Z세대라는 말이 나오더니 밀레니얼과 Z를 묶은 ‘MZ세대’가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등장한 알파 세대와 Z세대를 묶어 ‘잘파 세대’라고 부른다. 비슷한 연배라고 하나로 뭉뚱그리는 일에 마뜩잖은 이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한 세대는 어느 정도 동질적 성향을 갖는다는 데 동의할 터다.
책은 미국인 3900만명을 대상으로 가족관계, 직장, 정신건강, 정치, 경제정책, 마케팅 등 24개의 데이터를 수십 년간 분석하고, 출생 연도에 따라 현재 미국 인구를 6세대로 나눠 특성을 설명한다. 사일런트 세대(1925~1945), 베이비붐 세대(1946~1964), X세대(1965~1979), 밀레니얼 세대(1980~1994), Z세대(1995~2012), 알파 세대(2013~2029)다.
일반적으로 세대를 가르는 기준은 굵직한 역사적 사건이라 보는 이들이 많다. 1·2차 세계대전, 대공황, 9·11테러, 2008년 금융위기, 코로나19 등이다. 저자는 여기에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 기술혁신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사일런트 세대는 세계대전을 주도한 이전 세대에 견줘 자기 의견을 적극적으로 내지 않는 조용한 이들이다. 먹고사는 문제가 가장 중요했고, 전후 미국 발전의 기반을 닦았다.
베이비붐 세대는 2차 세계대전 참전군인들이 귀환한 뒤 태어난 ‘인구 폭탄’ 세대다. 그 수가 워낙 많아 정치, 산업,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대 세대다. 성평등을 향한 투쟁과 성차별이 공존하던 세대이기도 하다.
X세대는 컴퓨터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개발되던 시점에 성인이 됐다. 그래서 기술적으로 급변하는 사회를 겪은 세대로 풀이한다. 베이비붐 세대보다 기술을 잘 다루지만 부모가 된 이후 틱톡 같은 플랫폼에 빠져 사는 Z세대 자녀들을 보면 당혹감을 느끼는 ‘낀 세대’다.
밀레니얼 세대를 설명하는 대목이 인상 깊다. 저자는 “태어날 때부터 일상적으로 ‘나는 특별하다’라는 생각을 주입하며 사는 세대”로 풀이했다. 낮아지는 출생률로 부모의 지원을 한 몸에 받으며 4년제 대학 학위를 가장 많이 받은 세대다.
그러나 성인이 되고 나서는 X세대의 벽에 번번이 막힌다. 연애, 결혼, 출산까지 그 전 세대와 비교해 늦은 이유다. 특유의 개인주의적인 성향은 집단에 대한 거부감으로 이어져 정치적 무관심, 탈종교적 성향도 강하다.
Z세대를 가장 잘 설명하는 단어는 ‘코로나19’다. 학교에 가지 않고 온라인 학습을 했고,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SNS)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만큼 온라인상에서 사회적 교류를 더 많이 한다.
10년 전 출생한 알파 세대는 그보다 더하다. 태어날 때부터 태블릿PC를 손에 쥐고 일상을 보낸 만큼 SNS와 디지털 세상을 생활의 일부로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책은 세대의 특징을 설명하는 데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이후 펼쳐질 미래에 대한 예측이 다소 빈약한 점이 아쉽다. 미국의 시각에서 본 터라 한국과 사정이 다른 점도 참작해야 한다. 예컨대 인종 갈등이나 종교 갈등 등은 한국에서 보기 드문 사례들이다. 가족의 미래를 다루는 부분에서는 ‘2008년 2.1명이었던 합계출산율이 2020년 1.64명을 기록했다’며 우려 섞인 눈길을 보내는데, 출산율 바닥을 찍고 있는 우리에게는 더욱 심각한 문제이기도 하다.
세대 구분 기준이라든가 세대별 특성, 각종 통계 자료를 활용한 객관적인 분석이 돋보인다. 우리에게 적용하기는 어렵지만 세대 갈등이 두드러지는 한국 사례를 고려하며 읽어 봄 직하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승연 “최민수와 사고 쳐서 낳은 딸”… 모녀 인연 공개
- 이선균 협박한 20대 여성, 아기 안고 구속심사 출석
- ‘대장암 시한부 선고’ 오은영 “수술실 가며 아이 이름 불렀다”
- 바닥엔 피가 철철… 로봇이 집게발로 엔지니어 찔렀다
- 화마 속 두 딸 살린 아빠 ‘환한 미소’ 남기고 떠나다
- 전쟁 중에 반나체 파티?… 러시아 유명인사들 여론 뭇매
- “잘생긴 아기 당나귀 느낌”…장나라, ‘6세연하’ 남편 얼굴 깜짝 공개
- 홍대서 마네킹 속옷 벗기고 성행위 동작한 남성들 ‘충격’
- 김구라 ‘12세 연하’ 아내와 셋째 계획 질문에 내놓은 대답
- ○○○도 게이였대… 수천 년 이어진 비밀스러운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