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 기록에 '전두환'을 '전○○'으로…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른바 '서울의 봄' 전후 시기의 남북대화 사료를 통일부가 공개했습니다.
이 사료는 정부 공식 기록물로 대화 내용을 그대로 싣는 게 일반적인데, 당시 이걸 기록한 사람은 전두환이라는 이름조차 제대로 쓰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남북대화 사료집에는 북한의 성명이 그대로 실리면서도 '전두환' 이름 대신 '전OO'이라는 표기가 등장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른바 '서울의 봄' 전후 시기의 남북대화 사료를 통일부가 공개했습니다. 이 사료는 정부 공식 기록물로 대화 내용을 그대로 싣는 게 일반적인데, 당시 이걸 기록한 사람은 전두환이라는 이름조차 제대로 쓰지 못했습니다.
왜 그런 건지, 안정식 북한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1981년 1월 전두환 당시 대통령이 남북 간 최고책임자 상호 방문을 제의했습니다.
[전두환 (당시 대통령, 1981년 1월) : 남북한 당국의 최고책임자가 번갈아 상호 방문할 것을 엄숙히 제의하는 바입니다.]
북한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성명을 통해 제안을 거부하면서 광주에서의 학살 행위 등을 거론했는데 전 씨를 살인의 괴수, 민족의 백정 등으로 맹비난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남북대화 사료집에는 북한의 성명이 그대로 실리면서도 '전두환' 이름 대신 '전OO'이라는 표기가 등장했습니다.
남북대화 사료집은 남북대화의 역사를 기록하는 정부 공식기록물로 원문 그대로 싣는 게 일반적인데 전 씨에 대한 욕설을 이름과 같이 쓸 경우 혹시라도 생길 피해를 우려해 이름을 생략한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전두환 정권과 신군부 위세가 어떠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북한은 12·12 쿠데타 전후 대화를 제의하는 등 평화공세를 펼쳤지만,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압 등을 거쳐 신군부가 권력을 장악하자 강경 태도로 돌아섰습니다.
이런 내용이 담긴 남북대화사료집을 통일부가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구병삼/통일부 대변인 : 이번 공개를 통해 우리 사회 격변의 시기였던 1979년부터 1981년까지의 남북 간 접촉-대화의 실상, 우리 정부의 회담 제의 노력 등을 생생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개된 남북회담문서 원문은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와 국회도서관 등에서 열람할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최대웅, 영상편집 : 김병직)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cs7922@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술 시키곤 "저희 미성년자예요"…자영업자만 '한숨'
- '평균 44세 비정치인' 한동훈 비대위…'노인 비하' 논란도
- 고속도로 12km '아찔' 역주행 사고…올해만 10건, 막을 방법 없나
- '이선균 사망 책임론' 해명 나선 경찰…'협박' 여성 구속
- 부서진 차에 몸 끼어 빗물로 버텼다…6일 만에 구조 '기적'
- "탈옥해 보복하겠다"…'부산 돌려차기남', 협박으로 또 재판행
- 편의점서 쇠망치 휘두르고 줄행랑…"죽여버리겠다" 협박도
- 20억 들인 모노레일, 하루 쓰고 5년 뒤 '철거' 결말
- "벽에 밀고 집게발로 찔러"…테슬라 공장서 사람 공격한 로봇 [자막뉴스]
- [자막뉴스] 아내가 죽을 뻔 했는데…"유튜브 촬영하려고" 답변에 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