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피 빨려가며 연구…한국의 '빈대 공주'가 영웅 됐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살충제에 내성을 가진 빈대 퇴치법을 찾아낸 김주현 서울대 의대 열대의학교실 교수(사진)의 연구 성과가 미국 유력 언론의 조명을 받으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흡혈 곤충의 대모(Godmother)가 한국의 빈대 퇴치 전략을 수립했다'란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수십 년 만의 최악 빈대 확산 속에서 김 교수의 연구 성과가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주현 서울대 교수 WSJ서 조명
살충제에 내성을 가진 빈대 퇴치법을 찾아낸 김주현 서울대 의대 열대의학교실 교수(사진)의 연구 성과가 미국 유력 언론의 조명을 받으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김 교수는 장기간 흡혈 곤충 연구에 매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흡혈 곤충의 대모(Godmother)가 한국의 빈대 퇴치 전략을 수립했다’란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수십 년 만의 최악 빈대 확산 속에서 김 교수의 연구 성과가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2020년 논문에서 국내에서 발견된 일부 빈대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혀냈다. 최근에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지닌 빈대를 퇴치할 수 있는 대체 살충제 성분 두 가지를 확인해 미국 위생곤충학회지에 발표했다.
김 교수의 연구 결과는 최근 외국에 이어 국내 곳곳에서 빈대가 출몰하면서 관심을 받고 있다. 김 교수는 환경부의 의뢰를 받아 국내 빈대 퇴치에 가장 효과적인 살충제를 찾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WSJ는 “(김 교수의) 부모님이 처음에는 딸의 선택을 걱정했지만 이제 그 딸은 국가적 영웅이 됐다”고 전했다. 김 교수의 박사과정 지도교수인 이시혁 서울대 응용생물화학부 교수는 WSJ와의 인터뷰에서 “김 교수가 흡혈 곤충의 대모가 될 운명이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미국에서 박사후 연구과정을 통해 연구를 계속했다. 미국에서 그를 지도한 존 마셜 클라크 매사추세츠애머스트대 교수는 그를 ‘빈대 공주(bedbug princess)’라고 부르기도 했다.
김 교수는 연구를 위해 실험실에서 키우는 이나 빈대에게 직접 피를 내주기도 했다. 보통은 적십자로부터 수혈용으로 쓸 수 없는 혈액을 기증받아 흡혈 곤충들의 먹이를 충당하지만 모자랄 때도 있기 때문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경 창간 60주년 구독신청 사은품 보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초저가에 대박난 '이 서비스'…5년간 방문자 5800만명
- "한국에 공 들이더니 결국"…벤츠 제치고 1위 등극한 수입차
- '이효리도 반했다'…테팔의 거액 양도 제안 거절한 회사 [강경주의 IT카페]
- 새해 서울에서 가장 먼저 팔린 아파트는?…'3억원대' 이곳
- "아이 낳을 생각 접었습니다"…악몽이 된 신혼희망타운
- 이재명 피습범 "삼국지 갖다 달라"…유치장서 독서 삼매경
- [단독] 이동국 부부 '사기미수' 소송, 취하 없었다…"추가 증거 제출"
- "H.O.T.가 뭐죠?" 수능 최초 만점자, 의대 안 간 이후 근황
- '이선균 협박' 20대 女 알고보니…유흥업소 실장 해킹범이었다
- 아내 추모하며 학교에 1억 기부한 남편…"4억 더 기부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