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긴 장면은 슬프고, 슬픈 장면은 웃기다…핀란드 로맨스의 이상한 매력

2023. 12. 28. 17: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씨네마틱 유로버스
칸영화제 수상작 '사랑은 낙엽을 타고'
해고 당하고 술에 빠져 사는 남자
집과 아르바이트를 오가는 여자
우연히 만나 '삶의 의미' 돌아봐
아키 카우리스마키 감독의
아웃사이더 향한 애정 돋보여

아키 카우리스마키 감독은 여전히 국내에서 지명도가 높다. 세계적인 감독이기도 하고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1989)에 등장하는 ‘김무쓰’ 헤어스타일의 핀란드 록 밴드 멤버가 남긴 인상이 큰 까닭이다. 카우리스마키는 ‘죄와 벌’(1983)로 감독 데뷔했는데 연출자 경력이 40년이 된 지금도 동년배 감독보다 비교적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그의 최신작 ‘사랑은 낙엽을 타고’(2023)는 올해 칸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서 심사위원상을 받았다.

제목에서처럼 러브스토리를 다룬 이 영화의 주인공 커플은 안사(알마 포이스트)와 홀라파(주시 바타넨)다. 이들 삶은 나뭇가지에 걸린 마지막 잎새처럼 쓸쓸하고 아슬아슬하다.

홀라파는 술이 유일한 낙인데 공사장에서 일하다 숨겨놓은 술을 적발당하는 바람에 잘렸다. 기분도 더러운데 술이나 마셔야지, 는 아니고 공사장 동료와 함께 술도 마시고,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출 수 있는 펍에 갔다가 안사와 합석한 후 그녀가 눈에 들어왔다. 그래서 안사와 홀라파는 연인이 돼 사랑을 나누느냐? 카우리스마키는 마이구미처럼 달짝지근하고 말랑말랑한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 아니다. 첫 번째 데이트에서 영화를 보고 홀라파는 안사에게 연락처를 받았는데 그만 주머니에서 라이터를 찾다가 쪽지를 흘려 더는 만남을 이어갈 수 없게 됐다.

신이 도왔는지 두 번째 만남의 기회를 얻게 된 두 사람. 감정이라고 읽을 수 없는 무표정의 홀라파가 오랜만에 혹은 극적으로 만난 안사를 향해 보고 싶었다고, 내 신발 좀 보라고, 당신을 얼마나 찾아다녔는지 이렇게 닳았다고 말하는 걸 듣고 있으면 쪽지를 잃어버린 실수에도 미워할 수가 없다. 카우리스마키 영화의 매력이 이런 거다. 뭘 해도 실수투성이인 주인공,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돌아오는 건 해고 통보뿐인 캐릭터라고 해도 감독은 그들이 지닌 매력을 어떻게든 세상에 꺼내보게 한다. 심지어 그들을 이 세상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존재로 만들어버린다.

그와 관련해 짐 자무시 감독은 “사회의 아웃사이더에게 갖는 카우리스마키의 애정을 좋아한다”고 하면서 “그중에서도 그의 영화가 주는 역설적인 상황, 즉 웃긴 장면은 슬프고, 슬픈 장면은 웃게 만드는 스타일이 좋다”고 평가한다.

안 그래도 카우리스마키가 ‘사랑은 낙엽을 타고’를 만들게 된 결정적 계기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이 있다. “무의미하고 불필요한 전쟁에 시달리던 중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영화에 대해 준비하기 시작했다. 사랑에 대한 갈망과 연대, 희망, 타인에 대한 존중, 삶과 죽음이 바로 그것이다.”

실제로 극 중 안사는 피곤한 몸을 이끌고 돌아온 집에서 라디오를 켠 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뉴스가 나오자 가차 없이 채널을 돌려 버린다. 그런 뉴스에 분노하는 대신 사랑과 연대 등과 같은 감정으로 이 세상이 좀 더 따뜻해지도록 하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그 실천의 결과가 홀라파와의 사랑이다. 홀라파와의 관계는 그가 쪽지를 잃어버려서, 너무 술을 많이 마셔서, 그리고 사고로 병원에 입원해서 등 끊어질 뻔한 위기를 여러 차례 맞는다. 그렇게 세상은 홀라파, 안사와 같은 이들을 속이고 괴롭힌다. 하지만 그들의 삶은 계속된다. 그 원동력은 포기하지 않는 사랑이다.

두 주인공이 첫 데이트에서 관람하는 영화는 짐 자무시의 좀비물 ‘데드 돈 다이’(2019)다. 홀라파와 안사는 서로를 향한 사랑이 없었다면 좀비 같은 존재였을 테다. 홀라파는 매일 술로 허송세월했을 테고, 안사는 집과 아르바이트를 오가는 단순한 생활로 삶의 의미를 찾지 못했을 테니. 사랑은 사랑하는 상대가 흠이 있어도 손을 내밀 수 있는 용기이자 희생이고, 결국 연대의 행위다.

세상이 소나기처럼 무수히 쏟아부은 고난과 난관을 극복한 이들에게 사랑은 개별의 정체성이다. 그래서 ‘사랑은 낙엽을 타고’는 시스템을 등지고 밝은 미래로 향하는 홀라파와 안사의 뒷모습으로 끝을 맺는다. 이 장면은 찰리 채플린의 영화 ‘모던 타임즈’(1936)를 떠올리게 한다. 영국 산업혁명 당시를 배경으로 공장 업무에 시달리는 떠돌이(찰리 채플린)와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된 소녀가 안사와 홀라파처럼 앞으로 나아가는 작품. 다시 말해, 카우리스마키는 자신만의 ‘모던 타임즈’를 만든 셈이다. 전쟁광이 날뛰고, 권력이 누군가를 짓눌러도 사랑으로, 연대로 지금보다 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자고.

허남웅 영화평론가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경 창간 60주년 구독신청 사은품 보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