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내년 상반기 만기 회사채 2조
PF 유동성 위기 확산 '초비상'
정부 진화나섰지만 업계 긴장
자금 조달시장 경색 가능성도
태영건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유동성 위기로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PF 문제가 건설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의 파급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자금 조달 시장이 경색될 가능성이 높고, 당장 내년 상반기 만기가 돌아오는 건설사 회사채만 2조원이 넘어 건설업계의 '초비상' 사태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올해 시장 최대 리스크로 손꼽혔던 부동산 PF 부실이 현실로 나타나면서 업계에서는 태영건설발 위기가 PF 부실의 본격화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부동산 호황기와 저금리로 단기간에 몸집을 부풀렸던 PF 시장은 급격한 금리 인상과 부동산 시장 침체 등에 위기를 겪어 왔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PF 대출잔액은 134조3000억원으로 3년새 40조원 이상 늘어났다.
하지만 고금리 기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동산 시장이 급격하게 침체기로 돌아섰고, 이에 따라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2020년 말 0.55% 수준이었던 연체율은 9월 말 기준 2.42%로 올라갔다. 연체 잔액은 3조원대에 달한다.
정부가 PF 부실에 대한 만기 연장 등을 지원했지만, 고금리 기조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정부의 지원책도 한계에 부딪혔다는 평가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호황기 당시 금융권과 건설업계 모두 사업장이나 조건을 제대로 평가하지도 않고 '무조건 된다'는 생각으로 무분별하게 대출을 일으켰다"며 "이후 상황이 급변하면서 미분양 우려에 사업은 진행되지 않고, 대출 금리는 오르는 악재가 겹치면서 한계를 맞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기사업 비율이 높고, PF 우발채무가 높았던 태영건설부터 위기가 현실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태영건설 외 우발채무 규모가 큰 것으로 평가받는 롯데건설과 동부건설, 코오롱글로벌, 신세계건설 등도 안심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이런 우려에도 금융당국은 다른 건설사나 금융권으로 위기가 전이될 가능성이 낮다고 강조하고 있다.
권대영 금융위 상임위원은 "태영건설은 도급 순위로 보면 상당히 큰 회사지만, 대한민국 전체 금융시스템으로 보면 큰 회사가 아니다"라며 "익스포저(위험 노출도)가 많이 흩어져 있어 문제 없다"고 말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모든 위험 요인을 관리하고 있다. 부총리가 새로 취임하면 건설사에 대한 지원대책도 마련해서 발표할 예정"이라며 "시장 불안심리를 관리하며 자금 지원과 PF 사업장의 정상화를 같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PF부실 우려가 큰 것으로 거론되는 다른 건설사나 제2금융권에 대해서도 현재 현금 보유고와 차환 능력이 충분한 것으로 봤다.
반면 금융권에서는 내년 상반기 만기가 예정된 건설사의 회사채부터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PF부실 본격화로 건설사의 신용이 하락하고 자금 조달 시장이 경색하면서 회사채가 건설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소로 보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안에 만기가 도래하는 주요 건설사(시공능력 상위 50위권)의 회사채 규모만 약 2조3700억원에 달한다. 특히 오는 2월 말까지 롯데건설·SK에코플랜트·한화·현대건설 등 주요 건설사들의 총 1조4200억원어치 회사채 만기가 도래해 연초가 고비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문제가 되는 건설사들의 부동산 PF는 아직 확정된 채무는 아니지만 부동산 경기 저하 등으로 사업이 성사되지 않아 돈을 갚지 못할 시 건설사 채무로 확정되는 '우발채무'인 반면, 회사채는 직접적인 채무로 분류된다.
서로 성격이 다른 채무지만 지금처럼 부동산 PF 리스크가 부각돼 건설업에 대한 투자 심리가 나빠지면 회사채를 차환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는다.
전문가들은 내년 건설업황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에서 외형 축소에 따른 현금흐름 저하, 금융환경 악화에 따른 자금 소요 등으로 건설사의 재무 부담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건설사들의 신용도 저하로 결국 회사채 시장에서의 자금 조달 비용을 키워 재무 부담을 가중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남석기자 kn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 꽃게 우리가 먹겠소"…이탈리아 `푸른 꽃게`, 결국 들어왔다
- 러시아 셀럽들 `반나체 파티` 발칵…"병사들 죽어가는데, 이 무슨 짓?"
- 문재인 "이선균 죽음 애도…후진적 수사 관행 돌아봐야"
- "나의 아저씨 사랑합니다"…이선균 비보에 보아 `울컥`
- 이선균 협박 수천만원 뜯은 20대女…아기 안고 영장심사
- 韓 "여야의정 제안 뒤집고 가상자산 뜬금 과세… 민주당 관성적 반대냐"
- [트럼프 2기 시동] 트럼프, 김정은과 협상할까… "트럼프 일방적 양보 안 할 것"
- 내년 세계성장률 3.2→3.0%… `트럼피즘` 美 0.4%p 상승
- `범현대 3세` 정기선 수석부회장, HD현대 방향성 주도한다
- "AI전환과 글로벌경쟁 가속… 힘 합쳐 도약 이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