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신청 태영건설… 재시행 기촉법 1호 기업

2023. 12. 28. 11: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8일 태영건설, 산업은행에 워크아웃 신청
14일 이내 ‘금융채권자협의회’ 소집 의무
은행, 상환 유예·이자감면 등 경영정상화 예정
[연합]

[헤럴드경제=홍승희·서정은 기자]태영건설이 28일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신청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만기에 직면해 유동성 문제를 겪고 있는 태영건설은 이날 오전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기업개선을 위한 자구계획서와 함께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산업은행은 채권은행에 채권단협의회를 구성할 것을 통보하고 구조조정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함에 따라 이달 초 제정된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이하 기촉법)이 재공포된 후 첫 적용 사례가 되게 됐다.

태영건설이 기촉법 첫 대상이 되면서 채권은행은 채무 조정·이자감면 등 경영 정상화에 직접 나선다. 태영건설은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을 포함해 5대 시중은행에 모두 7000억원대 빚을 지고 있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개시 여부가 결정되면 은행권은 채무조정뿐 아니라 신규자금을 투입하며 혹독한 구조조정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금융당국도 이날 오전 범정부 대응회의를 열며 대응책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 금융위원회는 11시 김주현 금융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산은·국토교통부와 함께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 관련 대응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선 태영건설 워크아웃 진행 및 금융 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적 대응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은 ‘금융채권자협의회’의 의결을 거쳐 개시하게 된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신청을 받은 날부터 14일 이내에 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협의회의 소집을 통보해야 하며, 이날 바로 통보키로 했다. 여기서 금융채권자 중 75% 이상의 찬성이 이뤄지면 워크아웃이 개시된다. 산업은행을 포함한 채권은행은 워크아웃 개시 이후 태영건설의 기업개선계획이 잘 이행되고 있는지 점검을 해야 한다.

태영건설은 경영 정상화를 위해 ▷임직원급여 삭감 ▷인력감축 ▷자산매각 등의 조정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워크아웃이 개시되면 협의회는 태영건설의 자산 및 부채를 실사하고, 기업개선을 위한 계획서를 제출 받는다. 기업개선계획에는 채무조정·신규신용공여·자구계획 등의 안이 포함돼야 한다.

이에 태영건설이 은행권에 지고 있는 7000억원 가량의 채권도 상환이 유예되거나 금리가 조정되는 등의 조치가 취해질 것으로 보인다. 태영건설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태영건설이 금융권에서 차입한 단기차입금 규모는 6608억원, 장기차입금 규모는 일반자금·시설자금·PF대출을 모두 포함해 1조494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국내 은행권으로부터 빌린 자금은 단기차입금 2250억원, 장기차입금 4693억원으로 총 7000억원이 넘는다.

단기차입금 부문에서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710억원)을 포함해 우리은행(720억원), 하나은행(450억원), 농협은행(320억원), 신한은행(200억원), 국민은행(100억원), 경남은행(50억원) 등이 이자율 5~8%대 수준에서 자금을 빌려줬으며, 장기차입금인 PF대출의 경우에도 국민은행(1500억원), 산업은행(1291억원), 중소기업은행(996억원), 경남은행(200억원) 등이 이자율 5~7%대의 자금을 투입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거래 은행별로 상환 유예, 만기 연장 등 지원 제도가 이미 갖춰져 있어 이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며 “금융당국이 정책금융기관 자금을 바탕으로 운영 중인 6조원 규모의 회사채 매입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시장금리 급등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금융권에선 태영건설의 PF우발채무에 대한 우려를 드러내고 있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지난 달 말 기준 태영건설과 연결사가 보유한 PF우발채무 규모는 총 2조9000억원이다. 한기평은 이 가운데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은 우발채무 규모를 약 1조원으로 평가하며 이달부터 내년 2월 사이 약 1900억원 규모의 만기가 돌아올 것으로 보고 있다.

유동성 확보를 하지 못한 태영건설이 우발채무 만기에 본격 맞닥뜨리면, 그 위기가 금융시스템 불안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그러나 지나친 불안 확산은 차단하고 나섰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지속된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 등에 따라 부동산 등 건설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해오고 있었고, 주요 건설사 상황도 지속적으로 점검해왔다”며 “워크아웃은 신청기업 뿐 아니라 금융회사, 협력업종 등에도 유리하며 경제 사회적 비용이 적게 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그동안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와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 이른바 F4(Finance 4)회의 등을 통해 점검해온만큼 리스크 관리, 시장안정을 위한 조치를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 신용평가사의 고위 관계자는 “유동성이 민감한 시기이기 때문에 워크아웃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채권은행의 신용등급에 끼치는 영향은 바로 조정되지 않고 미미하겠지만 본격적인 손실인식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가 지난 7월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기촉법 관련 법원행정처 의견에 대한 입장’에 따르면 워크아웃의 성공률은 34.1%에 해당하며 평균적으로 걸린 정상화 기간은 3.5년이다.

hss@heraldcorp.com

luck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