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t nuclear energy back on track (KOR)

2023. 12. 28. 10: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In the meantime, the status of nuclear power plants in the global economy has changed. Major countries that previously saw nuclear power through rose-tinted glasses have since turned to "active acceptance."

12월 27일은 13번째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원자력의 날)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No option other than nuclear energy can reduce Korea’s carbon emissions and meet its growing demand for electricity.

SOHN HAE-YONGThe author is the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Dec. 27 marks the 13th Nuclear Safety and Promotion Day, or Nuclear Power Day. It is the biggest festivity in the nuclear industry and celebrates the first export of Korean nuclear reactors to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in 2009. A ministry official attended the ceremony and awarded presidential and prime ministerial honors for distinguished service to the nuclear industry.

But they were not celebrated in the last administration, which strongly pushed for a nuclear phaseout. The 2017 event — the first to be held under the Moon Jae-in government — did not have presidential and prime ministerial honors, lowering the status of government rewards. Ministers and vice ministers who were scheduled to attend the event only distributed congratulatory messages and did not show up.

The neglect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Moon administration. The 2021 event was held on December 23, four days earlier than usual. The government claimed it had rescheduled due to the Christmas holiday. I was covering the event at the time. But I still cannot forget one industry representative’s complain. He said that the day for the promotion of nuclear power had become a day to give up on nuclear energy.

We’ve seen a painful five years of nuclear phaseout trapped in dogmatic ideology. While Korea is slowing down despite its reputation as the world’s best in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s, competitors like China and Russia are dominating the global reactor market.

In the meantime, the status of nuclear power plants in the global economy has changed. Major countries that previously saw nuclear power through rose-tinted glasses have since turned to “active acceptance.”

The European Union included nuclear energy in its environmentally friendly taxonomy, while France and Britain have declared that they will abandon their nuclear phaseouts. Sweden has resolved to build 10 nuclear plants by 2045. Japan has also removed restrictions on the lifespans of its nuclear plants, which will maximize their use for more than 60 years.

At the 28th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COP28) on Dec. 2, 22 countries declared that they would triple their nuclear power generation by 2050, compared to 2010, as carbon neutrality is an important task and the energy crisis is escalating. This is an opportunity for Korea to restore its ecosystem of nuclear power plants and increase their exports. Nevertheless, opposition parties continue holding the technology back.

Korea, a resource-poor country, has made the leap to become an economic powerhouse through industrialization thanks to its stable sources of nuclear power. No option other than nuclear energy can reduce Korea’s carbon emissions and meet its growing demand for electricity. But nuclear plants, following the Moon administration, became a sensitive political issue relying on factional logic.

Even Greta Thunberg, a world-renowned environmental activist, said that it would be a mistake to switch off active nuclear plants to focus on coal. If you rid yourself of the mindset that anti-nuclear groups are on our side and pro-nuclear groups are on the other, you will be able to find an answer as Thunberg’s.

진영논리에 휘둘린 '원자력의 날' 12월 27일손해용 경제부장

12월 27일은 13번째 ‘원자력 안전 및 진흥의 날’(원자력의 날)이다. 2009년 UAE에 한국형 원전을 수출한 것을 기념해 만든 원자력 업계 최대 잔칫날이다. 장차관급 인사가 기념행사에 참석해, 원전산업 유공자에게 대통령 및 국무총리 표창 등을 수여하며 그간의 노고를 치하한다.

하지만 ‘탈원전’을 추진하던 지난 정권에선 찬밥 신세를 면치 못했다. 문재인 정권에서 처음 열렸던 2017년 행사에선 대통령 및 국무총리 표창을 없애 정부 포상 격을 낮췄다. 장관급은 물론 당초 참석이 예정됐던 차관급 인사도 축사만 배포하고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홀대는 문 정권 말까지 이어졌다. 2021년 행사는 나흘 앞당긴 23일에 열렸다. 연말·크리스마스 연휴 등을 고려해 앞당겨 개최했다는 게 정부의 궁색한 변명이었다. 당시 취재기자이던 필자에게 “진영 논리 탓에 원자력 '진흥'을 위한 날이 원자력 '포기'를 위한 날로 변질한 것 같다”며 서글퍼하던 원전업계 대표의 하소연을 잊을 수 없다.

교조적 이념에 갇혀 5년간 자행됐던 탈원전 패착이 지금 와선 뼈아프다. 설계·건설·운영 모든 면에서 세계 최고로 인정받던 한국이 주춤하는 사이 중국·러시아 등 경쟁국이 세계 원전시장을 장악해 나가고 있어서다.

그새 세계 경제에서 원전의 위상은 달라졌다. 원전에 색안경을 끼던 주요국은 이제 ‘적극 수용’으로 방향을 틀었다. 유럽연합(EU)은 친환경 분류 체계인 ‘택소노미’에 원자력을 포함했고, 프랑스·영국은 탈원전 포기를 선언했다. 원전을 단계적으로 폐기하려던 스웨덴은 2045년까지 원전 10기를 짓겠다고 했다. 일본도 원전 수명 규제를 없애 60년 이상 활용을 극대화하기로 정책을 선회했다.

지난 2일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선 22개국이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량을 2010년 대비 3배 늘리기로 선언하기도 했다. 이는 탄소중립이 중요한 과제인 데다,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으로선 원전 생태계가 제자리를 찾고, K원전의 수출을 늘릴 기회다. 그런데도 국내선 야당을 중심으로 원전 발목잡기가 여전하다.

자원 빈국 한국이 산업화를 통해 경제강국으로 도약한 데는 원전이라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탄소 저감을 달성하고,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하려면 한국에선 원전 말고는 뾰족한 대안이 없다. 하지만 문 정권을 거치며 원전은 에너지 정책 이슈가 아닌, 진영 논리에 좌우되는 민감한 정치 아이템이 돼 버렸다.

세계적인 환경운동가인 그레타 툰베리조차 “이미 가동 중인 원전이 있다면, 석탄에 집중하기 위해 원전을 폐쇄하는 것은 실수”라고 했다. ‘탈원전은 우리 편, 친원전은 남의 편’이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면 툰베리처럼 현실적인 대안이 보일 것이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