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틀 안 바뀔 것” 예상에도… 韓배터리 ‘트럼프 변수’ 대비

권유정 기자 2023. 12. 28. 1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 국내 배터리 업계가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리스크(위험 요인)'에 대비하고 있다.

신 부회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분석하고 있다"면서도 "미국의 중국 견제라는 근본적인 흐름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언하는 전기차 전환 정책 폐기가 현실화하면 미국에 투자를 늘렸던 국내 기업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反친환경-전기차 공약 두고 갑론을박
대미 투자 늘린 기업들 IRA 불똥 우려
의석 확보·지역 여론 등 변수 지적도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 국내 배터리 업계가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리스크(위험 요인)’에 대비하고 있다. 공화당 유력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친환경 정책에 부정적이다.

28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최근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 LG화학 양극재 공장 착공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내년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경영 변수를 직접 언급했다. LG화학은 170만㎡(약 51만평) 부지에 2조원을 투자해 양극재 공장을 짓는다. 단일 공장 기준으로 북미 최대 규모다.

미국 공화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각) 아이오와주 워털루에서 유세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신 부회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분석하고 있다”면서도 “미국의 중국 견제라는 근본적인 흐름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전기차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고, 미국과 유럽 시장마저 뺏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어 이를 막겠다는 게 공화당과 민주당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배터리 업계 안팎에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사업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공들여온 친환경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언하는 전기차 전환 정책 폐기가 현실화하면 미국에 투자를 늘렸던 국내 기업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IRA를 완전히 폐기하진 못하더라도 보조금 액수가 줄거나, 전기차 전환 속도가 느려지면 배터리 업계의 수익성이 줄어들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 북미 생산공장 현황. /LG에너지솔루션 제공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IRA를 유의미한 수준으로 개편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신 부회장이 언급한 것처럼 미국 내에서 중국 견제라는 IRA 취지에 대해서는 이미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평가다. 공화당을 중심으로 법안 개정을 추진하더라도 상·하원의 민주당 비율을 고려하면 실제 안건이 의회를 통과하긴 어렵다는 관측이다.

IRA 혜택을 기대하고 진행된 투자 대부분이 공화당 강세 주(州)에서 이뤄졌다는 점도 변수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IRA에 따른 청정에너지 등 신규 사업 절반 이상인 58%는 공화당 하원 지역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IRA 시행 이후 국내 기업이 집중적으로 투자한 조지아, 인디애나, 애리조나 등은 모두 보수 성향이 강한 중, 남부 지역이다.

중장기적으로 미 완성차 산업의 전동화(전기차 전환) 추세를 거스르기 어렵다는 시각도 지배적이다. 최근 전기차 판매량이 둔화하고 있으나 탄소중립 목표에 맞춰 전기차 생산 비율을 늘리겠다는 업체들의 사업 방향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란 예상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2025년부터 국내 배터리 3사의 북미 연간 생산 규모는 428.5기가와트시(GWh)에 달할 전망이다. 1GWh당 전체 평균 설비투자(CAPEX)는 1300억원으로, 전체 CAPEX에서 설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40% 이상으로 알려졌다. 이를 바탕으로 한 배터리 3사의 2025년 기준 북미 지역 설비투자액은 55조7750억원으로 추정된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