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DJ정부 때 도입한 예타, 그 근본마저 흔들겠다는 巨野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국가 재정 지원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에 대해 미리 경제성을 평가하는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를 도입한 것은 1999년 김대중 정부 때였다.
제도 도입 후 지난해까지 975개 사업(약 477조원)에 시행한 예타가 절감한 재정은 350개 사업, 184조원에 달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 국가 재정 지원 300억원 이상인 신규 사업에 대해 미리 경제성을 평가하는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를 도입한 것은 1999년 김대중 정부 때였다. 무분별한 대형 사업 추진에 따른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서다. 제도 도입 후 지난해까지 975개 사업(약 477조원)에 시행한 예타가 절감한 재정은 350개 사업, 184조원에 달한다. 내년 정부 예산(638조원)의 3분의 1 가까운 규모다. 예타를 ‘재정의 문지기’라고 부르는 이유다.
하지만 최근 논란이 된 가덕도신공항 건설, 대구~광주 간 달빛철도건설 사업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경제성이 떨어지는데도 예타 면제를 밀어붙인 사례는 부지기수다. 예타를 통해 재정 건전성을 지키는 보루가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다. 그런데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그제 “기재부가 (예타를) 자신들의 권한을 남용하는 수단으로 활용한다”며 제도 개편 방침을 밝혔다고 한다. 민주당이 예타 개편을 들고나온 것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를 통과한 달빛철도건설 특별법에 대해 “신속 예타라도 거쳐야 한다”며 예타 면제에 반대하는 기재부의 벽에 막힌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홍 원내대표는 “경제사업과 비경제사업의 예타 운영이 달라야 하고, 수도권·비수도권의 적용 기준이 달라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정치적 비난일 뿐이다.
그리고 경제사업과 비경제사업은 지금도 경제성 외에 지역 균형발전, 정책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개정된 기재부의 예타 운용 지침을 보면 건설사업의 경우 비수도권은 경제성 30~45%, 정책성 25~40%, 지역 균형발전 30~40%의 평가 가중치를 주도록 하고 있다. 경제성 비중이 60~70%, 정책성이 30~40%인 수도권 사업과는 확연히 대비된다. 이런데도 예타 면제 대상을 대폭 확대하거나, 경제성 비중을 턱없이 줄여버리면 제도의 근간을 흔들게 된다. 그 결과 부실해진 재정은 미래세대의 부담이다.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경 창간 60주년 구독신청 사은품 보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서워서 땅만 보고 걸어"…일본 여행 온 관광객들 '화들짝' [여기잇슈]
- "年 10% 배당 따박따박"…연금족 '여기로' 몰린다
- "한국인들 지갑 열어라"…벤츠에 BMW까지 '칼 갈았다'
- "홍콩도 제쳤다"…시가총액 세계 4위 오른 '주식 강국' 어디?
- 단 하루 지내도 양육비 1000만원 준다…출산에 진심인 동네
- 이선균 한예종 동기의 부탁…"비난 미루고 최소한의 예의를"
- 박칼린 "심사 포기할래"…'미스트롯3' 참가자 수준, 어떻길래
- "칼로 살을 베는 느낌"…배우 신동욱이 앓고 있는 '이 병' [건강!톡]
- '파산' 배우 김혜선, 건보료 고액 체납자 명단에 올랐다
- "건강기능식품 믿을 게 못 되네"…기능성 허위표시 500건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