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호재의 왜들 그러시죠?] 영화 ‘서울의 봄‘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서울의 봄'이 지난 24일 천만 관객을 넘어섰다.
역대 개봉작으로는 31번째, 한국 영화 중에선 22번째로 천만 고지에 오른 작품이 됐다.
12‧12 군사반란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룬 영화가 천만 관객을 끌어냈다는 점은 좀 뜻밖이긴 하다.
영화 '서울의 봄'은 천만 관객들에게 12‧12 쿠데타에 대한 불편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힘 느끼게 한 2030세대 관심 …5‧18 폄훼‧왜곡 씻는 기회 될 수 있기를
[더팩트ㅣ광주=박호재 기자] 영화 ‘서울의 봄’이 지난 24일 천만 관객을 넘어섰다. 역대 개봉작으로는 31번째, 한국 영화 중에선 22번째로 천만 고지에 오른 작품이 됐다. 12‧12 군사반란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룬 영화가 천만 관객을 끌어냈다는 점은 좀 뜻밖이긴 하다.
배우 황정민과 정우성의 열연, 2030 세대의 쏠림이 만들어 낸 결과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플랫폼에서 재미와 간편함을 추구하는 세대로 알려진 MZ 세대가 역사적 진실이 담긴 영화에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하니 새삼 영화라는 장르의 힘이 느껴지기도 한다.
12‧12 쿠데타 5개월 후 5‧18이라는 학살 참극을 현장에서 겪은 광주 시민들은 '서울의 봄' 개봉 소식을 접하며 두 가지 성향으로 갈라섰었다. 영화를 ‘꼭 봐야 겠다’와 ‘불편할 것 같아 보고 싶지 않다’ 였다.
기자를 비롯해 당시에 대학을 함께 다녔던 지인들은 대부분 후자를 택했다. 그날 전두환 신군부의 정권찬탈 단초가 된 광주의 5‧18, 그리고 이후 수십여 년 질곡의 역사를 목격한 세대로서 영화를 보는 시간이 고문처럼 느껴질 것이라는 예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영화 속에서 전두광 역을 맡은 배우 황정민이 광주에 와 무대 인사를 하다가 눈물을 흘린 일화가 시민사회의 화제가 됐다. 황정민이 울컥한 이유는 영화관 광주 관객들이 들고 있던 손 팻말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팻말에는 "서울의 봄이 광주에 오길 43년 동안 기다렸습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팻말을 든 시민의 심정을 정확히 알 길은 없지만, 많은 국민들이 80년 광주의 진실을 알아주기를 긴 세월 동안 오매불망 기다려 왔다는 간절한 마음의 표현이었으리라 짐작해 볼 수 있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에 대한 폄훼와 왜곡이 그 후로도 오래도록 극우 세력들이 씌운 정치적 프레임으로 작동돼 왔기 때문이다. 국가폭력의 희생자였지만 오히려 불온한 시민으로 혐오의 대상이 돼야 했던 광주의 아픔은 오랜 세월 동안 역사 속에서 외면 받아 왔던 게 사실이기도 하다.
왜 하필 광주였을까? 광주가 신군부 세력의 타깃이 됐던 점은 오래도록 논란거리가 돼왔다. 그 중 한 가지는 일찌감치 전두환 신군부가 광주를 먹잇감으로 주목했다는 주장이다. 김대중과 그를 따르던 지지 세력을 내란음모 일당으로 몰아세우기 위해서는 광주라는 김대중의 정치적 근거지를 폭도들의 도시로 점찍어야 했다는 해석이다.
두 번째는 12‧12 쿠데타에 반발하는 광주의 저항이 유별나게 격렬해 광주를 철저하게 짓밟지 않고는 신군부 정권의 안위가 위태로울 수도 있다는 전략적 판단 때문이었다는 해석이 존재한다. 가혹한 폭력으로 광주를 진압해 그 어떤 세력도 저항의 엄두를 낼 수 없도록 철권통치의 본보기로 삼았다는 얘기다.
신군부 쿠데타 세력의 전략은 유효했다. 그 후 정국은 쥐죽은 듯 침묵했고, 12‧12 군사반란을 이끌었던 전두환이 내란죄 수괴로 법정에 서기까지 15년의 세월이 흘러야 했다.
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거장 이창동 감독은 영화의 힘에 대해 이렇게 언급했다. .
"영화는 다른 매체보다도 다른 인간에게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있다. 인류가 영화매체의 이 상징적인 힘을 사라지게 할 이유는 없다. 제 영화가 불편하다는 관객도 많다. 메시지가 어렵더라도 관객에게 좀 더 많은 질문을 남기고 각각이 공유할 수 있는 보편적 질문으로 확장되기를 바란다"
영화 '서울의 봄'은 천만 관객들에게 12‧12 쿠데타에 대한 불편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 질문이 보편적 질문으로 확장되는 공유의 과정을 통해 80년 광주를 바라보는 폄훼와 왜곡이 씻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orthetrue@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마약 혐의' 이선균 숨진 채 발견…경찰 "강압수사 없었다" (종합2보·영상)
- "칼잡이 아집이 왜 우리 언어가 되나"…이준석, 국민의힘 탈당(전문)
- '총선 불출마' 승부수 던진 한동훈, 차별화 아닌 내부 결집?
- [2023 영화 결산] 천만 영화 두 편→흥행 참패한 여름·명절…극과 극 기록들
- [2023 OTT 결산] '더글로리'·'무빙' 파죽지세…토종 OTT 끈기
- [2023 가요 결산] 이런 기록 또 나올까…#600만 장 #99일 1위
- [2023 금융CEO②] 진옥동 신한 회장, '리딩 탈환'보다 '내실 성장' 집중
- 유튜브 떠난 오뚜기 장녀 함연지…'경영 참여' 본격화되나 [TF초점]
- 이화영, 수원지검 검사 탄핵 청원…검 "회유·협박 사실무근"
- 집값 계속 떨어지나…'대장 아파트'마저 가격 '뚝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