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주가 20% 급락 `한지붕 식구` SBS는 10% ↑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작업)설이 불거진 태영건설 주가가 27일 20% 가까이 급락했다.
반면 태영건설과 '한지붕 식구'인 SBS는 주가가 10% 이상 오르며 상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앞서 태영건설 부도설과 함께 SBS 매각 가능성이 제기된 직후에도 SBS 주가는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며 지난 14~15일 2거래일간 큰 폭으로 상승해 변동성 완화장치(VI)가 발동되기도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 작업)설이 불거진 태영건설 주가가 27일 20% 가까이 급락했다. 반면 태영건설과 '한지붕 식구'인 SBS는 주가가 10% 이상 오르며 상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태영건설은 전거래일 대비 585원(19.57%) 내린 2405원에 장을 마쳤다. 태영건설우도 25.21% 폭락한 3145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주회사 티와이홀딩스와 티와이홀딩스우도 각각 7.11%, 12.41% 하락했다.
이날 태영건설은 개장 직전 '워크아웃을 신청하기로 가닥을 잡고 이르면 이번 주 신청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에 대한 해명(미확정) 공시를 통해 "현재 경영 정상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9월 이후 줄곧 태영건설 관련 유동성 위기설이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하루동안 외국인과 기관은 태영건설 주식을 각각 7억7336만원, 3억7046만원어치 순매도 했다.
워크아웃은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을 근거로 채권단 75% 이상이 동의하면 채무 조정과 신규 자금 지원 등을 통해 부실기업의 경영 정상화를 이끄는 제도다.
최근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 등 신용평가사들도 과중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 부담이 지속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태영건설의 등급전망을 '부정적'(한기평) 및 '하향검토'(한신평)로 하향 조정하고 향후 등급 강등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한편 티와이홀딩스의 방송 자회사인 SBS 주가는 이날 전거래일 대비 2800원(10.05%) 상승했다.
SBS의 최대주주인 티와이홀딩스가 유동성 확보를 위해 핵심 자회사인 SBS 매각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다시 제기되면서다.
통상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재원 확보를 위해 자회사를 매각하는 경우가 많다. 앞서 티와이홀딩스는 태영건설의 자금 지원 총력을 위해 자회사 태영인더스트리도 매각한 바 있다.
티와이홀딩스는 지난 3분기 기준 SBS 지분 약 37%를 보유하고 있는데, 단순 지분가치는 1870억원 수준이다. 이날 종가 기준 SBS 시가총액은 20일 5686억원으로, 시장에선 다른 SBS 계열사가 함께 매물로 나올 경우 그 규모는 4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앞서 태영건설 부도설과 함께 SBS 매각 가능성이 제기된 직후에도 SBS 주가는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며 지난 14~15일 2거래일간 큰 폭으로 상승해 변동성 완화장치(VI)가 발동되기도 했다.신하연기자 summer@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또 아파트에 불…13층서 화재, 20대 남성 추락사
- 이선균 비보에 친구의 마지막 부탁 "최소한의 예의 보여달라"
- 조국, 이선균 사망에 "남 일 같지 않아. 분노가 치민다"
- `한동훈 X세대` 스타일, 여의도 점령할까…서태지부터 제로콜라까지
- `파산` 배우 김혜선 건보료 3000만원 체납…래퍼 도끼, 세금도 밀려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
- 트럼프 `미국 우선주의` 노골화하는데 싸움만 일삼는 정치권
- “실적·비전에 갈린다”…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표심 향방 ‘촉각’
- "내년 韓 경제 성장률 2.0% 전망… 수출 증가세 둔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