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이 서울대 책 대출 1위 오른 이유는
작년까지는 공정과 정의, 여성 등
사회적 문제 제기한 책들이 1위
올핸 '통계학' '음악의 원리' 등
최다 대출 5위 안에 전공서 3권
소설·교양서 읽는 대신 OTT 시청
취업난에 베스트셀러 부재도 영향
이공계열 필수 교양 수업 교재인 <미적분학 v.1>이 올 한 해 서울대 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빌려본 책’ 랭킹 1위에 올랐다. 인문 교양서나 소설이 아니라 전공 서적이 서울대 도서관 대출 1위 타이틀을 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뿐만 아니다. ‘대출 횟수 톱10’에 <음악의 원리> <일반통계학> <임파워먼트 실천 매뉴얼> 등 전공 서적이 4권이나 이름을 올렸다. 출판계는 유튜브, 넷플릭스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독서 인구가 줄어든 여파로 풀이한다. 교양·문학 책을 읽는 사람이 급감하면서 수업을 위해 꼭 챙겨야 하는 전공서 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졌다는 것이다. 올해 이렇다 할 베스트셀러가 없었던 점, 경기 둔화로 전공서적을 사는 게 부담스러워진 학생이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27일 서울대 중앙도서관에 따르면 <미적분학 v.1>은 올해 총 94회 대출되며 530만여 권의 장서 중 이용 빈도 1위에 올랐다. 대출 가능한 책이 5권뿐인 걸 감안하면 사실상 1년 내내 ‘대출 중’이었던 셈이다.
전공서들이 대출 횟수 최상위권에 포진한 건 과거에는 없던 일이다. 지금까지 서울대 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빌려 가는 책은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 교양서나 소설의 몫이었다. ‘공정한 사회’가 화두였던 지난 3년 동안 마이클 샌델의 <공정하다는 착각>과 <정의란 무엇인가>가 1위에 올랐고, 페미니즘이 이슈였던 2019년엔 조남주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가장 많은 사람의 손을 거쳤다.
하지만 올해 대출 톱10 중 인문·교양서는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와 샌델의 <공정하다는 착각>, 유발 하라리의 <호모데우스> 등 3권에 그쳤고, 소설은 한강의 <채식주의자>와 김호연의 <불편한 편의점> 2권이 전부였다. 인문·교양서 4권, 소설 6권이었던 작년에 비해 확 쪼그라들었다.
대학가의 독서 트렌드가 바뀐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취업난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인기도 그중 하나다. 학점 관리를 위해 전공 서적에 매달리는 학생이 늘면서 소설이 ‘값비싼’ 취미생활이 됐다는 것이다. 지난해 서울대에 입학한 박선우 씨(20)는 “다들 1학년부터 전공 수업을 챙기다 보니 소설 읽을 여유가 없다”며 “그나마 시간이 나면 OTT, 웹툰 등 빠르고 간단히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본다”고 했다.
코로나19 여파로 도서관을 찾는 사람 수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 서울대 도서관의 대출 건수는 28만7106회로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의 72%에 그쳤다. 분야별로는 교양서적과 소설을 찾는 이용자가 줄었고, 전공서를 찾는 이가 늘었다. 경영대 전공서 <임파워먼트 실천 매뉴얼> 대출 건수는 2019년 대비 1.5배 뛰었다. 출판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주머니가 얇아진 대학생에게 소설책보다 2~3배 비싼 전공책 구입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며 “서울대 도서관 대출 랭킹에 이런 현상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미적분학 v.1>이 1위에 오른 배경에는 학생들의 이공계 선호 현상이 자리잡고 있다.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는 자유전공 학부생과 이공계열 복수전공 희망자에게 이 책이 필독서여서다. 대학원 진학을 앞둔 정용규 씨(25)는 “<미적분학 v.1>은 이공계열에 진입하려면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수학 1·2’ 수업 주교재”라며 “컴퓨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 등을 복수전공으로 선택하려는 학생이 뒤늦게 빌려 보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출판업계에선 대학생들의 이런 도서관 이용 행태가 최근 두드러지는 실용주의적 독서 습관과 맞닿은 것으로 보고 있다. 느리게 쌓여나가는 교양 지식보다 눈앞의 시험을 대비한 책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는 얘기다. 한미화 출판평론가는 “전공서가 서울대 도서관 대출 순위 최상위권을 장악한 것은 ‘교양을 위한 독서’에서 ‘목적을 위한 독서’로 넘어갔다는 걸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백원근 책과사회연구소 대표는 “10~20년 전만 해도 많은 대학생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책이나 고전을 많이 읽었고, 이를 통해 ‘생각하는 힘’을 길렀다”며 “대학생들이 폭넓은 기초 교양을 쌓을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을 찾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안시욱 기자 siook95@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경 창간 60주년 구독신청 사은품 보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초저가에 대박난 '이 서비스'…5년간 방문자 5800만명
- "한국에 공 들이더니 결국"…벤츠 제치고 1위 등극한 수입차
- '이효리도 반했다'…테팔의 거액 양도 제안 거절한 회사 [강경주의 IT카페]
- 새해 서울에서 가장 먼저 팔린 아파트는?…'3억원대' 이곳
- "아이 낳을 생각 접었습니다"…악몽이 된 신혼희망타운
- [단독] 이동국 부부 '사기미수' 소송, 취하 없었다…"추가 증거 제출"
- '이선균 협박' 20대 女 알고보니…유흥업소 실장 해킹범이었다
- '상간남 피소' 강경준, '슈돌' 사실상 하차…"촬영 계획 없다" [공식]
- "한 달에 은행원 연봉의 4배 벌어요"…'300만 유튜버' 고백
- 아내 추모하며 학교에 1억 기부한 남편…"4억 더 기부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