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심장충격기' 설치만 늘리고 실효성 '논란'

윤현서 기자 2023. 12. 27. 16:2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년간 사용 건수 단 7차례
관리·홍보 부족 “실효성 없어”
市 “복지부 앱 등 활용 최선”
안양시청 로비에 자동심장충격기보관함이 설치되어 있다. 윤현서기자

 

안양시가 급성 심정지 환자를 위해 운영 중인 심장충격기(AED)가 관리와 홍보 부족 등으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시가 지역에 심장충격기 400여대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지만 10여년 동안 사용 횟수는 일곱 차례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27일 안양시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07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다중이용시설 등에 AED 설치를 의무화했다. AED는 정지한 심장에 고압전류를 보내 환자 생존율을 세 배가량 높일 수 있는 장비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2014년부터 주민의 왕래가 잦은 스포츠센터와 아파트와 주민복지센터 등 총 370여대의 AED를 설치했다.

시가 지난 2014년 AED를 구입한 사업비는 3억5천800여만원이며 지난 2021년부터 2년 동안 스마트 AED 보관함과 스마트 AED 구입비로 들어간 예산만 2억원이 넘는다.

그러나 홍보 부족으로 대다수 주민들이 AED가 어디에 설치됐는지 알지 못하는 데다 심정지 등 위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AED를 찾는 게 아니라 119 응급 신고를 하기 때문에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안양소방서와 병원, 민간업체 등이 운영하는 구급차의 AED 이용 건수는 1대당 연평균 400회가 넘는 반면 시가 설치한 AED의 사용 건수는 10년 동안 일곱 차례에 불과하다.

더욱이 기계적 오류와 젤 부족 등 문제를 알려주는 보관함이 없는 AED는 오류를 체크하지 못해 환자가 발생해도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시는 지난해 수천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스마트 자동심장충격기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스마트 보관함을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또 내년에는 2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스마트 보관함 8대를 추가 도입할 계획이다.

강익수 시의원은 “시가 심정지 등 응급 상황에 대비해 AED 설치를 늘리고 있지만 시민들은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AED가 어디에 설치돼 있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응급처치를 할 수 없다”며 “특히 시가 설치한 AED는 119 구급차에 비하면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어서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AED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사용하는 것이어서 현실적으로 사용률이 낮다”며 “시민들이 AED 설치 장소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복지부가 제작한 앱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홍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현서 기자 031@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