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고노 "고노담화, 당시 미야자와 총리도 위안부 강제성 있다 양해"

김예진 기자 2023. 12. 27. 12: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과 관여에 대해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河野)담화'의 고노 요헤이(河野洋平·86) 전 중의원(하원) 의장은, 1993년 고노담화가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한 경위를 밝혔다.

고노 전 의장은 고노담화가 만들어지기 전 "일본 정부 사람이 한국에 가서 당시 위안부였던 사람들에게 청취 조사를 했다. 이를 일부 사람들은 엉터리라던가 거짓말투성이라던가 말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노담화, 각의 결정 안했지만…내각 의사로서 관방이 말한것"
강제성 관련 군 자료 없으나…"군이 그런 공식문서 남길 리 없어"
[도쿄(일본)=AP/뉴시스]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과 관여에 대해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河野)담화'의 고노 요헤이(河野洋平·86) 전 중의원(하원) 의장은, 1993년 고노담화가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한 경위를 밝혔다. 당시 미야자와 기이치(宮沢喜一) 총리도 강제성이 있었다고 이해했다고 설명했다. 사진은 2015년 6월 9일 일본 도쿄 내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고노 전 의장이 기자회견을 가지고 있는 모습. 2023.12.27.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과 관여에 대해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河野)담화'의 고노 요헤이(河野洋平·86) 전 중의원(하원) 의장은, 1993년 고노담화가 위안부 강제연행을 인정한 경위를 밝혔다. 당시 미야자와 기이치(宮沢喜一) 총리도 강제성이 있었다고 이해했다고 설명했다.

27일 일본 중의원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고노 전 의장의 '구술기록'을 공개했다. 중의원은 의장과 부의장에 대해 인터뷰를 실시해 영구적으로 보전하는 구술기록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구술기록 첫 타자가 71대, 72대 중의원 의장을 지낸 고노 전 의장이다. 인터뷰는 2019년 10월~2022년 6월 총 31회 실시됐다. 고노 전 의장은 이외에도 내각 관방장관, 외무상 등을 역임했다. 중의원 의장은 2029일 역대 최장 기간 재임했다.

특히 그의 구술 기록에서 주목할 점은 고노담화에 대한 부분이다.

고노 전 의장은 고노담화가 만들어지기 전 "일본 정부 사람이 한국에 가서 당시 위안부였던 사람들에게 청취 조사를 했다. 이를 일부 사람들은 엉터리라던가 거짓말투성이라던가 말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이제 40년 이상 지나 기억이 애매한 부분이 있지만 발언 내용은 심증으로서 명백하게 강제적으로 하게 됐다는 식으로 (당시) 미야자와 총리도 생각했다. 그런 의미에서 강제가 있었다는 것으로 '괜찮습니다'로 됐다"고 설명했다.

고노담화를 미야자와 전 총리의 이해를 얻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노담화가 "관방장관 담화이지 내각의 의사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서 "확실히 무라야마(村山) 담화와 달리 각의(국무회의)에서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방장관이 공식 기자회견에서 공식적으로 발언했다면 내각 일체가 원칙은 아니어도 그게 내각 의사로서 관방장관이 말하는 게 된다"고 강조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고노 전 의장은 관방장관으로서 임했던 고노담화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강제연행에 대한 인식과 관련 질문을 받고 "그런 사실이 있었다고. (해도) 괜찮다(맞다)"고 언급했다.

1995년 무라야마 담화는 일제의 침략전쟁으로 고통받은 아시아인에 대한 사과를 담았다. 고노 전 의장은 무라야마 담화에도 관여했다.

고노 전 의장은 "구체적으로 데려오라거나 끌고오라는 군의 자료는 남아있지 않지만, 군이 그런 공식 문서를 남길리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고노) 담화가 한국을 위한 것이라고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며 "태평양 전쟁 당시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에도 위안부는 있었다. 위안부 문제 전체에 대한 담화"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ci27@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