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김형진 교수팀, 낸드 플래시 메모리 기반 하드웨어 보안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하대는 전자공학과 김형진 교수팀이 낸드 플래시(NAND Flash) 메모리 기반 하드웨어 보안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김형진 교수는 "다양한 단말기의 통신 과정에서 필요한 높은 등급의 보안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선 낸드 플래시와 같은 대용량 메모리 반도체 기반의 물리적 복제 불가 함수 개발이 필수적"이라면서 "앞으로도 산업체 친화적인 연구개발을 지속해 실용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3대 반도체학회지 IEDM 게재
김 교수팀은 커패시터(Capacitor·축전기) 구조를 활용해 물리적 복제 불가 함수 기술을 개발했다.
물리적 복제 불가 함수는 반도체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산포 특성을 보안 인증과정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직렬 연결구조를 가져 각 소자의 불규칙성을 합산하기 어려웠지만 연구팀은 병렬 연결된 커패시터 구조를 활용해 기존의 단점을 보완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활용하는 국내 반도체 회사가 핵심 기술을 추가로 개발했을 때 발 빠른 적용과 기술 선점이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김형진 교수는 “다양한 단말기의 통신 과정에서 필요한 높은 등급의 보안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선 낸드 플래시와 같은 대용량 메모리 반도체 기반의 물리적 복제 불가 함수 개발이 필수적”이라면서 “앞으로도 산업체 친화적인 연구개발을 지속해 실용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 혁신을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국제전자소자학회(IEDM)에서 ‘물리적 복제 불가 함수 구현을 위한 낸드 플래시 구조 기반의 멤커패시터 크로스바 어레이(Memcapacitor Crossbar Array with Charge Trapping Layer for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in NAND Flash Architecture)’란 제목으로 발표됐다. IEDM은 VLSI, ISSCC와 함께 세계 3대 반도체 학회로 불린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PIM(Processing in memory)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기술개발 사업, 4단계 BK21 사업(ICT·미래자동차 융합 교육연구단)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집주인 너도 당해봐라”...76만 유튜버, 전세사기에 감행한 ‘보복’ - 매일경제
- [단독] 태영건설 워크아웃 가닥 이르면 이번주 신청할듯 - 매일경제
- 삼성전자, 돈 많이 번 상장사 3위로 밀렸다…1·2위는 도대체 어디? - 매일경제
- 10만 인파 몰릴 정도였는데...4년째 ‘이 행사’ 중지한 일본 - 매일경제
- “저금리 대출로 갈아탄 나 칭찬해”…이자 490억 아껴줬다는데 - 매일경제
- 내년 1월 1일부터 모든 외국인 비자 면제하는 ‘이 나라’ - 매일경제
- “어쩜 이렇게 기특한지”…10대 자매 심정지 이웃 구했다 - 매일경제
- 배터리로 자수성가해 삼성가와 어깨 나란히…‘1조 주식 부자’ 10위권 합류한 ‘이 남자’ 누구
- 매년 37만명 걸리는 ‘젊은 치매’ 안 당하려면…“15개를 조심하라” - 매일경제
- 이보미, 업적·말로 일본여자프로골프 시상식 2관왕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