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밑 CO₂ 저장소 찾기…‘역효과’ 우려 속 연구 시동
석유공사, 대학·기업 등과 협업
2026년까지 한반도 해역 탐사
포집·저장 기술 관련 규제 미비
환경단체 “오히려 생태계 파괴”
한국석유공사가 대학, 민간기업 등과 함께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이산화탄소(CO2) 저장소 발굴에 나선다.
이는 지구온난화의 주요인으로 꼽히는 CO2를 포집해 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추진을 위한 준비 과정이다. CCS는 CO2를 모아서 바닷속 지층에 매립하는 것이다. 탄소저감을 위한 기술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사업 추진 과정에서 더 많은 CO2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와서 종합적인 평가와 세밀한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석유공사는 26일 분야별 전문기술을 보유한 7개 기관 및 기업들과 함께 발굴 탐사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번 탐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전담하는 ‘한반도 권역별 종합 2D·3D 물리탐사 및 전산재처리를 통한 상용화급 대규모 CO2 저장소 확보’ 국책과제에 따른 것이다. 한양대가 주관연구기관으로 과제수행을 총괄하며, 석유공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공공부문과 서울대·연세대·인하대 등 학계, 슈퍼컴퓨팅 전문기업인 코코링크 등이 과제를 수행한다. SK어스온은 원유탐사 기술 역량을 활용해 CO2 저장소 선정기준을 수립한다.
이들은 2026년 12월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을 광범위하고 정밀하게 탐사해 CO2를 어느 지역에 얼마나 저장할 수 있는지를 평가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가 올해 3월 발표한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르면 CCS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2030년 연간 480만t에 이른다. 2050년 국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10억t 규모의 CO2 저장소가 필요한 상황이다.
석유공사는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내 대륙붕 중장기 개발 마스터 플랜인 ‘광개토 프로젝트’ 및 이번 국책과제와의 연계를 통해 국내 해역에서 CO2 저장소를 확보할 계획이다.
다만 환경단체에서는 CCS 추진 과정에서 오히려 더 많은 CO2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는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CCS 기술이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 대신 석유·천연가스 산업의 수명을 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IEEFA와 글로벌 CCS 협의체는 천연가스의 전주기 온실가스 배출량과 비교했을 때 생산 과정에서 포집할 수 있는 CO2는 소량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한 국내 환경단체 관계자는 “탐사 과정에서 무탄소 전력이 아닌 화석 연료를 사용해 시추하면서 더 큰 생태계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CCS 관련 규제의 부재도 지적됐다. 오동재 기후솔루션(SFOC) 연구원은 “매립은 한순간이지만 지층이 어긋나 CO2가 새어 나올 수 있어서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규제가 필요하다”며 “현재 탐사 장비와 파이프라인 설치, 매립 관련 관리체계 등 통합된 지침이 부재한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진주 기자 jinju@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프고 계속 커지는 켈로이드 흉터··· 구멍내고 얼리면 더 빨리 치료된다
- “남잔데 숙대 지원했다”···교수님이 재워주는 ‘숙면여대’ 대박 비결은
- [스경X이슈] 반성문 소용無, ‘3아웃’ 박상민도 집유인데 김호중은 실형··· ‘괘씸죄’ 통했다
- ‘해를 품은 달’ 배우 송재림 숨진 채 발견
- 윤 대통령 골프 라운딩 논란…“트럼프 외교 준비” 대 “그 시간에 공부를”
- ‘검찰개혁 선봉’ 박은정, 혁신당 탄핵추진위 사임···왜?
- 한동훈 대표와 가족 명의로 수백건…윤 대통령 부부 비판 글의 정체는?
- “그는 사실상 대통령이 아니다” 1인 시국선언한 장학사…교육청은 “법률 위반 검토”
- 3200억대 가상자산 투자리딩 사기조직 체포… 역대 최대 규모
- 머스크가 이끌 ‘정부효율부’는 무엇…정부 부처 아닌 자문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