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기 같던 시간 살아내려 안간힘 … 내 자신과 이야기 그대로 담아냈죠

김용출 2023. 12. 26. 20: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집 ‘투명한 것과 없는 것’ 펴낸 김이듬
팬데믹 때 이국서 마주한 삶 진실 그려
4년 만에 시 68편 모아서 신작 출간
해외서 만난 경험·사유·사람 담겨 있어
한국 사회 관한 인식·분석도 날카로워
2020년 전미·루시엔 스트릭 번역상
동시 석권… 해외서 韓 대표시인 부상
“남 보기엔 화려·근사해 보이겠지만
지난 4년 바닥 치며 괴로웠던 시절”

“양성 나왔습니다!” 하얀 가운을 입은 이가 긴 줄이 그어진 진단 키트를 그의 눈앞에 대고 흔들면서 사무적으로 말했다. 머릿속이 천천히 하얗게 변해 갔고, 모든 것은 배경으로 사라졌다. 대법원 결정 같은 판단 앞에 한 나약한 인간이 몸을 가늘게 떨고 있었다.

네덜란드 국제 시 축제에 이어서 독일 국제 시 축제까지 참여한 그는, 귀국을 앞두고 받은 진단검사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너무 무리했던 것일까. 축제 기간 한복을 입고 벽안의 사람들 앞에서 시를 낭송했다. 한국 시인의 대표로서 많은 한국 시인의 시도 소개한 그였다.
2020년 전미번역상을 수상하며 해외에서 한국의 대표 시인으로 부상한 김이듬이 4년 만에 신작 시집을 들고 돌아왔다. 그는 지난 4년은 “개인적으로 랜턴을 비추며 걸어 나온 그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서상배 선임기자
팬데믹(감염병 세계적 대유행)이 맹위를 떨치던 2022년 7월, 시인 김이듬은 독일 호텔에 열흘 동안 격리돼 있었다. 사람을 만날 수도, 여행을 할 수도 없었다. 귀국 일정을 늦추면서 적지 않은 추가 경비도 들었다. 식사는 배달 음식으로. 센 치료약을 먹을 때마다 정신도 왔다 갔다 했다. 일주일쯤 지나니 팔까지 말라 가는 것 같았다. 완벽한 고통.

수만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코드를 뽑지 않았던 냉장고, 익산시가 주최하는 작가 투어. 익산 미륵사지도 보고 싶었는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도 끊었다. 사람들은 이제 그가 어디 있는지도, 무엇을 하는지도 모를 것이었다. 절대적 고독. 세상에 있지만, 존재하지 않는 존재…. 그는 독일에서 유령처럼 존재하고 있었다.

이게 도대체 뭐야! 호텔의 창밖을 내려다보면서 노트북을 치기 시작했다. 시라도 없었으면 어쩔 뻔했을까. 시를 쓰고 또 썼다. 그 가운데 하나가 시 ‘너는 여기에 없었다’였다.

“혼자 옮길 수 있는 짐만 가지고 이동한다. 오늘은 한 달째 되는 날, 아무도 내가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 병자가 벙커에 있어도 하천에 버려졌어도 모르는 전쟁터 같다. 굳이 만나야 할 사람이 없다는 건 행운일까. 냉장고 코드를 뽑아놓고 올걸. 우편함에는 연체료 붙은 고지서들이 쌓여 있겠지. 익산에 가기로 한 날짜가 지나버렸다. 미안해요, 고의가 아니었어요. 아무도 관심 없지만 존재하고 있다. 병이 나으면 귀국하려고 비행기 티켓을 바꾸는 데만 천칠백 유로를 더 지불해야 했다. 굳이 돌아가야 할까, 가지 않으면 어디서 살 수 있는가, 나는 있었지만 존재하지 않았다. 곤경을 기회로 바꾸세요, 지껄이는 소리라도 듣고 싶다.”(‘너는 여기에 없었다’ 전문)
김이듬 시인이 팬데믹 시기 이국에서 마주한 삶의 누추한 진실을 그린 시편 ‘너는 여기에 없었다’를 비롯해 68편을 모은 신작 시집 ‘투명한 것과 없는 것’(문학동네·사진)을 들고 돌아왔다. 그의 8번째 시집으로, ‘마르지 않는 티셔츠를 입고’(현대문학) 이후 4년 만이다.

‘전미번역상’과 ‘루시엔 스트릭 번역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떠오른 김이듬이 팬데믹 기간 경험하고 사유한 세상과 실존은 어떤 모습일까. 그의 문학적 여로는 어디로 향해 가는 것일까. ‘문제적이고 불온한 작가’ 김 시인을 지난 21일 서울 용산 세계일보 사옥에서 만났다.

시집에서 우선 눈에 띄는 것은 해외에서 만난 다양한 경험이나 사유. 세계적이고, 글로벌하다. 해외에서 만난, 자신만의 색깔을 내는 수많은 사람이 담겨 있다. 시편 ‘도로시아’ 역시 가난하고 늙었지만 자신의 향기를 잃지 않는 노인들이….

“이 그림이 팔리면 맥주를 살게 우리는 루트비히성당 앞 광장에서 그림을 팔았다 광장에는 돌로 만든 탁구대가 있었고 탁구를 치려는 주민들로 붐볐다 플라타너스 열매가 떨어졌다 밤에는 탁구대에 빵과 커피, 싸구려 와인을 놓고 저녁을 먹었다/…끝이 좌절이기도 하다면 사랑이 완벽한 결합으로 완성된다는 말과 뭐가 다른가 사람들은 울부짖을 때 위선을 드러낸다/ 하지만 나의 지루한 경험이 말한다 모든 평범한 인간들도 위대한 순간이 있었다”(‘도로시아’ 부문)

―‘모든 평범한 인간들도 위대한 순간이 있었다’는 엘리엇의 문장으로 끝맺는 시인데, 세상의 모든 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는 데 성공한 것 같다.

“2022년 여름 독일 국제 시 축제 당시 일정이 비면 여행을 가거나 사람을 만나곤 했다. 그때 베를린자유대에서 만난 지인의 초대로 도로시아의 한 로컬 식당에서 식사를 했다. 이때 탁구대가 있는 성당 앞 광장이 보였는데, 거리의 악사와 그림을 파는 사람 등이 탁구를 치고 난리도 아니었다. 일정이 빈 날 다시 찾아갔다. 함께 그림을 파는 등 이들과 하루를 온전히 보냈다. 탁구대 위에 싸구려 와인 한 병을 올려놓고 이야기도 하고. 그때 독일에서 일기처럼 쓴 미발표 작품이다.”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과 분석 역시 날이 서 있다. ‘적도 될 수 없는 사이’는 한국 사회의 심각한 갈등 혐오 구조가 얼마나 가까운 이웃과 친구, 가족 속으로 파고들고 있는지를 고통스럽게 묘파한 시편이다.

“극장에서 나왔을 땐 이월이었다/ 저녁이었다/ 홍대 앞이었다/…밥을 주문하고는 대통령에 대해 얘기했다/ 서로를 어느 정도 안다고 생각했지만/ 낱낱이 보지 않고 대충 얼버무려 짐작했을 뿐/ 그사이 우리는 정치적 입장을 말해보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차이 때문에 서로를 죽이는 어리석은 어른처럼 굴었다/ 짜장면 소스에서 바퀴벌레 반쪽을 발견했다/ 한 그릇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찌그러진 양동이만한 마음의 검은 소스를 휘저어보면 컴컴한 심연 도처에 우글거리는/ 안에서 나는 끌려나왔다”(‘적도 될 수 없는 사이’ 전문)
―정치적 대립과 혐오가 어느새 우리 사회 구석구석 퍼진 모습을 시적으로 그렸는데.

“친구와 함께 본 영화는 ‘다음 소희’였다. 지난 2월 저녁, 친구와 함께 홍대 CGV에서 영화를 보고 나서 밥을 먹으면서 영화에 나온 콜센터 직원 이야기나 청소년 문제 등을 이야기했다. 그러다가 사회, 경제, 정치 문제로 확대됐다. 취향이 비슷하고 좀 안다고 생각해 정치 이야기까지 하게 됐지만, 정치적 입장은 너무나 달랐다. 대립적인 정치적 견해가 너무 무섭다는 것을 배웠다.”

―4년 만의 여덟 번째 시집, 어떤 의미나 특징이 있을까.

“개인적으로, 지난 4년은 바닥을 친 시기였다. 남 보기에는 해외에서 큰 상을 받고 책방도 해서 뭔가 화려하고 근사해 보이겠지만, 사실은 괴로웠던 시절이었다. 이전의 시집들은 좀 보여 주려거나 누군가에게 얘기하고 싶은 태도였다면, 이번 시집은 저와 이야기하려고 했던, 살아내려고 한 시집이다. 암흑기를 랜턴을 비추며 걸어 나왔던 시간 같다.”

1969년 진주에서 태어나서 부산에서 자란 김이듬은 2001년 ‘포에지’ 신인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했다. 이후 ‘별 모양의 얼룩’, ‘명랑하라 팜 파탈’, ‘말할 수 없는 애인’, ‘베를린, 달렘의 노래’, ‘히스테리아’ 등의 시집을 펴냈다. 시와세계작품상, 김달진창원문학상, 김춘수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특히 2020년 ‘히스테리아’ 영역판으로 전미번역상과 루시엔 스트릭 번역상을 동시에 거머쥐면서 해외에서 한국의 대표 시인으로 부상했다.

―전미번역상을 수상한 이후 사정이 좀 바뀌었는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축전과 꽃다발 보내 준 것 외에는 특별한 이벤트는 없었다. 그럼에도 마치 습자지에 먹이 번지듯, 시인들이 먼저 알아주더라. 축하해요, 큰 상 받으셨더라, 하고. 요즘에는 주변 동료나 선배, 후배들이 존중해 준다는 느낌을 받는다. 해외에서 열리는 시 축제 등에도 많이 초대 받았고.”

세상은 앞으로도 여전하겠지만, 시인 김이듬 역시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밤이 너무 깊거나 숨이 턱턱 막힐 땐 조용히 시의 영화관을 찾아갈 것이다. 종일 맨발로 ‘오토 릭샤’를 운전하며 일용할 양식을 구하는 ‘릭샤왈라’와 함께. 의자 깊은 곳에 가벼워진 몸을 구겨 넣고 시의 영화를 찬찬히 볼 것이다. 매일 저녁 영화관에서 뻔한 영화에도 울고 웃으며 다시 내일을 살아갈 에너지를 충전하는 릭샤왈라처럼. 어느 순간, 시의 영화관에서 릭샤 한 대가 갑자기 솟구치더니 세상 밖으로 질주를 시작한다. 긴 머리가 삐져나온 시의 릭샤는 한동안 한국과 인도 상공을 날다가 지구를 넘고 어느새 우주로, 우주로….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