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위장한 중국산까지···가품 없앤다던 알리, 여전히 '짝퉁천국'

이경운 기자 2023. 12. 26. 17: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직장인 이모씨는 최근 30만 원이 넘는 삼성전자 갤럭시워치 제품을 중국 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3만 원에 구매했다.

이씨는 "알리가 가품 유통을 근절하겠다고 해서 짝퉁은 살 수 없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며 "알리에 들어가서 삼성전자·갤럭시워치 등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여전히 가품이 널려 있다"고 귀띔했다.

특히 해당 검색어 차단에 국내 브랜드는 대다수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갤럭시워치' 같은 검색어로 상품을 찾으면 짝퉁이 모두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품 검색 차단해도 우회로 많아
'한국 카테고리'서 中제품 판매
'100억 투자 프로젝트' 유명무실
해외 판매자 규제·대응방안 전무
"보복 당할라" 피해 항의도 어려워
[서울경제]

직장인 이모씨는 최근 30만 원이 넘는 삼성전자 갤럭시워치 제품을 중국 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3만 원에 구매했다. 이씨는 “알리가 가품 유통을 근절하겠다고 해서 짝퉁은 살 수 없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며 “알리에 들어가서 삼성전자·갤럭시워치 등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여전히 가품이 널려 있다"고 귀띔했다.

알리를 통한 가품 유통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알리가 이달 6일 ‘지재권 보호 위해 100억 원 투자’ ‘짝퉁 의심 제품 신고시 100% 환불’ 등 관련 대책을 내놓았지만 20일이 지난 지금까지 개선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 알리가 국내 업체들과의 상생 방안으로 내놓은 ‘K-VENUE’의 경우 되레 중국산을 국산으로 위장시키는 창구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모바일 데이터 전문업체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 애플리케이션의 지난달 월간활성사용자수(MAU)는 707만 명을 기록했다. 쿠팡, 11번가에 이은 3위를 차지한 것이다. 1년 전 343만명과 비교하면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 테무의 경우에도 11월 353만 명으로 8월 51만 명 대비 사용자수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문제는 일부 소비자들이 가품을 찾고 있는 상황에서 짝퉁 유통이 플랫폼의 성장에 일정 부분 힘을 싣고 있다는 점이다. 이날 기준 알리 홈페이지에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패션부문, F&F 등 국내 기업 브랜드를 모방한 가품들이 별다른 제재 없이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30만원이 훌쩍 넘는 ‘갤럭시워치’ 시리즈를 모방한 상품이 3만원 안팎에 유통 중이다.

알리가 최근 가품 유통을 막겠다며 제시한 대책도 효과가 없는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최근 알리는 짝퉁 판매를 막기 위해 글로벌 브랜드명 검색을 금지했다. 하지만 우회로가 많아 유명무실하다. 예를 들어 ‘나이키’를 검색하면 제품이 뜨지 않지만 ‘남자 운동화’로 적용하면 노출되는 식이다. 특히 해당 검색어 차단에 국내 브랜드는 대다수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삼성전자’와 ‘갤럭시워치’ 같은 검색어로 상품을 찾으면 짝퉁이 모두 나온다.

K-VENUE의 경우 오히려 중국 제품을 한국산으로 위장 시키는 창구가 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K-VENUE는 중국산 직구에 특화된 알리가 한국 기업들에 오픈한 채널로 국내 제품을 예외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창구다. 하지만 해당 채널의 입점 조건은 ‘국내 기업’이 아니라 ‘국내 발송’이기 때문에 중국 로봇청소기 업체인 로보락이 유통 중이다. K-VENUE란 이름을 보고 한국 제품으로 오인해 중국 청소기를 살 수 있는 환경인 것이다. 이와 별도로 K-VENUE에 입점돼 있는 업체들의 검색어 차단도 중구난방으로 이뤄지고 있다. LG생활건강과 애경은 검색이 되지 않지만 깨끗한나라는 검색하면 제품이 제시된다.

상황이 이런데도 당국은 물론 업계도 대응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한국 이커머스 업체들은 짝퉁 상품 유통을 막기 위해 IP 보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알리는 시스템이 미흡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그렇다고 해서 중국 판매자를 규제할 방법도 없다. 기업 입장에서는 지재권 침해 피해를 보더라도 정식으로 항의하기가 힘들다. 자칫 잘못하면 더 큰 중국 시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제조사 입장에서는 짝퉁 피해를 언급하는 것조차 조심스러울 것”이라며 “중국 시장에서 보복을 당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경운 기자 cloud@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