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줄 길다고? 난 아닌데”…천억 자산가·고위공무원도 쓰는 ‘이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대면 진료 규제로 어려움을 겪는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 일각에서 컨시어지 서비스로 활로를 찾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방안이 비대면 진료 업계가 원하는 만큼 국내에서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호탄처럼 느껴지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비대면 진료 가능 범위가 넓어지기는 했지만 약 배송 문제가 빠지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는 여전히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의료 서비스 등 차별화
비대면 진료, 추가 규제 완화 요구도
26일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에 따르면 컨시어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사업 모델이 주목받는 상황이다.
라이프시맨틱스는 멤버십 형태로 운영하는 프리미엄 의료 컨시어지 서비스 ‘에트레’로 수익 확대를 노리고 있다. 에트레는 자택에서 출발하는 시점부터 진료를 마치고 복귀하는 순간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서비스다. 주요 고객은 고소득자를 대상으로 한다. 멤버십 비용은 연간 수천만원대에 이른다.
병원 이동 중 이용하게 되는 ‘벤츠 스프린터’ 내부는 고급 호텔과 같은 환경으로 조성돼 있다. 최고급 어메니티 키트도 갖췄다. 진료를 위해 이동할 때는 대통령 의전비서관실 출신 전문가인 ‘프로토콜 매니저’가 전체 진료 일정과 절차를 안내한다. 상급병원 간호사 출신인 ‘메디컬 어드바이저’는 고객과 동행하면서 건강 상담을 제공하고 진료 과정에서 필요한 의료 정보를 설명한다.
실제 1000억원대 자산가, 퇴직한 고위 공무원, 인플루언서 등 각계 VIP 회원들이 에뜨레를 이용 중이다. 이들은 병원 대기실에서 기다리지 않고 호텔 객실처럼 꾸며진 차 내부나 VIP 대기실에서 편안하게 대기시간을 보낼 수 있다.
룰루메딕은 일찌감치 규제 사각지대인 해외로 눈을 돌려 ‘메디컬 컨시어지’ 모델을 선보였다. 베트남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모국어 의료 상담뿐만 아니라 해외 현지 병원 예약·통역, 의료비 수납, 보험 청구 서류작업 등을 대신하는 서비스를 내놓은 것이다.
카카오는 영남대의료원과 함께 의료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케어챗’을 활용하기로 했다. 케어챗을 통해 진료 예약, 위치정보 안내, 접수, 대기 안내, 진료비 수납, 입원 컨시어지, 주차비 정산, 제증명 발급, 진료비 환불 등을 휴대전화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에서 컨시어지 중심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이는 이유는 정부 규제 영향이 크다. 핵심 사업 모델이었던 비대면 진료 분야는 코로나19 이후 규제에 가로막혔다. 업계는 새로운 활로를 찾고 수익성을 확보하려는 과정에서 컨시어지 서비스에 주목했다.
비대면 진료를 옭아매던 규제가 일부 완화되면서 숨통이 트이기도 했다.
원격의료산업협회에 따르면 비대면 진료 플랫폼 닥터나우·굿닷·나만의닥터 등이 지난 23~25일 접수한 비대면 진료 신청·예약 건수는 5026건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1675.3건이 접수된 셈이다. 직전 주말(지난 16~17일) 하루 평균(1313.7건)보다 약 30% 늘었다.
보건복지부는 앞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보완 방안을 발표했다. 야간과 휴일에도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했고 허용 대상도 확대했다. 다만, 비대면 진료를 이용해도 약을 배송받는 것은 현행법상 불가능하다.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가 성장동력을 확보하려면 추가적인 규제 완화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들이 당분간 차별화된 서비스를 모색하는 데 힘을 쏟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방안이 비대면 진료 업계가 원하는 만큼 국내에서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호탄처럼 느껴지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비대면 진료 가능 범위가 넓어지기는 했지만 약 배송 문제가 빠지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는 여전히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딴따라’에서 매출 1000억 기업가 됐죠”…성공 비결 3가지 뭐길래 - 매일경제
- “계단운동 하려면 전기료 더 내”…아파트 주민 갈등 ‘무슨 사연’ - 매일경제
- 삼성전자, 돈 많이 번 상장사 3위로 밀렸다…1·2위는 도대체 어디? - 매일경제
- “집주인 너도 당해봐라”...76만 유튜버, 전세사기에 감행한 ‘보복’ - 매일경제
- 통화가치 1000분의 1토막...최고액권 화폐 만든다는 이 나라 - 매일경제
- 한은의 경고...16개 시도 중 15곳서 인력난 심화 - 매일경제
- “너희 동네 T야? 우리 동네는 F인데”…내년에 등장할 ‘지역별 MBTI’ - 매일경제
- [속보] 한동훈 전격 선언 “내년 총선, 지역구도 비례대표도 출마하지 않겠다” - 매일경제
- ‘음력설’이 ‘중국설’이라고? 중국 주장에 진심으로 화내는 이 나라 어디? [신짜오 베트남] -
- 한국인 UFC 장학생 선발한다…모든 훈련비 무료 [인터뷰①]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