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글로벌 문화변동과 k-컬처의 진화 ‘한류가 뭐길래’ 출간

조현석 2023. 12. 26. 10: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류'를 다양한 시선으로 새롭게 분석하고, 한류의 이정표를 제시하는 심두보 교수의 '한류가 뭐길래'(어나더북스 펴냄·1만8000원)가 내년 1월 4일 출간한다.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심두보 교수가 쓴 이 책은 '문화 현상'으로서의 한류의 정의를 한류의 '복합 요인성', 한류의 '위치성', 한류의 '관계성', 한류의 '혼종성'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를 통해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한류’를 다양한 시선으로 새롭게 분석하고, 한류의 이정표를 제시하는 심두보 교수의 ‘한류가 뭐길래’(어나더북스 펴냄·1만8000원)가 내년 1월 4일 출간한다.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심두보 교수가 쓴 이 책은 ‘문화 현상’으로서의 한류의 정의를 한류의 ‘복합 요인성’, 한류의 ‘위치성’, 한류의 ‘관계성’, 한류의 ‘혼종성’이라는 네 가지 키워드를 통해 설명했다.

‘한류가 뭐길래’는 한류를 비판적 인문주의의 관점으로 사유하고, 글로벌 문화연구와 미디어 연구의 시선으로 분석한다. 문화와 산업, 근대성과 전 지구화, 대중문화와 소프트파워, 젠더·인종과 문화정치, 팬덤과 문화소비, 민족주의와 혼종성 등 여러 개념과 주제를 다룬다. 이 책은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언어와 친숙하고 흥미로운 여러 에피소드를 담았다.

이 책은 한국 문화상품의 오락적 경쟁력이 한류의 지속성을 이끄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고 판단했다. 현대 한국 문화상품이 오랫동안 외국문화와 교섭해 이를 토착화하고, 국내 시장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오락적 품질의 향상을 실현한 문화과정(cultural process)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류 발생의 복합 요인성을 다뤘다. 이 책은 한류가 정부의 기획물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가 얽힌 나비효과의 결과물이란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심 교수는 “현상으로서의 한류는 20세기 말 시장개방과 미디어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한국 문화상품을 받아들인 동아시아 수용자로부터 비롯됐다”면서 “1997~1998년부터 동아시아의 중년 여성은 한국 드라마를, 십대 청소년은 댄스음악을 좋아하면서 그로부터 의미를 찾고, 자신들의 문화로 수용하는 등 한류라고 일컬어질 만한 문화적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류가 뭐길래’가 한류에 관한 새로운 논쟁을 촉발해 우리 시대 문화의 의미와 역할에 관해 한 번 더 생각해 보도록 이끌기를 소망한다”고 강조했다.

조현석 기자 hyun6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