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진짜 특징은 자기 생각 안 바꾸는 것… 청년도 자기 생각 고집하면 노인

김재준 국민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2023. 12. 26. 09: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재준의 다빈치스쿨] 정신적 노화 예방하는 유일한 해결책은 다시 열심히 배우는 것

아일랜드 출신 극작가 사뮈엘 베케트의 노년 사진을 보면 참 멋있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20대 시절 베케트도 잘생긴 멋진 청년이었으나 노년의 그만큼 멋지지는 않다. 멋지게 나이 드는 사람은 무엇이 다를까. 그 답은 찾기 어렵지만 의외로 간단할 수 있다.

아직은 젊어 보인다고 자부하는 필자는 가끔 다른 사람에게 "내가 노인(老人)일까요"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럼 보통 "네? 그건 아니죠! 아직 젊어 보여요"라는 답이 돌아오는데, 그때마다 속으로 '그래, 나는 이미 노인이야'라고 생각한다. 젊어 보인다는 말은 노년을 위장하는 비싼 가면과도 같은 것이다. 피부 시술을 부지런히 받고 성형까지 하면 본래 내 얼굴이 어땠는지조차 잊어버리고 만다.

아일랜드 출신 극작가 사뮈엘 베케트. [위키피디아]

50대 중반이면 노인

노인의 기준은 무엇일까. 필자는 노안(老眼)이 오고 갱년기에 들어서면 노인이 됐다고 본다. 이르면 40대 후반부터, 아무리 건강하고 정신력이 강한 사람도 50대 중반부터는 노인이 된다. 조선시대에도 50세가 넘으면 노인으로 봤는데, 필자는 이 기준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말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정말 결정적인 노인만의 특징이 있다. 남의 말을 듣기보다 다른 사람, 특히 젊은이들 앞에서 쉬지 않고 말하는 시간이 늘어나는 사람이다. 정작 본인은 모른다. 배우기보다 가르치려 들다 보니, 주변 청년들은 지옥의 시간을 견디고 있다. 이 주제에 대해 한 30대 남자와 대화한 적이 했는데, 필자의 연령 분류에 그 역시 저항한 점이 인상 깊다.

30대 남성 "진짜 노인의 특징은 자기 생각을 바꾸지 않는다는 거예요. 사실은 그 생각이 자기 생각도 아닌데 말입니다. 어렸을 때 부모나 학교에서 배운, 정확히 말하자면 세뇌됐거나 주입된 생각을 스스로 진실하고도 올바른 생각으로 여기며 사는 거죠. 주변에 자기 생각과 다른 사람이 있으면 참지 못하고 가르치려고 듭니다."

필자 "그렇다면 자기 생각만 고집하는 청년도 노인이겠네?"

30대 남성 "맞습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는 대부분 이미 노인이죠. 인도의 한 요가 수행자는 갓 태어난 아기에게도 '노인, 어서 오시게'라고 말했다고 해요."

충격적인 이야기였다. 필자는 나이가 많이 든 사람처럼 일부러 이렇게 물었다.

필자 "그럼 우리 늙은이는 청년들의 생각을 배우고, 젊은이들은 노인의 지혜를 존중하며 받아들이라는 말이군."

30대 남성 "아닙니다. 노인의 지혜는 그냥 듣기 좋으라고 하는 말이죠. 그저 과거에 머물러 있는, 성장을 멈춘 완고한 고정관념일 뿐입니다. 요즘 60대가 부동산 투기를 주도한다고 하잖아요. 과거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젊은이들의 미래를 망치고 있죠. 죄송하지만 노인들로부터 배울 점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는 젊으니 아마 그가 옳을 거야"

영화배우 소피아 로렌의 말이 떠오른다. 로렌은 "나이가 들어 좋은 점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받자 "단 하나도 없어요"라고 답했다. 그렇다. 이것이 솔직한 답이다.

정신적 노화를 예방하려면 고정관념을 버리고 생각이 자유로워야 한다. 유일한 해결책은 다시 배우는 것이다. 그것도 아주 열심히 배우는 것이다.

물론 "늙어서 기억력이 나쁘다" "책을 보면 눈이 아프고 머리도 예전 같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테다. 그들에게 "우선 배워보라"고 권하고 싶다. 특히 젊은 시절 먹고사느라 바빠 배우지 못했던 걸 배워보길 권한다. 기독교 신자라면 헬라어를 배우고, 가톨릭 신자라면 라틴어 문법을 배우자. 과거 문학청년이었다면 러시아 대문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기나긴 소설을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 자신보다 어린 젊은 선생들로부터 이러한 것들을 배우는 것은 좋은 경험이 된다. 노인을 위한 학교도 이렇게 탄생했다.

‘교향곡 5번의 4악장 아다지에토(Adagietto)'로 유명한 구스타프 말러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 말러는 본인도 혁신적인 작곡자였지만 아널드 쇤베르크의 신음악(新音樂)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지속적으로 쇤베르크의 음악을 지지했다. 쇤베르크의 '실내 교향곡 1번'이 오스트리아 빈의 무지크페라인 홀에서 연주됐을 때 많은 청중이 비난하고 조소하며 거칠게 퇴장했지만, 말러는 모든 청중이 나갈 때까지 혼자 남아 박수를 쳤다고 한다. 그는 "비록 쇤베르크의 음악을 내가 이해하지 못하지만 그는 젊으니 아마도 그가 옳을 거야"라고 말했다. "나는 늙었으니 그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귀가 없는지도 모르지"라고도 했다. 필자는 이 이야기를 듣고 말러가 더 좋아졌다.

타인의 생각에 귀 기울이는, 나아가 자신의 생각을 뒤늦게나마 바꿀 수 있는 노인은 아름답다. 마음이 열린 사람들이 모인 사회는 살 만한 곳이고, 그런 국가는 많은 사람의 존경을 받을 만하다.

김재준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민대 경상대학장, 국민대 도서관장과 박물관장, 한국예술경영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민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김재준 국민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Copyright © 주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