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씨고아, 보고 또 봐도 남는 명작의 여운

류재민 2023. 12. 26. 06: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은 시골 의원 정영(오른쪽)이 조씨 집안의 유일한 후손을 지키는 서사를 그렸다. 국립극단 제공

“오늘 내가 한 선택을 평생동안 후회하면서 산다고 해도 지금은 어쩔 수가 없네. 아이고 아이고….”(정영의 대사)

자기 목숨을 내줘서라도 지키고 싶은 자식을 되레 죽음으로 내몰아야 하는 아비의 마음은 어떤 심정일까. 남의 아들 하나 살리고자 무수히 많은 사람이 죽어 나가고 그래서 20년을 기다려 그 숱한 죽음의 이유가 완성되지만 “이제 남은 게 아무것도 없다”는 허무함이 기다릴 뿐이다. 평생 후회하지는 않았겠으나 뒤돌아보면 결국 후회만 남았을지 모른다.

국립극단의 대표 명작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이 올해도 연이은 매진 행렬 속에 25일 공연을 끝으로 관객들의 마음에 깊은 여운을 남기고 떠났다.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은 야욕에 사로잡혀 정치적 맞수인 조순의 구족(九族)을 멸한 도안고에 맞서 집안의 유일한 후손인 조씨고아를 지켜 20년의 기다림 끝에 복수를 하는 내용이다. 원작은 원나라 시대 작가인 기군상(?~?)의 ‘원보원조씨고아’. 작품의 기원은 사마천(기원전 145~기원전 86?)의 ‘사기세가’ 중 ‘조 세가’를 근거로 한다. ‘조 세가’에는 “진나라 경공 3년, 대부 도안고가 조씨를 주살하려고 했다”, “도안고가 자기 멋대로 여러 장수와 조씨를 하궁에서 공격하며 그의 씨족을 모두 멸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영공, 조순, 도안고, 한궐, 조삭, 공손저구, 정영 등도 실명으로 등장한다.

정영의 아내가 자기 자식을 품고 내주지 않으려는 장면은 작품을 감상하는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한다. 국립극단 제공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은 평범한 시골 의원인 정영이 우연히 조씨 집안의 후손을 지키는 임무를 떠맡으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렸다. 가문의 원수에 대한 복수가 강력한 윤리 기제였으며 대의명분이 목숨보다 중요했던 시대, 조씨고아를 둘러싼 사람들은 그가 집안의 원수를 갚을 수 있도록 기꺼이 목숨을 내놓는다. 그 주변에서 살아남는 사람은 정영 뿐이다.

정영이 20년간 비밀을 지키다가 무수히 많은 사람이 죽어 나간 피의 역사를 조씨고아에게 알리고 난 후 복수가 이뤄진다. 그러나 작품의 악인이었던 도안고가 처단됨으로써 완성돼야 할 권선징악이라는 낡은 교훈은 곧바로 허무에 가 닿는다. 도안고가 정영을 향해 “뭐 하러 그랬어? 다 늙어버렸잖아. 도대체 네 인생이 뭐였어? 왜 씁쓸해?”라고 비웃고, 복수 끝에 정영이 “이 늙은이에게는 할 일이 사라졌습니다. 이제 남은 게 아무것도 없네요”라고 자조하는 모습은 간절히 지키고자 했던 대의명분과 약속이 그만한 가치가 있었는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장성한 조씨고아(왼쪽)는 자신의 비밀을 말해주는 정영을 쉽게 믿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하지만 이내 마음을 다잡고 복수를 완성한다. 국립극단 제공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은 철저히 비극적이어야 할 서사에 과장된 몸짓과 대사를 통한 희극적 요소가 교차하면서 더 깊은 여운을 남긴다. 고선웅 연출이 “관객들은 비극의 희극적 표현을 보며 웃기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거기서 드러나는 역설적인 아이러니를 더 강하게 느낀다”고 말한 것처럼 비극의 무게를 결코 가볍지 않게 만드는 희극적 요소가 관객들의 몰입도를 높인다.

워낙 여러 사람이 죽어 충분히 비극적이지만 국립극단의 작품에서는 특별히 정영의 아내가 비극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어렵게 얻은 자식을 남의 자식을 위해 죽여야만 한다는 정영과 제 자식을 품고 “그깟 약속, 그깟 의리가 뭐라고, 그깟 뱉은 말이 뭐라고” 절규하며 애끓는 모성애를 보이는 아내가 처절하게 옥신각신하는 장면은 관객들의 마음을 한없이 미어지게 한다. 복수가 이뤄진 후 다른 죽은 사람들과 함께 정영의 아내가 등장하지만 끝내 어떤 감정도 드러내지 않는 무심한 얼굴은 그래서 더 처연하게 다가온다.

정영과 도안고를 제외하고는 여러 인물이 짧게 자신의 서사를 펼치고 사라지지만 생각나지 않는 인물이 없을 정도로 각 배역의 존재감이 상당하다. 국립극단 제공

작품의 마지막엔 “이 이야기를 거울삼아 알아서 잘들 분별하시기를. 이런 우환을 만들지도 당하지도 마시고 부디 평화롭기만을. 금방이구나 인생은 그저 좋게만 사시다 가시기를”이란 대사가 울려 퍼진다. 평화와 용서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진 않지만 그래서 오히려 더 그런 가치들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특히 피의 복수가 얼마나 더 큰 비극을 불러오는지, 평범한 사람들이 보복과 응징이라는 폭력의 세계 안에 갇혀 원치 않게 죽어 나가는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작품이 처음 오르던 2015년에는 작품의 이야기로만 유효했을지 모르나 지금은 세계 곳곳에서 누군가 이 시간에도 피의 보복으로 죽어 나가는 현실에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시대를 초월한 보편성을 지닌 작품의 힘이다.

많은 것을 꾸미지 않아도 무대가 꽉 차는 연출의 힘까지 돋보이는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은 지난 2일 100회째를 맞기도 했다. 보고 나서고 꼭 다시 봐야 할 작품으로서 꾸준히 사랑받아온 결과다. 라이브 공연은 끝났지만 기다림이 아쉬운 관객들은 ‘국립극단 온라인 극장’에서도 감상할 수 있다.

류재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