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타자기 숨겨진 역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세기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심심찮게 등장하는 것이 '타자기'다.
로마자 타자기는 19세기 말부터 표준자판 '쿼티'가 자리잡았지만 한글 타자기는 표준 자판이 정착되기까지 시간이 걸렸다.
두벌식부터 오벌식까지 다양한 형태의 자판 타자기가 병존한 가운데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표준자판의 원형은 1969년 6월 과학기술처가 주도한 '한글 기계화 종합개발 계획안'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되면서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세기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심심찮게 등장하는 것이 ‘타자기’다. 로마자 타자기는 19세기 말부터 표준자판 ‘쿼티’가 자리잡았지만 한글 타자기는 표준 자판이 정착되기까지 시간이 걸렸다. 이유는 뭘까.
전북대 과학문명학연구소 김태호 교수는 ‘한글과 타자기’(역사비평사)라는 학술서를 통해 현재 한글 자판이 있게 만든 한글 타자기 정착과 보급 과정을 꼼꼼히 살펴봤다.
19~20세기 서구 제국주의 침략에 맞닥뜨린 동아시아 지식인들에게 타자기는 단순히 글자 입력 도구가 아닌 서구사회의 효율적 행정과 강력한 힘의 토대로 인식됐다. 서구 열강 침략을 피하고 근대국가를 이루기 위해 동아시아 많은 지식인이 타자기 개발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한자’가 걸림돌이었다. 중국, 일본과 달리 한글은 로마자 타자기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며 한글을 중심으로 문자 생활을 재편하는 한글 타자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문제는 24개의 자음과 모음을 26개의 알파벳을 사용하는 로마자 타자기에 이식한다는 것이 쉽지 않았다. 초성, 중성, 종성이 모여 하나의 음절을 만드는 모아쓰기라는 한글 특성 때문이었다.
빠르게 글을 쓸 수 있도록 한 일명 세벌식 속도 타자기를 개발한 안과의사 공병우 덕분에 한글 타자기 시장은 급성장했다. 두벌식부터 오벌식까지 다양한 형태의 자판 타자기가 병존한 가운데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표준자판의 원형은 1969년 6월 과학기술처가 주도한 ‘한글 기계화 종합개발 계획안’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되면서 나왔다.
실용성과 속도를 내세워 주목받았던 공병우식 세벌식 자판은 한글 표준 자판이 되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세벌식 타자기가 찍어내는 글자의 독특한 미감 덕분에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다변화를 촉진했다.
유용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명 축구선수♥아나운서 에펠탑 데이트 ‘포착’...초특급 열애설
- 24층서 추락한 산타…이벤트 중 사망한 러시아男
- ‘남편 이상순에 무슨 일이’…이효리, 안타까운 소식 전했다
- 신동엽이 ‘학폭’ 터질까 불안했던 연예인
- “유영철·강호순 크리스마스 식단이 소고기미역국에 떡갈비라고?”
- 안중근 사진 올린 한소희…日네티즌 “반일” SNS 악플 테러
- 12층서 주인 손에 떠밀려 죽어간 어미와 새끼…반성은 없었다 [김유민의 노견일기]
- “유니폼 입고 뛰는 모습 설레”…남편 은퇴 막은 女배우
- “한파인데 찜질방서 주무세요”…노숙인에게 10만원 건넨 판사
- 이병헌♥이민정, 결혼 10년 만에 얻은 딸 ‘최초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