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오픈AI 이어 애플도 뉴스사용료 지급… 韓도 협의 서둘 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애플이 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학습을 위해 언론, 출판사 등과 콘텐츠 사용료 협상에 나섰다.
AI 기업들의 이 같은 행보는 바로 고품질의 AI 결과물을 얻기 위해 질적으로 검증된 뉴스 콘텐츠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각국의 언론, 출판계가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서두르는 것 역시 AI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다.
뉴욕타임스, CNN 등 개별 언론사들도 AI가 홈페이지에서 뉴스를 허락 없이 긁어가는 것을 막는 조치를 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 기업들의 이 같은 행보는 바로 고품질의 AI 결과물을 얻기 위해 질적으로 검증된 뉴스 콘텐츠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터넷에 널린 데이터를 무작위로 수집해 AI를 교육시키면 비윤리적이거나 편향된 답변, 심지어 가짜뉴스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 AI의 선거 관련 정보 중 30%가 오답이란 연구 결과도 있다. 애플 등이 AI의 신뢰도와 경쟁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저작권이 있는 가치 높은 콘텐츠에 투자하려는 배경이다.
각국의 언론, 출판계가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서두르는 것 역시 AI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다. 세계신문협회는 9월 발표한 ‘글로벌 AI 원칙’에서 AI 시스템 개발·운영·배포자가 원콘텐츠 소유자의 지식재산권을 존중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뉴욕타임스, CNN 등 개별 언론사들도 AI가 홈페이지에서 뉴스를 허락 없이 긁어가는 것을 막는 조치를 취했다. AI 기업이 저작권을 무시하고 콘텐츠를 쓸 경우 방대한 인력과 시간을 들여 양질의 콘텐츠를 내놓는 기업은 설 자리를 잃고, AI 답변에는 저급 콘텐츠가 난무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하지만 국내에선 관련 논의가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네이버는 8월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출시했고 카카오도 조만간 내놓을 계획이지만 저작권 문제에 대해선 침묵하고 있다. 한국신문협회가 최근 “AI의 뉴스 학습 및 활용에 대한 대가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의견서를 국회와 정부에 제출한 이유다. 신뢰 받는 한국어 기반 AI를 위해선 국내 AI 기업과 콘텐츠 기업이 협의를 통해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상생의 길이다. 정부도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日, 반도체투자액 50% 지원… 韓, 15% 세액공제뿐
- 대통령실 “총선후 특검, 검토조차 안해”
- [단독]“플랫폼기업 반칙행위, 매출액 10%까지 과징금 검토”
- 내년 총선부터 ‘전수 手개표’ 도입… 곧 발표
- 아랫집 불에 7개월 딸 안고 뛰어내려… 아빠는 끝내 숨졌다
- ‘미아’들 사연에 먹먹, 입양부모엔 찬사… “공적체계 필요” 큰 호응 [히어로콘텐츠/미아]
- “극심한 피로와 우측 상복부에 불쾌감이”
- 정세균·이낙연 오늘 비공개 조찬 회동…당내 현안 논의
- 정세균-김부겸 “비명 탈락자, 경선 시켜줘야”… 지도부 “친명이 더 탈락”
- ‘K방산 큰손’ 폴란드, 대통령-총리 ‘예산’ 충돌… 수출계약 불똥 촉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