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일본에서 수집한 자전거 바퀴 56개를 단 한 사람이 굴리게 한 뜻은?

이혜미 2023. 12. 25. 20: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주 동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전당)에서 21일 개막한 미디어 융복합 전시 '디어 바바뇨냐: 해항도시 속 혼합문화'(내년 6월 16일까지). 전시장 입구를 통과하면 거대한 함선의 뱃머리 모양 구조물이 나타난다.

마지막 공간은 마르코 폴로가 '세상에서 가장 번영한 도시'라 극찬한 중국 취안저우를 형상화한 박근호의 설치 작품 '무역감정'이다.

'이음 지음' 전시(내년 7월 21일까지) 초입에는 56개의 자전거 바퀴를 이어 만든 거대한 설치물 '무한차륜'이 놓여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시 3개 동시 개막
①'디어 바바뇨냐: 해항도시 속 혼합문화'
②'이음 지음' ③'가이아의 도시'
미디어 융복합 전시 '디어 바바뇨냐: 해항 도시 속 혼합문화'가 열리고 있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복합전시 1관 전경.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광주 동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전당)에서 21일 개막한 미디어 융복합 전시 '디어 바바뇨냐: 해항도시 속 혼합문화'(내년 6월 16일까지). 전시장 입구를 통과하면 거대한 함선의 뱃머리 모양 구조물이 나타난다. 양옆에 설치된 너비 48m, 높이 9.6m의 스크린에서 미디어아트로 재현된 파도가 철썩철썩 밀려온다. 이윽고 정향 냄새. 검은 테이블 위에 피라미드 형태의 황금빛 강황가루가 쌓여 있다. 오마 스페이스의 설치미술 작품 '황금빛 여정'으로, 후추의 원산지이자 인도의 항구도시인 코치를 형상화했다.

조금 더 걸으면 달빛이 비치는 호수에 당도한다. 동서 교역의 길목에 위치한 말레이시아 말라카의 역동성을 담은 송창애의 설치 작품 'WATER ODDYSSEY:물길'이다.

마지막 공간은 마르코 폴로가 '세상에서 가장 번영한 도시'라 극찬한 중국 취안저우를 형상화한 박근호의 설치 작품 '무역감정'이다. 과거 이 지역에서 활발하게 교류된 물품을 골라 테이블에 올리면 물건마다 다른 형태로 빛나는 인터랙티브 키네틱(움직임을 표현하는 예술작품)이 펼쳐진다.

'WATER ODDYSSEY:물길'은 물의 파동을 시각화하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로, 말라카 해협의 역동적인 생명력을 물길을 따라 드러낸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다양한 '아시아'... 3개 전시 동시 개막

'디어 바바뇨냐: 해항도시 속 혼합문화'가 열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복합전시 1관 전경.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제공

'바바뇨냐'는 중국에서 말레이시아로 이주한 남성과 말레이계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남성(baba)과 여성(nyonya)을 합친 말로, 혼합문화의 다양성을 상징한다. 영상 작품과 관객참여형 설치미술이 어우러진 전시관은 아시아 해양도시의 개방성과 포용성을 느끼게 해준다.

전당은 건축 전시 '이음 지음', 현대미술 전시 '가이아의 도시'도 함께 공개했다. 전시장 3곳의 면적이 5,235㎡(1,583평)에 이르기에 충분한 시간과 체력을 준비하는 게 좋겠다.


도시 속에서 사람들은 더불어 살아간다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56개의 자전거 바퀴로 만들어진 설치물인 '무한차륜'. 오른쪽 계단 위의 안장에 앉아 발을 구르면 모든 자전거 바퀴가 한꺼번에 돌아간다. 광주=이혜미 기자

'이음 지음' 전시(내년 7월 21일까지) 초입에는 56개의 자전거 바퀴를 이어 만든 거대한 설치물 '무한차륜'이 놓여 있다. 페달은 단 한 쌍. 한 사람이 발을 굴리면 연결된 바퀴들이 일제히 돌아간다. "일본에서 가져온 자전거 바퀴와 광주에서 모은 바퀴가 모여 한 사람의 인력으로 유기적으로 굴러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모두가 함께 움직일 때 건강한 활력을 얻을 수 있는 사회를 표현했다."(고이치로 아즈마 작가)

'이음 지음'에 나온 19개의 작품은 재료가 서로 닿고 이어지고 쌓여서 완성되는 건축처럼 도시 속의 삶도 서로 연결되기에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지속 가능한 생태 문명은 어떻게 가능할까

노경택 작가의 '이중협력시퀀스'. 광주=이혜미 기자

'가이아의 도시'(내년 2월 25일까지)는 자연과 인간의 대립, 그로 인한 기후위기 등 아시아가 직면한 문제들을 주제로 삼았다. 노경택의 '이중협력시퀀스'를 보자. 푸른 식물에 센서가 달려 있다. 식물이 보내는 보이지 않는 신호에 따라 타악기인 마림바가 연주된다. 다른 식물이 보내는 신호는 비눗방울을 제각각의 방향으로 날린다. 식물과 자연이 수동적인 존재가 아님을 일깨워 준다.

광주= 이혜미 기자 herstory@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