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더 나빠진다는데"…금융업계 부실우려 확산(종합)
송주오 2023. 12. 25. 18: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중소형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률이 1년 반 만에 5배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융당국은 신규 토지담보대출을 부동산PF에 준해 취급하는 등 저축은행 여신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영세한 저축은행 8곳, 부동산대출 비중 45% 넘어25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저축은행 47개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1.3%에서 올해 6월말 6.5%로 상승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방·영세 저축은행 47개사 부동산PF 연체율 6.5%
5대 시중은행 건설 대출 연체율도 1년새 2배 늘어
"내년 주택시장 불확실성 높아"..금융업 부실 우려
5대 시중은행 건설 대출 연체율도 1년새 2배 늘어
"내년 주택시장 불확실성 높아"..금융업 부실 우려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지방·중소형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률이 1년 반 만에 5배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금융당국은 신규 토지담보대출을 부동산PF에 준해 취급하는 등 저축은행 여신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 관련 대출 연체액도 1년 사이에 2배가량 늘어 금융부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영세한 저축은행 8곳, 부동산대출 비중 45% 넘어
25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저축은행 47개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1.3%에서 올해 6월말 6.5%로 상승했다. 47개 저축은행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 비중은 67.9%에 달했다. 47개 저축은행 중 43개사의 자산규모는 1조원 미만이고, 30개사는 지방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특히 47개사 중 8개사는 부동산 관련 여신 비중이 45%를 넘었다. 부동산PF 비중이 15%를 넘지 않는 업체는 4개사로 집계됐다. 현행법상 저축은행의 부동산 관련 여신은 총여신의 50%, 부동산PF는 20%를 초과할 수 없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업권에 대한 부동산PF 규제를 강화해 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내년부터 신규 토지담보대출(토담대)에 대해서는 부동산PF에 준해 관리하기로 했다. 저축은행법상 총 여신의 20%까지 부동산PF를 취급할 수 있는데, 여기에 토담대를 포함하겠다는 것이다. 또 금융당국은 대손충담금과 관련, 기존 토담대도 부동산PF 대출 수준으로 적립하도록 저축은행중앙회에 공문을 전달했다.
감독규정에 따르면 저축은행이 PF대출 취급 시 쌓아야 하는 충당금 적립 비율(정상 등급의 경우)은 2%대로 일반 대출 충당금 적립 비율(0.85~1%)에 비해 2배 가량 높다.
저축은행업권은 1000억권 규모로 조성한 부동산PF 펀드 중 약 200억원을 내달 중 매입·매각할 방침이다. 해당 펀드는 지난 9월 본PF로 넘어가지 못하고 있는 브릿지론 단계의 부실채권(NPL)을 매입해 재매각하기 위한 용도로 1000억원 규모로 조성했다.
“부동산시장 하방리스크 커…연체율 추가 가능성”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 관련 대출 연체액도 1년 새 2배 늘었다. 부동산 경기침체와 고금리 장기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23조2387억원으로 나타났다. 2021년(15조9704억원)과 지난해(20조3915억원)와 비교해 각각 46%와 14% 늘어났다.
대출과 함께 연체액도 증가했다. 올해 연체액은 1051억원으로 지난해(524억원)의 2배로 뛰었다. 2021년(330억원)과 비교하면 3배 이상 커졌다. 연체율도 2021년 말 0.21%, 2022년 말 0.26%, 올해 11월 0.45%로 뛰었다.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8조2404억원으로 올해 들어 26% 늘었다.
한국은행은 부동산·건설 관련 부문의 부실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최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가계와 기업 대출 증가를 부동산 부문이 주도하지만,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며 “향후 부동산 시장의 하방 리스크를 감안하면 연체율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국은행의 ‘업종별 대출 집중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부동산업의 집중도는 3.3으로 5개 업종(부동산업·건설업·숙박음식·도소매·제조업) 중 가장 높다. 대출집중도는 업종별 대출금 비중을 업종별 명목 국내총생산 비중으로 나눈 값이다. 즉, 부동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대출이 지나치게 쏠려 있다는 의미다.
송주오 (juoh413@edaily.co.kr)
25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저축은행 47개사의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1.3%에서 올해 6월말 6.5%로 상승했다. 47개 저축은행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 비중은 67.9%에 달했다. 47개 저축은행 중 43개사의 자산규모는 1조원 미만이고, 30개사는 지방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특히 47개사 중 8개사는 부동산 관련 여신 비중이 45%를 넘었다. 부동산PF 비중이 15%를 넘지 않는 업체는 4개사로 집계됐다. 현행법상 저축은행의 부동산 관련 여신은 총여신의 50%, 부동산PF는 20%를 초과할 수 없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업권에 대한 부동산PF 규제를 강화해 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내년부터 신규 토지담보대출(토담대)에 대해서는 부동산PF에 준해 관리하기로 했다. 저축은행법상 총 여신의 20%까지 부동산PF를 취급할 수 있는데, 여기에 토담대를 포함하겠다는 것이다. 또 금융당국은 대손충담금과 관련, 기존 토담대도 부동산PF 대출 수준으로 적립하도록 저축은행중앙회에 공문을 전달했다.
감독규정에 따르면 저축은행이 PF대출 취급 시 쌓아야 하는 충당금 적립 비율(정상 등급의 경우)은 2%대로 일반 대출 충당금 적립 비율(0.85~1%)에 비해 2배 가량 높다.
저축은행업권은 1000억권 규모로 조성한 부동산PF 펀드 중 약 200억원을 내달 중 매입·매각할 방침이다. 해당 펀드는 지난 9월 본PF로 넘어가지 못하고 있는 브릿지론 단계의 부실채권(NPL)을 매입해 재매각하기 위한 용도로 1000억원 규모로 조성했다.
“부동산시장 하방리스크 커…연체율 추가 가능성”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 관련 대출 연체액도 1년 새 2배 늘었다. 부동산 경기침체와 고금리 장기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23조2387억원으로 나타났다. 2021년(15조9704억원)과 지난해(20조3915억원)와 비교해 각각 46%와 14% 늘어났다.
대출과 함께 연체액도 증가했다. 올해 연체액은 1051억원으로 지난해(524억원)의 2배로 뛰었다. 2021년(330억원)과 비교하면 3배 이상 커졌다. 연체율도 2021년 말 0.21%, 2022년 말 0.26%, 올해 11월 0.45%로 뛰었다.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18조2404억원으로 올해 들어 26% 늘었다.
한국은행은 부동산·건설 관련 부문의 부실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최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가계와 기업 대출 증가를 부동산 부문이 주도하지만,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며 “향후 부동산 시장의 하방 리스크를 감안하면 연체율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국은행의 ‘업종별 대출 집중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부동산업의 집중도는 3.3으로 5개 업종(부동산업·건설업·숙박음식·도소매·제조업) 중 가장 높다. 대출집중도는 업종별 대출금 비중을 업종별 명목 국내총생산 비중으로 나눈 값이다. 즉, 부동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대출이 지나치게 쏠려 있다는 의미다.
송주오 (juoh413@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데일리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치킨 먹으면서...12시간 동안 죽을 때까지 때렸다 [그해 오늘]
- 서태지, 1년 만에 근황 공개 "나이 훅 먹어…내 미모도 노화"
- “아가씨, 어디 살아?” 女승객 있는데 종이컵에 소변 본 버스기사
- '서울의 봄' 단체관람 고발에…조희연 "교권침해, 단호히 대응"
- 환승역 딱 보이네…서울 지하철 노선도 이렇게 바뀝니다
- 성탄절 새벽 아파트 화재…자녀 끌어안고 뛰어내린 30대 가장 숨져(종합)
- 대법, '연장근로 기준' 제시…"합리적 판결" vs "시대착오적"(종합)
- 사라진 4% 예금금리…대출금리 더 내려갈까
- '신고가 랠리' SK하이닉스, 사도 될까…증권가는 "Yes"[주간추천주]
- "경찰관분들은 영웅이자 산타"…사당지구대 앞 선물 두고 간 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