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침체에… 은행 건설업 연체액, 1년 새 2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시중은행 건설업종 대출 연체액이 1년 사이 두 배가량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 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23조2,387억 원에 달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 "연체율 추가 상승 가능성" 경고
주요 시중은행 건설업종 대출 연체액이 1년 사이 두 배가량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환경 속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건설 관련 대출 부실이 금융 시스템 불안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 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23조2,387억 원에 달한다. 2021년 말(15조9,704억 원), 지난해 말(20조3,915억 원)과 비교해 대출 규모가 각각 46%, 14% 늘어난 것이다.
연체액과 연체율은 더 빨리 뛰고 있다. 올해 연체액은 1,051억 원으로 지난해(524억 원)의 두 배에 달했고, 2021년 말(330억 원)보다는 3.2배 급증했다. 연체율 역시 2021년 말 0.21%, 지난해 말 0.26%에서 11월 0.45%로 두 배가 됐다. 다른 업종과 비교해도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한 시중은행의 건설업종 연체율은 9월 말 0.83%로 1년 전보다 0.36%포인트 뛰어 전체 13개 업종 중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0.27%에서 0.77%로 높아진 숙박·음식업(0.5%포인트) 다음으로 증가폭이 컸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도 마음 놓을 수 없는 상태다. 잔액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지난달 말 5대 은행 부동산PF 잔액은 18조2,404억 원으로 올해 들어 26%(3조7,917억 원) 증가했다. 연체율은 0%에 가까워 당장 부실 위험은 크지 않지만, 각 은행은 선제적 위험 관리에 나섰다. KB국민은행은 부실 징후 사업장 등에 대해 현장 실사 등 강도 높은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고, 신한은행도 중점 점검 대상 사업장을 정해 매달 위험성 조사를 벌이고 있다.
한국은행도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도 부동산 관련 대출을 금융 불안 요소로 지목한 바 있다. 한은은 “기업대출의 경우 부동산 경기 부진 등 영향으로 건설 및 부동산업 연체가 꾸준히 발생함에 따라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향후 부동산 시장 하방 리스크를 감안하면 연체율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강유빈 기자 yubi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불타는 아파트서 2세·7개월 아이 안고 뛴 아빠... 애들 구하고 숨졌다
- 암 걸린 조현병 아버지에게 "죽으시라"고 한 나...어떡해야 하나요
- 배우 이승연, 50년 만에 친엄마와 상봉 ('아빠하고 나하고')
- "더러운 중국 화장실" 오명…시진핑 '화장실 혁명' 성공했나
- '이재용 회장 결혼?' 황당한 가짜뉴스 퍼뜨린 유튜버, 결국 영상 삭제
- 이동건 "동생 사망 후 PTSD 판정…두 달 정도 입원"
- 판검사 잡으려 출범한 공수처, 3년만에 '콩가루 집안' 된 이유
- "담배는 나가서" 요청했다가 맥주병 맞은 딸···눈앞에서 목격한 엄마의 호소
- "사형 선고 나는 날 애국가 부르겠다"... '서현역 흉기난동' 이후 국가는 없었다
- 38년 근무 성심당 맨도 처음 본 '케이크런'…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