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그저 '착한 소비'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심영구 기자 2023. 12. 25. 12: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페퍼민트] 환경을 위한다는 착각과 ‘착한 소비’ (글: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편집장)

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글: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편집장)
 


소비자들은 누구나 값싼 물건을 찾습니다. 값이 같다면 당연히 품질이 더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선호할 겁니다. 만약 값도, 품질도 비슷한 제품들이 여러 개 있다면 소비자들은 어떤 제품을 고를까요? 각자 기준이 있겠지만, 대부분 소비자는 본인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와 부합하는 제품을 선택할 겁니다. 그 가치란 정직한 생산 방식을 거친 제품일 수도 있고, 환경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 기업의 제품일 수도 있으며, 보통 생산 과정에서 약자의 위치에 있는 노동자들에게 공정한 대우를 해 만든 제품일 수도 있겠죠. 그런데 가격표를 보면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가격과 써보면 금방 알 수 있는 품질과 달리, 생산 방식과 공정이 어땠는지 등은 소비자가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원래 의도한 바는 바람직할지 몰라도 매번 소비를 통해 의도한 목표를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하나뿐인 지구를 지키는 일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모두가 아는 요즘입니다.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가치 가운데 지구에 부담을 안 주거나 덜 주는 ‘친환경’은 늘 높은 순위에 자리합니다. 직접적인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제품을 멀리하는 건 당연하고, 어족 자원의 씨를 말리는 남획을 지양하는 ‘지속가능한 어업’ 등 자원의 고갈을 피하며 생산한 제품이나 기업들도 소비자들의 지지를 받습니다.

그런데 또 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혹은 얼핏 생각하면 환경 파괴와 거리가 멀어 보이는 생산 방식이 실은 생태계에 적잖은 부담을 주는 행위일 때가 있습니다. 동물의 털로 짠 직물로 만든 옷을 예로 들어보죠. 사람의 머리카락이 자라듯 양털도 깎고 나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자랍니다. 그러니 양을 비롯한 가축 털로 옷을 짓는 일은 환경에 끼치는 피해가 거의 없는 일처럼 보입니다.

가축을 식용으로 도축하는 일이나 게를 잡아 집게발만 잘라내고 다시 풀어줬다가 시간이 지나면 또 집게발만 잘라 파는 일보다는 아무래도 훨씬 덜 잔인하기도 하고요. 덜 잔인한 건 사실일지 모르지만,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따져보면 현대 자본주의 체제에서 옷을 짓는 일도 꼭 ‘친환경’이지는 않습니다. 환경을 위해 하는 ‘착한 소비’가 착각일 수 있다는 말입니다. 대표적인 게 겨울철 따뜻한 스웨터를 짜는 대표적인 직물인 캐시미어입니다.
[ https://en.wikipedia.org/wiki/Declawing_of_crabs ]


[ https://premium.sbs.co.kr/article/zB30l-eZ7gA ]
▶ 뉴욕타임스 칼럼 보기 : “믿을 수 없이 싼” 캐시미어의 진짜 비용에 관하여
[ https://premium.sbs.co.kr/article/ayFdjXmd1r6 ]
 

우선 캐시미어는 칼럼에서 지적하듯 염소의 털로 만드는 직물입니다. 그런데 염소는 방목해 기르는 다른 가축과 달리 풀을 뿌리째 뜯어먹다 보니, 염소를 풀었던 방목지의 풀은 다시 자라는 데 훨씬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염소가 풀을 뜯는 방식이 잘못됐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게 진화해 온 걸 문제 삼을 수는 없을 테니까요. 잘못이 있다면, 급증한 캐시미어 수요를 맞추기 위해 생태계의 균형을 깨면서 염소를 마구잡이로 늘린 사람과 자본주의에 물어야 할 겁니다.

원래 염소를 칠 방목지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았고, 자연히 품질 좋은 캐시미어의 원료도 귀했습니다. 캐시미어 스웨터는 비쌀 수밖에 없었죠. 그런데 캐시미어가 돈이 된다는 걸 깨달은 의류 브랜드와 목축업자들이 몽골과 중국 네이멍구 일대에 방목해 기르는 염소를 자꾸 늘렸습니다. 그 결과 캐시미어 스웨터는 싸졌지만, 염소를 풀어놓았던 초원들은 차례로 더는 풀이 못 자라는 땅으로 변합니다.

염소를 방목할 만한 목초지도 계속 줄어듭니다. 좋은 풀을 못 먹은 염소의 털들은 짧고 굵고 거칠어져 캐시미어의 품질도 떨어집니다. 품질이 떨어지면 시장에서 도태될 법도 한데, 일부 브랜드는 위기를 기회로 삼았습니다. 싸구려 캐시미어라는 사실을 숨기고 가격을 대폭 낮춰 “믿을 수 없이 싼 캐시미어”를 대대적으로 홍보한 거죠. 어떤 과정을 거쳐 생산된 제품인지에 별 관심을 두지 않는 소비자들은 가격에 넘어가 스웨터를 삽니다. 이미 수요가 너무 높아 문제였는데, 그 수요가 줄지 않으니 더 많은 염소를 방목하고, 초원은 더 빨리 황폐해지는 악순환의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얼마 전 파타고니아의 창업자 이본 쉬나드가 경고한 대로 우리는 “싸구려를 좇는 대가”를 치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심영구 기자 so5wha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