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연봉도 서러운데…중기, 대기업과 ‘복지 격차’ 10년새 3배로

변덕호 매경닷컴 기자(ddoku120@mk.co.kr) 2023. 12. 25. 09: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업이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각종 복지 혜택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가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복지는 좋아지는 데 반해 중소기업 복지 혜택은 오히려 축소 되고 있다.

복지비용은 기업체 규모별로 격차가 컸다.

이같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복지 격차는 더 벌어지는 추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22일 서울 시내 한 오피스빌딩 지하에 위치한 구내식당에서 직장인들이 점심식사하기 위해 자율배식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기업이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각종 복지 혜택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가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복지는 좋아지는 데 반해 중소기업 복지 혜택은 오히려 축소 되고 있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2022 회계연도 기업체노동비용 조사 결과에서 상용 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체가 근로자 1인에게 쓰는 ‘법정 외 복지비용’은 월 24만9600원이었다.

법정 외 복지비용엔 기업체가 직원들의 식사비, 교통·통신비, 건강·보건비용, 자녀 학비 보조, 사내근로복지, 주거비용, 보험료 지원금, 휴양·문화·체육 등의 명목으로 쓰는 비용이 포함된다.

이 복지비용과 퇴직급여, 법정 노동비용(4대 보험료 회사 부담분), 교육·훈련비용 등이 간접 노동비용에 해당하며, 이를 임금, 상여금, 성과급 등 직접 노동비용과 합치면 기업체가 근로자 1명을 고용하는 데 드는 총 비용인 노동비용이 나온다.

복지비용은 기업체 규모별로 격차가 컸다. 지난해 말 기준 300인 미만 기업체의 복지비용은 근로자 1인당 월 13만6900원으로, 300인 이상 기업체 40만900원의 34.1%에 그쳤다.

특히 격차가 큰 것은 자녀 학비 보조비용과 건강·보건비용으로, 300인 미만 기업의 자녀 학비 보조 비용(월 4900원)은 300인 이상(3만6200원)의 13.5%에 그쳤고, 건강 보조 비용도 14.7% 수준이었다.

[사진 = 연합뉴스]
이같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복지 격차는 더 벌어지는 추세다. 10년 전인 2012 회계연도의 경우 300인 미만 기업의 근로자 1인당 복지비용은 월 16만3000원으로 300인 이상(25만500원)의 65.1% 수준이었다.

2012년에는 두 그룹 격차가 월 8만7500원이었던 것인데 작년 말엔 26만4000원으로 3배 늘어난 것이다.

2013년 13만4000원, 2015년 15만2000원, 2017년 17만7000원, 2019년 18만6000원, 2021년 20만9000원 등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과 300인 미만 기업의 복지비용 격차는 계속 커지는 추세다.

비교적 규모가 있는 기업의 복지는 계속 좋아지는 데 비해 중소규모 기업체의 복지는 오히려 뒷걸음질친 탓이다.

300인 이상 기업의 근로자 1인당 법정 외 복지비용은 2012년 이후 10년간 60% 증가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의 복지비용은 16만3000원에서 13만7000원으로 오히려 16% 줄었다.

같은 기간 임금 등 직접노동비용의 기업 규모별 격차는 제자리거나 소폭 개선됐다.

2012년의 경우 300인 미만 기업의 1인당 직접노동비용은 월 284만7000원으로, 300인 이상 426만6000원의 66.7% 수준이었는데, 작년의 경우 397만5000원 대 582만3000원으로 68.3%이다.

직간접 노동비용을 합친 총 노동비용도 10년간 300인 이하 기업이 300인 이상 기업의 63% 수준에서 소폭 등락해왔다. 임금 격차보다 복지 격차가 뚜렷하고 추세적으로도 악화한 셈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