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서 대세 된 ‘쇼트폼’…네이버 등 차별화로 ‘추격’

김은성 기자 2023. 12. 24. 21: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분 이하 영상물 ‘킬러 콘텐츠’로
1개당 시간은 줄고 총 시청 시간 ↑
네이버, 크리에이터 모집해 지원
아프리카·당근 등도 관련 서비스

1분 이하 짧은 영상물인 ‘쇼트폼’이 이용자를 자사 플랫폼에 머물게 만드는 킬러 콘텐츠로 자리 잡으면서 관련 기업들이 이를 만드는 크리에이터 모시기 경쟁에 돌입했다. 해외 기업들은 수익화 모델로 시장을 견인하고, 국내 기업들은 차별화를 내세워 추격에 나섰다.

24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내년 상반기에 활동할 ‘클립’ 크리에이터를 다음달 14일까지 모집(사진)한다. 클립은 네이버가 지난 8월 출시한 쇼트폼으로, 선발된 크리에이터에게는 상금과 기본 활동비 등 총 12억원을 지원한다.

네이버는 크리에이터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지난달부터 창작자를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도 시작했다. 내년 1분기에는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쇼트폼을 만들 수 있는 영상 편집도구 ‘클립 에디터’를 선보이고, 자사 서비스(쇼핑·예약 등)와 유기적인 연계로 차별화에 나선다.

아프리카TV는 최근 쇼트폼 서비스 ‘캐치’에 콘텐츠를 하나로 모아 볼 수 있는 기능 ‘캐치스토리’를 출시했다. 캐치스토리는 개인방송인(BJ)들의 스트리밍 영상으로 이용자들이 만든 캐치 영상들을 모아 하나의 이야기 형태로 공급하는 기능이다.

국내 대표적인 지역생활 커뮤니티 당근은 지난달 동네가게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영상으로 올리고 공유하는 쇼트폼 서비스 ‘당근 스토리’를 시작했다. 기존 쇼트폼의 영상 노출 범위는 지역 제한이 없지만, 당근 스토리는 동네가게 정보가 필요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인스타그램은 쇼트폼 릴스 콘텐츠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프트’ 기능을 도입했다. 팬들은 앱에서 ‘스타’를 구매해 좋아하는 크리에이터를 응원할 수 있다. 유튜브가 올해 2월 쇼트폼인 쇼츠로 크리에이터들이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도록 나서자, 인스타그램도 수익화 기능을 도입한 것이다.

쇼트폼은 이용자들의 전체 영상 소비 시간이 길어 플랫폼 업계에 매력적인 시장으로 떠올랐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올해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한 앱인 유튜브는 월평균 사용 시간이 998억분으로 지난해보다 101억분(11.3%)이나 늘었다. 2위는 카카오톡으로 340억분의 월평균 사용 시간을 보였다. 그 뒤는 네이버 226억분, 인스타그램 158억분, 틱톡 75억분 등이었다.

IT업계는 특히 유튜브를 비롯한 인스타그램 같은 해외 기업의 최근 국내 시장 성장 비결을 ‘쇼트폼 효과’로 분석한다. 이들 기업이 국내에서 토종 플랫폼과 겨루게 된 것은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를 중심으로 쇼트폼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한 덕분이다. 글로벌 크리에이터 전문 스타트업 콜랩아시아가 올해 2월 발표한 트렌드 분석을 보면, 유튜브 시청자뷰의 88% 이상이 쇼츠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쇼츠가 활성화된 후 영상 하나당 시청 시간은 약 2분에서 1분으로 줄었지만, 전체 시청 시간은 약 2.3배로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쇼트폼이 10·20대를 넘어 30·40대 등 다양한 연령대가 이용하는 콘텐츠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며 “동영상에서 시작된 쇼트폼 인기가 음악과 마케팅 등 다른 분야로도 확산하며 정보 탐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