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없는 지원은 무용지물"…국제단체, 유엔 '가자 결의' 규탄

박진형 2023. 12. 24. 17: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채택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인도주의적 지원 확대 결의에 대해 국제 구호단체는 일제히 휴전 촉구 없는 지원 약속은 의미가 없다며 규탄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유엔에 따르면 지난주에 하루 평균 약 135대의 구호물자 트럭이 가자지구에 진입했지만, 이처럼 반입량이 늘어도 이를 분배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라고 구호단체들은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원 늘어도 자유통행 불가능해 물자 분배 어려워"…구호단체 직원도 폭격에 사망
가자지구 음식 배급소에 몰려든 주민들 (라파 AP=연합뉴스) 지난 21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라파에서 무료 음식을 받으려는 주민들이 줄을 서 있다. 국제 구호 단체들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전쟁이 장기화면서 가자지구 주민들이 식량, 의약품 및 기타 필수품의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3.12.24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기자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채택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인도주의적 지원 확대 결의에 대해 국제 구호단체는 일제히 휴전 촉구 없는 지원 약속은 의미가 없다며 규탄하고 나섰다.

이들은 이스라엘군의 잦은 공습과 지상군 공격으로 구호단체 직원도 숨지는 등 자유로운 통행이 불가능함에 따라 구호물자 지원이 늘더라도 이를 분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2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국경없는 의사회는 성명을 내고 "안보리 결의는 가자지구 위기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휴전에 크게 못 미친다"며 "가자지구 민간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을 정도로 약해졌다"고 밝혔다.

에브릴 베누아 국경없는 의사회 사무총장은 "(이스라엘의 전쟁 방식은)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에게 막대한 죽음과 고통을 초래하고 있으며 국제 규범과 법률에도 어긋난다"고 말했다.

특히 이 단체의 기유메트 토마 의료 조정관은 "우리가 주민에게 다가가려면 가자지구 안에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며 "지금 당장 우리는 인도적 지원을 배치할 수 없다. 그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사람들은 언제든 폭격을 당하거나 사살당할 것이라는 두려움 없이 식량과 물을 얻을 수 있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줄리엣 투마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UNRWA) 대변인도 "공습으로 가득한 하늘 아래에서 인도적 지원 물자를 전달할 수 없으며, 반입되는 지원의 양도 매우 적다"고 밝혔다.

국제앰네스티도 결의안이 "매우 필요한 것"이지만 "점령된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 정부가 초래한 현재 진행 중인 살육과 광범위한 파괴 앞에서는 통탄할 정도로 여전히 불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아킴 슈타이너 유엔개발계획(UNDP)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30년간 일한 베테랑 직원인 이삼 알 무그라비가 전날 가자시티 인근에서 공습으로 부인, 자녀 5명과 함께 숨졌다면서 구호 담당 직원들이 겪는 위험을 강조했다.

앞서 전날 안보리는 가자지구의 인도주의적 구호 지원 규모를 늘리자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안보리는 가자지구 전역의 팔레스타인 주민에게 즉각적이고 안전하며 방해받지 않는 대규모 인도주의적 지원을 허용하고 촉진할 것을 분쟁 당사자들에 요구했다.

하지만 당초 초안에 담겼던 적대행위 중단을 촉구하는 내용과 구호품 감시 권한을 유엔에 주는 내용은 이스라엘의 동맹국인 미국이 거부권 행사를 시사하면서 최종안에서는 빠졌다.

현재 가자지구로 반입되는 인도적 지원 물자 양은 10월 초 전쟁 발발 직후보다는 조금 늘어났으나, 수요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전쟁 이전에는 하루 트럭 약 500대 분량의 구호물자가 가자지구에 들어갔으며, UNRWA 가자지구 인구 수요를 뒷받침하려면 최소한 하루 트럭 200대 분량이 들어가야 한다고 UNRWA는 전했다.

그러나 개전 이후 첫 2주간 이스라엘은 모든 물자 공급을 차단했다가 이후 하루 트럭 몇 대 등 매우 제한된 분량만 반입을 허용했다.

이후 지난주에는 국제사회의 압박으로 가자지구 남부와 국경을 맞댄 이스라엘 마을 케렘 샬롬 통행로를 통한 구호물자 트럭 진입을 처음으로 승인했다.

이에 따라 유엔에 따르면 지난주에 하루 평균 약 135대의 구호물자 트럭이 가자지구에 진입했지만, 이처럼 반입량이 늘어도 이를 분배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라고 구호단체들은 지적했다.

가자지구 북부로 건너가는 연료 트럭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연료 트럭 한 대가 가자지구 중부 살라흐 알딘 도로를 따라 가자지구 남부에서 북부로 건너가고 있다. 2023.12.24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jhpar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