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 협상' 끝에…유엔 안보리, 가자지구 지원 확대 결의안 채택

정혜인 기자 2023. 12. 23. 08: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인도주의적 지원 확대를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22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는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이스라엘·하마스(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전쟁 관련 팔레스타인 문제 등이 포함된 중동 상황을 의제로 한 회의에서 해당 결의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CNN은 미국은 이번 결의안에 하마스에 대한 비난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불만을 표하면 기권표를 던졌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팔 전쟁] 하마스 규탄·즉각적인 휴전 문구는 빠져, 미·러 기권
/사진=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엑스(옛 트위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인도주의적 지원 확대를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22일(현지시간) 유엔 안보리는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이스라엘·하마스(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전쟁 관련 팔레스타인 문제 등이 포함된 중동 상황을 의제로 한 회의에서 해당 결의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의안은 안보리 이사국들이 지난주부터 일주일 이상 치열한 협상을 벌인 끝에 채택된 것이다. 앞서 가자지구 주민들이 심각한 굶주림에 시달린다는 국제기구 조사 결과가 나오자, 안보리 이사국들은 인도주의적 구호 지원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협상을 벌였다.

결의안 표결에서 찬성은 13표, 기권은 2표였다. 기권표를 던진 회원국은 상임이사국인 미국과 러시아로, 이들은 거부권 행사 대신 기권표를 냈다고 외신은 전했다. CNN은 "미국은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하는 지난 안보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가 전 세계적인 역풍을 맞은 후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지지 않으려고 애썼다"고 전했다.

결의안은 "완전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고 방해받지 않는 인도주의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기간 가자지구 전역에서 인도주의적 활동을 긴급히 연장하고 통로를 확보할 것"을 촉구했다.

린다 토마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왼쪽)가 22일(현지시간) 유엔 미국 뉴욕 본부에서 리야드 만수르 유엔 주재 팔레스타인 대사(오른쪽)와 대화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다만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의 주장에 따라 "결의안의 최종 버전은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하지 않았고, '적대 행위의 긴급한 중단'을 주장했던 이전 문구도 생략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결의안이 "이스라엘의 공습과 지상 작전으로 약 2만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한 가자지구의 현재 전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안보리 결의는 회원국에 법적 구속력이 있지만, 이를 시행하려면 합의가 필요해 실질적인 시행이 어려울 수 있다고 NYT는 설명했다.

결의안 작성을 주도한 아랍에미리트(UAE)는 결의안 초안에 '적대행위 중단'과 구호품 운송에 대한 독점적 감시 권한을 유엔 기구에 맡기자는 내용을 포함했었다. 그러나 미국이 이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시사하면서 해당 문구는 최종안에서 제외됐다. 미국의 한 고위 외교관은 "유엔은 미국 측에 사적으로 이 일(구호품 운송 감시)을 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이 원조 흐름에 대한 기존의 메커니즘을 대체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이번 결의안에 기권표를 던진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 하지만 CNN은 미국은 이번 결의안에 하마스에 대한 비난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불만을 표하면 기권표를 던졌다고 전했다. 한 미국 고위 외교관은 CNN에 "우리는 하마스에 대한 비난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또 '즉각적인 휴전'에 대해선 "지속 가능한 적대 행위 중단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것은 모두가 원하는 일"이라면서도 "지난 몇 주 동안의 가장 큰 논쟁은 '지금이 적대 행위 중단을 위한 적기인가?'였다. 우리는 (즉각적인 휴전을 위한) 조건이 (먼저) 맞아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