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에 돈 많이 쓰지 마" 中, 성인도 규제…관련주 25% 폭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정부가 온라인게임에 대한 고강도 규제 방침을 공개하면서 중국의 대표적 게임주들의 주가가 급락하고 있다.
정부의 규제가 게임 기업들의 수익에 직결되는 게임머니 충전과 과금에까지 이르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중국 정부의 게임 규제는 계속해서 수위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번 규제는 이전과는 성격이 다소 다르다.
중국 정부는 최근까지 신규 게임 승인을 일괄 보류하는 등 지속적으로 게임 규제 강화 방안을 시사해 왔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존 미성년자 대상 넘어선 광범위 규제에 시장 출렁
중국 정부가 온라인게임에 대한 고강도 규제 방침을 공개하면서 중국의 대표적 게임주들의 주가가 급락하고 있다. 정부의 규제가 게임 기업들의 수익에 직결되는 게임머니 충전과 과금에까지 이르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NPPA)은 22일 공지를 통해 이런 내용을 담은 '온라인게임 관리방안' 초안을 공개했다. 내년 1월 22일까지 업계 의견을 접수받은 후 구체적인 안을 마련해 시행한다.
핵심은 게임 내 여러가지 과금 기능에 대한 규제 도입이다. 초안에 따르면 앞으로 중국에서 공급되는 게임에서는 모든 플레이어의 계정에 충전 한도가 걸린다. 원한다고 해서 무한정 게임머니를 충전해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다. 추가로 플레이어가 과금할 때마다 '비합리적 소비행동에 주의하라'는 내용의 경고 삽입이 의무화할 전망이다.
또 신규 가입이나 연속접속에 대한 보상을 설정해 게임에 자주 접속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의 마케팅을 금지하는 내용도 반영됐다. 자주 접속한다고 해서 보상으로 아이템이나 게임머니를 제공할 수 없다.
초안은 또 게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매매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했다. 뽑기로 나오는 이른바 확률형 아이템 역시 횟수와 확률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과도한 결제를 유도할 수 없도록 했다. 특히 미성년자들에 대해서는 더 강도 높게 제한한다.
중국 정부의 게임 규제는 계속해서 수위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번 규제는 이전과는 성격이 다소 다르다. 중국은 지난 2021년 미성년자들의 게임 과몰입을 방지하기 위해 18세 미만의 게임 이용 시간을 제한하는 조치를 내놨다. 아울러 미성년자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자체를 부모 별도 동의가 없는 한 자동으로 제한하는 제도도 도입했다. 대부분 미성년자들에게 초점을 맞춘 규제였다.
그러나 이번 규제는 미성년자뿐 아니라 성인 이용자들에게 더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게임사들의 근심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중국 정부는 최근까지 신규 게임 승인을 일괄 보류하는 등 지속적으로 게임 규제 강화 방안을 시사해 왔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게임 시장은 성장 일로다. 중국 오디오·비디오 및 디지털 퍼블리싱 협회가 이달 초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들어 11월까지 중국 비디오 게임 산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3030억위안(약 55.2조원)으로, 2003년 관련 데이터 집계 개시 이후 가장 큰 규모였다.
중국 게임업계는 이번 규제야말로 실질적인 타격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아이템을 판매하거나 사용요금을 과금하는 형태는 온라인게임 회사들의 실적에 직결되는 부분이다. 정부가 과금 관련 규제를 지속 확대할 경우 게임제작사들의 수익구조는 크게 악화할 전망이다.
실제 이날 오후 현재 홍콩거래소에서 대표적 게임주인 텐센트의 주가는 13% 안팎, 경쟁사인 넷이즈의 주가는 25% 안팎 하락하고 있다. 한국 등 기타 주요 시장에서도 게임주의 하락이 눈에 띈다.
리서치기업 옴디아의 추이첸유 수석애널리스트는 "게임 내 충전 기능을 금지한 것은 게임의 가장 큰 마케팅 수단에 제동이 걸렸다는 의미"라며 "특히 롤플레잉 게임과 하이퍼캐주얼 게임 장르 신작들의 매출 흐름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초안에는 유저 충전 허용 횟수나 금액 기준이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지 않아, 업계 전체가 실제로 발표될 기준을 주목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cheerup@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수학강사 남친, 실종 6일간 이혼녀와 성관계... 여친의 기상천외한 복수 - 머니투데이
- '사기 미수'로 이동국 고소한 병원장, 소송 취하…"오해 있었다" - 머니투데이
- "매년 수면마취 후 탄력 관리받는다"…한예슬, 미모 비결 공개 - 머니투데이
- 배우 강성연·김가온, 지난해 이혼…"사랑이라 믿었지만 사랑 아니었다" - 머니투데이
- 시크릿 송지은, '전신마비 유튜버' 박위와 열애…"선물 같은 사람" - 머니투데이
- [단독]"검사들 오늘 밥도 청사에서"…이재명 선고 앞두고 검찰 외출자제령 - 머니투데이
- "탈모 보험 있나요"…모발 이식 고백한 걸그룹 멤버, 왜? - 머니투데이
- "13살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쓰러져"…'8번 이혼' 유퉁, 건강 악화 - 머니투데이
- 윤 대통령, 시진핑과 2년만에 한중 정상회담…한미일 정상회의도 개최 - 머니투데이
- "4만전자 찍었다고? 지금 사자"…삼성전자 장중 6%대 반등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