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기사·접수요원·경찰의 '손발 척척'..중국인 마약사범 검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택시 손님의 말에 '마약 던지기'를 의심하고 기지를 발휘한 택시 기사 덕분에 경찰이 마약사범을 검거했습니다.
A씨는 경찰에서 "당초 수원역에서 택시를 탄 B씨가 시흥의 한 다세대 주택으로 가자고 해서 데려다줬더니, '잠시만 기다려라'라고 말한 뒤 우편함에서 물건만 쏙 빼내 다시 택시에 탑승해 수원역에 가자고 하더라"라며 "언론 등을 통해 알려졌던 마약사범들의 '던지기' 수법이 의심돼 112에 신고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2일 경기남부경찰청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따르면 전날 저녁 7시 8분쯤 잘못 걸린 전화인 듯 한 112 신고 1건이 접수됐습니다.
전화를 건 40대 택시 기사 A씨는 대뜸 "응. 나 픽업하러 올 거지?"라고 말을 꺼낸 뒤 "너희 회사는 수원역에 있잖아"라고 말했습니다.
당시 신고접수를 한 상황1팀 이준영 경사는 이상함을 감지하고 "혹시 위급한 상황에 있느냐. '응, 아니'로 대답해 달라"고 했고, A씨는 "응"이라고 답했습니다.
이 경사는 A씨가 말한 '픽업'을 경찰관 출동 요청으로, '수원역'을 수원역 앞에 있는 매산지구대로 이해하고 곧바로 '코드0'(CODE 0·매뉴얼 중 위급사항 최고 단계)을 발령했습니다.
동시에 '공청'(모든 요원이 신고접수 상황을 공동으로 청취하는 것)을 실시했습니다.
A씨는 차량 번호를 얘기하고는 '드럭'(drug·약물)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마약사범으로 의심되는 손님이 택시에 탑승했음을 알리기도 했습니다.
이 경사는 이에 "억지로 범인을 잡을 필요는 없다. 위급 상황이 생기면 대처하려고 하지 말고 범인을 그대로 내려줘라. 그 다음은 우리 경찰이 알아서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택시 색상을 과일색으로 말해달라", "(범인의) 옷 색깔을 날씨에 비유해 답해달라"고 대화를 이어갔고, 정차 전에는 비상등을 켜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이후 A씨는 택시를 몰아 수원역 앞 매산지구대 쪽으로 가 정차했고, 미리 대기하고 있던 경찰관들은 저녁 7시 24분 중국 국적의 30대 마약사범 B씨를 즉시 검거할 수 있었습니다.
B씨는 필로폰 0.6g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앞서 중국판 카카오톡인 '위챗'으로 마약을 구매해 '던지기'(특정 장소에 물건을 놓으면 찾아가는 방식)로 수령했다고 실토했습니다.
A씨는 경찰에서 "당초 수원역에서 택시를 탄 B씨가 시흥의 한 다세대 주택으로 가자고 해서 데려다줬더니, '잠시만 기다려라'라고 말한 뒤 우편함에서 물건만 쏙 빼내 다시 택시에 탑승해 수원역에 가자고 하더라"라며 "언론 등을 통해 알려졌던 마약사범들의 '던지기' 수법이 의심돼 112에 신고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박기성 경기남부경찰청 112 관리팀장은 "이번 사건에서 택시 기사의 기지 발휘, 신고접수 요원의 철저한 대응, 지구대 경찰관들의 신속한 대처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졌다"며 "경기남부경찰 112 상황실은 신고인의 말 한마디도 허투루 듣지 않고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경찰은 마약류 관리법 위반 혐의로 B씨를 붙잡아 자세한 사건 경위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사건사고 #택시기사 #마약사범 #마약던지기
Copyright © kbc광주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눈 치우던 제설차에서 불..60대 운전자 대피
- 동료 이주노동자 흉기로 찔러 살해한 스리랑카인 구속기소
- 5,999원 결제로 포인트 적립 '악용'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 "서울에 내집 마련? 월급 한 푼 안쓰고 15년 모아야"
- 남의 글 그대로 배껴 SNS에 올리면 저작권법ㆍ명예훼손 위반될까?
- 특별교통수단 예산 증액 무산..전장연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 재개"
- 주택 침입해 여성 성폭행한 남성, 17년 만에 DNA 분석으로 덜미
- 눈 치우던 제설차에서 불..60대 운전자 대피
- 동료 이주노동자 흉기로 찔러 살해한 스리랑카인 구속기소
- 광주 어린이집 보육교사 10명 중 6명 "연차 자유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