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명태’와 ‘동태’ 그리고 ‘북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겨울에 먹은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동태탕이나 생태찌개만한 것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마른 명태를 북어라고 이르게 된 것은 함경도가 북쪽에 있어서 남쪽에서는 볼 수 없는 물고기라 북어(北魚)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언 것은 동태(凍太)라 하고 얼리지 않고 싱싱한(?) 것은 생태(生太)라고 한다.
그러니까 명태가 가장 일반적인 이름(상위어)이고, 말리면 북어, 얼리면 동태, 싱싱하면 생태라고 이르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선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명태’일 것이다. 서양 사람들은 먹지 않는다고 하는데, 알 수는 없다. 이렇게 시원한 물고기를 왜 안 먹을까 의문이다. 우선 명태의 유래부터 알아보자.
옛날 함경도 명천(明川)에 성이 태(太) 씨인 사람이 고기잡이를 하며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낚시로 이상한 물고기를 잡았는데, 그 이름을 아무도 몰랐다. 그래서 그 고을 사람들은 명천에서 태 씨가 잡았다고 해서 ‘명태’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리고 마른 명태를 북어라고 이르게 된 것은 함경도가 북쪽에 있어서 남쪽에서는 볼 수 없는 물고기라 북어(北魚)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서정범 외 <새국어어원사전>에서 발췌 요약)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태와 북어는 그 유래가 잡은 사람과 생산지를 이르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언 것은 동태(凍太)라 하고 얼리지 않고 싱싱한(?) 것은 생태(生太)라고 한다. 그러니까 명태가 가장 일반적인 이름(상위어)이고, 말리면 북어, 얼리면 동태, 싱싱하면 생태라고 이르는 것이다. 그러면 황태는 도 무엇인가? 황태는 “얼부풀어서 더덕처럼 마른 북어를 이르는데, 빛깔이 누르고 살이 연하여 맛이 좋다.”고 사전에 나와 있다. 겨우내 진부령에서 눈과 바람을 맞으면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누런 색으로 변한 북어를 황태(黃太)라 이른다. ‘태(太)’ 자 돌림으로 나가는 것이 흥미롭다. 보통 물고기를 이를 때는 ‘치’ 자로 끝나는 것과 차이가 있다. 꽁치, 삼치, 참치 등은 모두 ‘차’ 자 돌림인데 말이다. ‘태’ 씨의 발견이 대단한 모양이다. 이제 각 단어들을 종류별로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고 예문을 살펴보자.
명태 : 대구과에 속한 물고기
(예문 : 안주는 명태 조각과 씀바귀 뿌리를 고추장에 무친 것이다.)
북어 : 말린 명태(북어(北魚)에서 유래했다)
(예문 : 국 끓여 먹게 북어를 방망이질해 놓아라.)
동태 : 얼린 명태(凍太)
(예문 : 동태탕은 고니의 얼큰하고 시원함이 일품이다.)
생태 : 얼리거나 말리지 않은, 잡은 상태 그대로의 명태
(예문 : 이윽고 우리 몫으로 생태찌개와 미역국이 새로 들어 왔다.)
황태 : 얼부풀어서 더덕처럼 마른 북어(더덕북어)
(예문 : 중부백화점에서는 오늘까지 고객들이 직접 황태를 방망이로 두드려 만든 황태채를 무료로 제공한다.(이상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서 발췌 요약함
하나의 물고기에 대한 이름이 참으로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명칭마다 특색이 있고, 의미도 다르다. 다만 ‘생태 같은 동태찌개’를 파는 곳을 가끔 볼 수 있다. 아마도 가격의 차이가 있는 모양이다. 생태와 동태를 확실하게 구분하여 고객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애’와 ‘고니’도 정확한 부위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이에 관해서는 과거에 집필한 적이 있어서 생략한다.) 오늘 점심은 생태찌개로 먹어야겠다.
[최태호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동훈 빙의 野원내대표? "김건희 특검 총선 이후에? 韓이라면…"
- 과소비에 맞서, 덜 쓸 권리를 선언하자
- 미·일만 바라보는 윤석열, 자주적 외교 펼치며 입지 넓히는 일본
- 한동훈 "9회말 2아웃이면 애매해도 후회없이 휘둘러야"
- 김부겸, 文대통령에 세밑 인사…민주당 통합 해법 논의했나
- 새해 예산안 국회 통과…이태원특별법은 상정 안돼
- 尹대통령, '한동훈 사의' 수용…'용산 직할체제' 강화
- 휴전 협상·안보리 지지부진 속 "가자 인구 1% 사망"
- 신원식 "서울의 봄, 시간 없어서 못봐…쿠데타 있어서도 안되고 있을 수도 없어"
- 보훈장관 후보자 "홍범도 장군 흉상, 국가 정체성 면에서 점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