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민생지원에 순익별 최대 3400억원 부담…‘적자’ 토스뱅크도 동참
최대 순이익 거둔 KB국민은행, 3400억원 규모 지원액 책정
올해 ‘적자’ 보인 토스뱅크도 자율 참여 의사 밝혀
단기 실적에 반영 예상돼…주가 하락 등 우려는 여전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은행권이 자영업자·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금융에 투입하는 2조원 이상 지원액을 올해 당기순이익 규모에 따라 분담하기로 결정하면서, 은행별 최대 3400억원 규모의 지원액이 책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요 은행의 분담액은 2~3000억원대 규모로, 6대 은행이 전체 85%가량의 대다수 지원액을 부담할 것으로 보인다.
21일 각 은행 사업보고서를 기반으로 총 2조원의 민생금융지원액 분담 현황을 추산한 결과, 올 3분기 약 2조8058억원의 은행권 최대 순이익을 거둔 KB국민은행의 분담금은 총 3415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순이익 2조7745억원을 벌어들인 하나은행의 분담금이 3377억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올해 2조5993억원의 순이익을 거둔 신한은행은 3164억원가량을 부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는 2조2980억원 순이익을 거둔 우리은행이 2797억원, 1조8889억원을 벌어들인 IBK기업은행이 2299억원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NH농협은행은 1조6106억원의 순이익을 벌어들여, 총 1960억원을 부담한다. 이에 따르면 6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의 분담액은 총 1조7000억원으로 전체 지원액(2조원)의 85%에 달한다.
지방은행의 경우 순이익 규모에 따라 수십억원에서 수백억원대의 지원금이 책정된다. 3930억원의 당기순익을 거둔 부산은행은 478억원, 같은 기간 3479억원 순이익을 거둔 대구은행은 423억원을 지원한다. 이외에는 ▷경남은행 282억원 ▷광주은행 262억원 ▷전북은행 194억원 ▷제주은행 16억원 등이다. 외국계 은행인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도 각각 374억원, 307억원의 지원금을 부담한다.
올 3분기 누적 2793억원의 순이익을 거둔 카카오뱅크는 인터넷은행 중 가장 많은 340억원을 부담할 전망이다. 382억원의 순이익을 벌어들인 케이뱅크의 지원액은 47억원 수준이다. 토스뱅크는 3분기 86억원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누적 적자가 299억원에 달해 분담액이 없다. 하지만 토스뱅크는 자율 프로그램을 통해 여타 은행과 유사한 방식의 지원을 준비 중이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분담금을 내야 하는 상황은 아니지만, 상생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자체적으로 차주를 선별해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이자 캐시백’ 방안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총지원액 2조원의 80% 수준인 1조6000억원을 개인사업자 ‘이자 캐시백’에 투입한다. 나머지 4000억원의 경우 은행권 자율 프로그램을 통해 집행한다. 지원액 분담에서 제외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또한 정책금융을 통해 추가 지원에 나선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지원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지원 한도를 당기순이익 10% 수준으로 판단했다. 이를 토대로 환산한 18개 은행의 지원액 상한은 2조1800억원으로 2조원을 다소 상회한다.
다만 은행권에서는 역대 최대 규모 ‘상생금융’에 따른 실적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내년 1월 중순까지 은행별 집행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3월까지 전체 50% 수준으로 집행을 서두를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은행들은 이를 토대로 가장 적합한 비용의 회계 반영 시기를 논의하고 있다. 다만 단기 실적 악화는 피할 수 없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1조6000억원 규모의 이자 캐시백은 환급 개념이기 때문에, 비용으로 처리하게 될 것”이라며 “원인이 발생한 올 4분기를 기준으로 할지, 집행 시점인 내년 1분기를 기준으로 할 지에 대해서는 더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최소한 하나 혹은 두 개 분기 실적에 반영되며 순이익에 큰 영향 끼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배당 축소를 우려한 주주들의 반발과 은행주 투자심리 위축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 올해 은행권을 향한 정부의 반복된 상생 압박은 은행주 주가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 바 있다. 이에 더해 막대한 규모의 지원책이 은행의 건전성 악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만 금융당국은 중장기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날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 발표 간담회에 참석한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이같은 지적에 대해 “은행 ESG 경영의 핵심은 지속가능한 경영”이라며 “고객을 어렵게 하는 방식으로 돈을 벌어서는 안 되며, 중장기적인 주주 이익 관점에서 그게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또한 “건전성이나 주주 설득에 필요한 수익성 측면 등도 모두 포함해서 논의했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부연했다.
w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장윤정 “2시간 해골된 기분” 연습용 음원 발매돼 진땀…무슨 일?
- 이범수 이윤진 부부, 파경설 즉각 부인…"이혼 아니다"
- '4억 체납' 박유천, 46만원 디너쇼·21만원 팬미팅 연다…누리꾼 "세금부터 내라"
- 박나래 “‘나 어떡하지’ 은퇴 고민 많이했다”…2차례나 받은 ‘이 수술’ 뭐길래
- “환갑 브래드 피트, 34살 여친과 생일 기념 호캉스”
- “이효리가 비행기 옆자리” 7억 몸값 그녀, 희귀병 유튜브 18분 우정출연 ‘감동’
- “멧돼지로 착각해 3발 쐈다” 가슴 총상 입고 숨졌는데…60대 엽사 ‘금고형’
- 15개월 아들 잃은 박보미 “통통하던 아기, 가루가 돼 떠났다” 오열
- ‘이대 출신’ 대통령 女경호관, 33살에 사표내고 배우된 사연
- 노사연 부친 사자명예훼손 혐의 작가 혐의 벗었다 "증거 불충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