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여론 조작, 더 쉬워졌다... 꾼들의 ‘무기’는
조작꾼들의 좋은 무기로 변질
대량의 정보가 최소한의 검열만을 거쳐 인터넷상에 공개되는 디지털 시대의 역설은 광범위한 여론 조작이 과거보다 훨씬 쉬워졌다는 점이다. 소셜미디어와 맞춤형 광고, 포털사이트의 ‘베스트 댓글’과 같은 빅테크 서비스들이 조작꾼들이 활용하기 좋은 무기로 변질됐기 때문이다. 과거엔 정보를 은폐해 여론 조작을 했다면, 이제는 특정 정보만 과도하게 노출하거나 보고 싶은 것만 보여주는 방식으로 현실을 왜곡하는 것이다.
지난 2016년 페이스북·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CA) 정보 유출 사건은 빅테크 플랫폼이 처음으로 대규모 선거 조작에 쓰이며 충격을 안겼다. 당시 영국 정치 컨설팅 기업 CA는 8600만 페이스북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동의 없이 수집하고, 이를 활용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등 공화당 정치인들의 선거 홍보에 활용했다. 수천만 명의 정보를 단숨에 확보하는 것은 과거엔 돈이 있어도 할 수 없는 일이었지만,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상황이 바뀌었다. 이에 앞서 CA 모기업인 스트래티직 커뮤니케이션 랩은 케냐에서 시민들의 소셜미디어 개인 정보를 활용해 정치적 성향을 분석하고, 조직적인 선거 조작을 벌이기도 했다.
네이버·다음·네이트 등 주요 포털에서 2016~2018년 사이 벌어진 드루킹 여론 조작 사건도 편리한 줄로만 여겼던 빅테크 서비스의 부작용을 보여줬다. 좋아요 또는 공감 횟수를 조직적으로 조작하는 방식으로 입맛에 맞는 내용의 ‘베스트 댓글’을 줄 세우고, 국민을 현혹한 것이다. 드루킹 사건 이후 국내 포털사이트들은 대부분 이 같은 ‘줄 세우기’ 식의 서비스를 폐지했지만, 이용자들의 클릭 수가 절실한 상황에 다시 유사 서비스를 도입하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빅테크의 서비스가 발전할수록 이를 악용하는 세력은 더욱 많고 정교해질 것으로 보인다. ‘시민 저널리즘’을 장려한다며 온갖 가짜 정보의 검열을 사실상 포기한 일론 머스크의 X(엑스) 처럼 부작용을 낳는 플랫폼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지난 8월 플랫폼 기업이 가짜·허위 정보 유통에 책임을 지게 하는 디지털서비스법(DSA)을 시행했고,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도 빅테크가 누리는 면책 특권 축소를 추진하고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자산가격에도 못미치는 삼성전자 주가, 언제 회복하나
- ‘8억 뜯긴’ 김준수 “당당하다... 잘못한 거 없어” 입장 밝혀
- 현직 강남경찰서 강력계 간부, 음주운전하다 교통사고
- 신진서, 커제에 반집승… 삼성화재배 8강 중 7명이 중국
- 풀무원, 3분기 실적 사상 최대치…영업이익은 전년비 50%넘게 올라
- 이재명 '의원직 상실형' 선고에도…검찰 “항소 검토”
- 삼성전자,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주주가치 제고”
- 주윤발 “허벅지에 있는 혹, 종양 아냐”...건강 이상설 반박
- “그물에 美 핵잠수함이 걸렸어요!” 노르웨이 선박이 받은 다급한 호출
- 31살 어린 상대 도발에…타이슨, 핵주먹 대신 ‘불따귀’ 날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