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농촌체험마을 붕괴 위기, 정부·지자체 적극 지원 나서야
농촌체험휴양마을이 붕괴 위기에 직면해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체험객과 방문객 급감, 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더 이상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어 여러 마을이 운영을 포기했다.
농촌체험휴양마을은 2008년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활성화됐다. 농촌의 자연환경과 전통문화 등을 활용해 각종 생활체험과 함께 휴양공간(팜스테이)을 제공, 도시민들의 인기가 높았다. 방문객이 증가하면서 매출도 크게 늘었다. 이에 지속가능한 농촌 활성화와 농업인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정책이란 평가를 받았다.
이 사업에는 국비와 지자체 예산이 투입됐다. 사무장 활동비, 보험가입 지원, 리더 및 사무장 역량교육 등에 예산 일부가 지원됐다. 나머지 운영비는 마을에서 자체 부담했다.
농촌체험휴양마을은 2020년 기준 전국에 1천115곳이나 됐다. 그런데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하면서 체험객과 방문객의 발길이 뚝 끊겼다. 이때부터 마을들이 쇠락의 길을 걷게 됐다. 경기도도 115곳의 농촌체험휴양마을이 운영 위기에 처해 있는 상태다.
양평외갓집체험마을은 규모나 체험객 수에서 전국에서 손꼽히는 곳이다. 성수기엔 체험객이 하루 1천500여명에 달했지만 지금은 크게 쪼그라들었다. 광주시 도척면의 산두른마을도 한 해 수만 명이 찾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지만, 경영난 속에 올해 초 운영을 포기했다. 연 최대 2만5천명의 관광객을 유치했던 오산시의 서랑동문화마을도 2021년 말 운영을 중단했다.
2018년 104만8천명에 달했던 경기도의 체험객은 2022년 53만3천명으로 급감했다. 올해는 9월 기준 35만9천명이 농촌체험마을을 찾았다. 매출액도 2018년 147억4천100만원에 달했으나 2022년 91억7천100만원으로 급감했다. 올해는 9월 기준 72억5천300만원에 그쳤다.
관광객이 줄고 매출이 감소하면 농촌체험마을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어렵다. 코로나 시국에 농촌체험마을은 소기업, 소상공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손실 보상 등이 제외됐다. 쇠락하는 농촌체험마을에 대한 시·군 지원도 거의 없다. 관광객과 매출액은 줄어들고 인건비와 전기세 등 고정비용은 증가해 운영자들의 고통이 큰데 정부는 사무장 인건비마저 끊겠다고 한다.
다행히 경기도가 내년부터 7억6천만원을 투입해 농촌체험휴양마을을 살리겠다고 한다. 컨설팅과 활동비 지원, 통합 홍보에 사무장 활동비도 지원할 계획이다. 농촌 활성화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나서야 한다. 폐쇄 전에 체험휴양마을을 다시 살려야 한다.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과 인프라 구축 등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 축구, 북중미월드컵 亞 3차 예선서 파죽의 4연승
- “해방이다” 수험생들의 ‘수능 일탈’ 우려...올해는 잠잠하네 [2025 수능]
- "우리 집으로 가자" 광명서 초등생 유인한 50대 긴급체포
- [영상] “온 어린이가 행복하길”…경기일보‧초록우산, 제10회 경기나눔천사페스티벌 ‘산타원
- 성균관대 유지범 총장, 대만국립정치대학교에서 명예 교육학 박사학위 받아
- 어린이들에게 사랑 나눠요, 제10회 나눔천사 페스티벌 산타원정대 [포토뉴스]
- 이재명 “혜경아 사랑한다” vs 한동훈 “이 대표도 범행 부인”
- “수고했어 우리 아들, 딸”…“수능 끝, 이제 놀거예요!” [2025 수능]
- 지난해보다 쉬웠던 수능…최상위권 변별력 확보는 ‘끄덕’ [2025 수능]
- 평택 미군기지 내 불법 취업한 외국인 10명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