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인식조사’ 분석해보니…국민 4명 중 1명 당했다 [뉴스 투데이]

박지원 2023. 12. 20. 1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A씨와 B씨처럼 직장 내에서 회식과 관련해 갑질을 당한 사례를 지난 15일 공개했다.

국민 4명 중 1명이 최근 1년 이내에 갑질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조실 ‘갑질 인식조사’ 분석 결과
응답자 79% “심각하게 인식”
10명 중 3명 “처벌 강화해야”
21% “학부모 갑질 직접 겪거나 목격”
87.4%가 “갑질 당해도 신고 어려워”
“피해·신고자 보호 강화 필요” 목소리
#1. 직장인 A씨는 회사 회식자리에 지각했다 임원으로부터 ‘어떻게 회식에 지각할 수 있냐’는 질책을 들었다. 그뿐만 아니라 임원은 술을 많이 시켜놓고는 회식자리가 파할 무렵 남은 술을 전부 A씨가 마시도록 강요하기도 했다. A씨는 술이 약했음에도 구역질을 참고 꾸역꾸역 남은 술을 마셔야만 했다.
 
#2. 또 다른 직장인 B씨는 부서 내에서 회식비 명목으로 매달 몇만원씩을 내라는 요구를 받았다. B씨가 회식에 참여하지 않고 회식비를 내지 않자 부서장은 이를 빌미로 B씨를 질책하고 다시 이 문제로 말이 나올 경우 타부서로 전출 보내겠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A씨와 B씨처럼 직장 내 회식 관련 갑질 사례를 지난 15일 공개했다.
국민 4명 중 1명이 최근 1년 이내에 갑질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국민 10명 중 8명은 우리 사회의 갑질 문제가 심각하다고 봤다.

국무조정실이 만19∼69세의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20일 발표한 ‘2023 갑질 인식 조사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 사회의 갑질 심각성에 대해 응답자의 79.4%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갑질이 심각하다는 응답은 2018년 90%에서 2019년 86%, 2020년 83.8%, 2021년 81.9%, 지난해 79.2%로 매년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지만 올해는 지난해와 비교해 심각하다는 응답률이 근소하게 높아졌다.

최근 1년 이내에 갑질 피해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25.7%가 ‘경험했다’고 답했다. 최근 갑질을 경험했다는 응답은 2021년 27.3%에서 지난해 26.1%, 올해 25.7%로 3년째 근소하게 하락했다.

갑질이 발생한 관계는 ‘직장 내 상·하급자 관계’가 36.1%로 가장 많았고 ‘본사·협력업체 관계’(19.7%), ‘상품매장 등 서비스업 이용자와 종사자 관계’(14.7%), ‘공공기관 근로자와 민원인 관계(14.5%)’ 등이 뒤를 이었다. 갑질의 형태는 부당한 업무지시(43.4%), 폭행·폭언 등 비인격적 행위(32.7%), 불리한 계약조건 강요(27.6%), 사적 용무 지시(21.3%) 순으로 많았다.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갑질과 같이 최근 사회적으로 많은 논란이 된 유형의 갑질을 본인 또는 주변인이 경험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20.8%가 학부모에 의한 갑질을 당했다고 답했고 15.2%가 원청업체로부터의 갑질을, 11.6%가 가맹본부의 대리점 대상 갑질을 당했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시중은행의 소상공인에 대한 갑질, 학교 교장의 교사 상대 갑질 등 다양한 유형의 갑질 경험이 고르게 분포되어 나타났다.
갑질이 발생했을 경우 신고가 용이한가에 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87.4%가 신고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 중 35.4%는 신고가 매우 어렵다고 답했고 52%는 신고가 대체로 어렵다고 답했다. 신고하기 대체로 쉽다는 응답과 신고하기 매우 쉽다는 응답은 각각 6.7%와 3%에 그쳤다. 신고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는 피해자 중심의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12.6%가 신고자 보호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고 11.8%는 신고자 익명 보장을 보다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답했다. 신고에 따른 불이익을 해소해줘야 한다는 답변도 6.4%였다. 갑질 가해자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신고 관련 제도 및 법령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각각 6.4%와 5.3%로 나타났다.

정부의 갑질 근절 노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인 49.8%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가 갑질 문제 개선을 위해 더 노력해야 할 부분으로는 ‘갑질에 대한 처벌 강화(30.8%), 제보자·피해자에 대한 보호 강화(26.1%), 관련 법·제도 개선(16.4%), 갑질 근절 캠페인 및 홍보 강화(9%), 갑질 신고절차 등 개선(8.9%) 등이 꼽혔다.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은 “그동안 정부가 우리 사회 내 갑질 근절을 위해 대책을 수립하고 규정과 제도를 정비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여전히 상당수 국민은 직간접적으로 갑질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갑질은 피해자 개인에게 심적 고통을 안겨주고 직장 내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회사와 단체, 나아가 우리가 속한 모든 공동체의 유지·발전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장애요인이라는 점에서 갑질 근절은 결코 소홀히 할 수도 없고 소홀히 해서도 안 되는 과제”라고 덧붙였다. 방 실장은 특히 “정부는 이번 조사에서 제시된 ‘갑질 신고를 쉽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는 한편 직장 내 괴롭힘 금지를 명시하는 내용의 국가공무원법 개정안 등 국회에 계류 중인 관련 법안들의 조속한 통과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18년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마련한 ‘공공분야 갑질 근절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시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2.2%포인트다.

박지원 기자 g1@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