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2023년 구단별 샐러리캡 소진 현황 발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3시즌 샐러리캡 상한액(연봉 총액 상한선)을 초과한 구단은 없었다.
2021~2022년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의 금액(외국인선수 및 신인을 제외한 각 구단의 소속선수 중 연봉, 옵션 실지급액, FA 연평균 계약금)을 합산한 뒤 연평균을 낸 액수의 120%인 114억2638만 원으로 샐러리캡을 정했다.
최근 KBO 실행위원회(10개 구단 단장회의)에서 샐러리캡 제도의 손질 여부를 논의했으나 별다른 결론을 도출하진 못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O는 20일 2023년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의 합계 금액을 발표했다. 두산 베어스가 111억8175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SSG 랜더스(108억4647만 원), LG 트윈스(107억9750만 원)가 그 뒤를 이었다. 키움 히어로즈는 64억5200만 원으로 10개 구단 중 가장 적었다. 100억 원 넘게 지출한 팀은 모두 6개였다.
KBO는 전력 상향평준화와 지속적 발전을 위해 올해부터 샐러리캡 제도를 시행했다. 2021~2022년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의 금액(외국인선수 및 신인을 제외한 각 구단의 소속선수 중 연봉, 옵션 실지급액, FA 연평균 계약금)을 합산한 뒤 연평균을 낸 액수의 120%인 114억2638만 원으로 샐러리캡을 정했다.
6개 구단이 100억 원을 넘긴 데서 드러나듯 샐러리캡에 대한 압박은 작지 않았다. 2023시즌을 마친 뒤 문을 연 프리에이전트(FA) 시장에서 구단들이 과거만큼 선수 영입에 적극성을 보이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도 샐러리캡에 대한 부담 때문이라는 시각이 대세다.
최근 KBO 실행위원회(10개 구단 단장회의)에서 샐러리캡 제도의 손질 여부를 논의했으나 별다른 결론을 도출하진 못했다. 일부 구단은 샐러리캡 부담으로 인한 시장의 위축, 전력 유지에 대한 우려 등을 이유로 폐지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행위원회에선 이해관계가 엇갈릴 수밖에 없었다.
최용석 기자 gtyong@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달이’ 김성은 근황, 서른셋에 모델 에이전시 대표이사 (살아있어)
- 한효주, 색다른 분위기…시크+카리스마 [화보]
- 지드래곤 없는 지드래곤 기자회견 연다…소속사는 갤럭시코퍼레이션 [공식]
- 공효진 ‘유퀴즈’ 출연, ♥케빈오와 신혼 생활 공개 [공식]
- 이윤진 의미심장 SNS…이범수 측 “이혼 아니다” 부인 [공식]
- 김병만 전처가 가입한 보험, 수익자는 본인과 입양한 딸 (연예튀통령)[종합]
- 이지아, 레이스 레깅스라니…두 눈 의심케 하는 독특 패션 [DA★]
- ‘파혼’ 전소민, 대출 때문에 몰래 배달 알바까지 (오지송)
- 매혹·관음·반전…‘히든페이스’, 핵심 포인트 셋
- 박인비 딸 인서, 키즈 카페 대신 실내 스크린 골프장 가는 18개월 (슈돌)[TV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