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I, “미세먼지 '유래 성분' AI로 밝힌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겨울철 미세먼지 우려가 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초미세먼지 성분을 분자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김영환 박사는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초미세먼지 내 유기화합물을 분자 수준으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인공신경망 모델링 기법을 통해 초미세먼지 발생지역과 관련된 화학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했다"며, "이러한 분석법의 다양한 응용을 통하여 대기 환경오염의 주범인 초미세먼지의 생성 경로 분석, 배출원 추적 및 저감 기술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겨울철 미세먼지 우려가 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초미세먼지 성분을 분자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원장 양성광)은 김영환 바이오화학분석팀 박사팀이 김성환 경북대 화학과 교수팀과 동절기 동북아시아 3개국(한국·중국·몽골)에서 수집된 초미세먼지 시료를 분석하고, 발생지역 관련 화학적 특성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개발 분석법은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활용해 다양한 초미세먼지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질량분석 데이터 기반 인공신경망 모델링' 기술이다.
환경 시료 물질의 분자량 및 화학적 조성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은 물론, 수많은 시료 분석 빅데이터가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통해 초미세먼지의 화학적 특성을 다양한 변수들로부터 추론해 분석·해석하는 능력도 있다.
기존 초미세먼지 측정법은 분석 데이터의 복잡성 및 시료 생성 변수의 다양성으로 인해, 그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기술은 초미세먼지 발생지역 간 대기환경 오염 차이 관련 환경 오염물질을 분자 수준으로 분석, 다양한 초미세먼지 생성 변수 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이해할 수 있다.
초미세먼지 시료는 3개국 수도(서울, 베이징, 울란바토르)에서 동절기인 2020년 12월부터 한 달간 매일 포집기를 통해 확보한 입자를 바탕으로, 추출 및 농축 과정을 거쳐 총 692개의 샘플(견본)을 만들었다.
그리고 경북대에 설치된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7T FT-ICR MS)로 모든 시료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데이터를 각 시료가 발생한 지역 정보와 함께 인공신경망 분류 학습 모델에 적용시킴으로써, 각 지역별 분석 데이터와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함께 학습되도록 했다.
시료들에 포함된 다양한 유기성분을 분자 수준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발생지역 간 초미세먼지의 화학적 구성이 어떤 차이와 특징을 보이는 지를 알 수 있었다.
또 KBSI에 설치된 2차원 가스크로마토그래피/고분해능 질량분석기로는 초미세먼지 내 대표적 환경 오염물질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을 분석했다.
울란바토르의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는 서울과 베이징에 비해 약 2~3배 이상 높았는데, 유해한 환경 오염물질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농도는 그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울란바토르의 초미세먼지는 석탄 연소로 인한 방향족 산화물과 황산화물이 다수 포함돼 있었으며, 서울과 베이징의 초미세먼지에는 석유 연소로 생성되는 산화물이 주요 성분임을 확인했다.
베이징의 초미세먼지에는 디젤 엔진의 연소로 생성되는 방향족 질소 산화물이 추가 관찰됐다.
본 연구결과는 KBSI의 '미세먼지 유해물질 분석 및 유해성 평가기술 개발' 사업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환경 분야 저명 학술지인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11월 25일 지면 게재됐다.
김영환 박사는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초미세먼지 내 유기화합물을 분자 수준으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인공신경망 모델링 기법을 통해 초미세먼지 발생지역과 관련된 화학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했다”며, “이러한 분석법의 다양한 응용을 통하여 대기 환경오염의 주범인 초미세먼지의 생성 경로 분석, 배출원 추적 및 저감 기술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야, ODA 줄여 'R&D 예산 증액' 가닥
- '알리 되팔기' 관세포탈 사각지대 우려
- 네카오 사전규제… 플랫폼법 만든다
- 여야, 'R&D 6000억 증액' 예산안 합의…21일 처리
- 메가존소프트, 알리바바 클라우드 한국 데이터센터 할인 프로모션
- [양자기술 상용화 기반조성 성과] 고려대 서울산학협력단, MRI 기반 큐비트 생성 장치 구현
- [양자기술 상용화 기반조성 성과] NIA, 양자기술 활성화 핵심 임무 수행(도비라)
- 삼성, LEDoS는 반도체·OLEDoS는 디스플레이가 맡는다
- LG화학, 북미 최대 규모 양극재 공장 착공…“2026년 6만톤 양산”
- AI 반도체 장비 경쟁 치열한데...“한국 특허 4% 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