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러기 모양' 나무 조각품 국내 첫 수중 발굴 확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한 충남 태안군 마도(馬島) 해역 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 선체 조각과 기러기형 나무 조각품, 청자 접시 등 500여 점을 발굴했다고 밝혔습니다.
2009년부터 올해까지 실시된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선박 3척(마도1~3호선), 조선시대 선박 1척(마도4호선) 등 고선박 4척과 유물 1만여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양문화재연, 태안 마도해역 발굴조사
고려시대 선체 조각 등 500여 점 발굴
과학적 분석 선박측면 추정..정밀 발굴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올해 7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한 충남 태안군 마도(馬島) 해역 발굴조사에서 고려시대 선체 조각과 기러기형 나무 조각품, 청자 접시 등 500여 점을 발굴했다고 밝혔습니다.
태안 마도 해역은 예로부터 해난사고가 잦았던 곳으로, ‘조선왕조실록’에 1392년(태조 4년)부터 1455년(세조 1년)까지 약 60여 년 동안 200척에 달하는 선박이 태안 안흥량에서 침몰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2009년부터 올해까지 실시된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선박 3척(마도1~3호선), 조선시대 선박 1척(마도4호선) 등 고선박 4척과 유물 1만여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올해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선체 조각(길이 115㎝, 너비 31.5㎝, 높이 15㎝)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11~12세기의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결부와 홈이 잘 남아있어, 과거 인근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침몰선인 마도2호선(2010년 발굴) 혹은 마도3호선(2011년 발굴)의 외판재일 가능성이 있으나 또 다른 선박의 일부일 수 있어 2024년에 주변지역에 대한 수중발굴을 통해 확인해 나갈 계획입니다.
‘외판재’는 선체의 양 옆면을 이루는 부재로, 여러 개의 목재를 쌓아서 만듭니다.
또한 함께 발굴된 기러기 모양의 나무 조각품(길이 59.2㎝, 너비 11.6㎝, 높이 8.3㎝)은 국내 수중발굴조사에서 처음 확인된 것입니다.
대부분의 기러기형 나무 조각품은 솟대와 같이 새가 앉아있는 모습이지만 이번에 발굴된 유물은 새가 날아가는 모습이며 아래에 구멍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경국대전’,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기러기가 혼례, 제례 등 오례에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어, 안전한 항해를 위해 동물 공희의 개념으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향후 추가적인 분석과 제의 관련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솟대’는 마을 수호신 및 경계의 상징으로 마을 입구에 세운 장대이며, 끝에는 나무로 만든 새를 붙이고, ‘공희(供犧)’는 신에게 희생 공물로 바치던 동식물을 말합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07년부터 올해까지 총 10차례의 마도 해역 수중발굴조사를 완료한 데 이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새로운 고선박의 흔적을 찾는 조사를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기러기 #나무 조각품 #수중 발굴 #안전 항해 #동물 공희 #해양문화재연소 #태안 #마도해역 #고려시대 #선체 조각
Copyright © kbc광주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압구정 롤스로이스' 운전자에 징역 20년 구형
- [단독] 신평 "한동훈 비대위원장 결정, 확실..한 장관도 OK, 발표 시점 조율 중"[여의도초대석]
- "아이 찾으려면 2억 보내"..초등학생 유괴범 긴급체포
- 음주운전 걸리자 내연녀에게 거짓 증언 시킨 50대 '무등록' 학원장
- 여순감옥도 꺾지 못한 기개..안중근 의사 유묵 110여 년 만 고국 품으로
- 여순감옥도 꺾지 못한 기개..안중근 의사 유묵 110여 년 만 고국 품으로
- 광주·전남, 폭설에 한파까지 '덜덜'..최고 20cm 눈
- 현장 의견 반영해 ‘미술진흥사업’ 알린다..2024년도 사업 주요 내용 설명회
- 내일까지 최고 20cm 눈..강추위도 다시 기승
- 김대중 전 대통령 일대기 담은 다큐 '길위에 김대중' 시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