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땅 꺼짐 사고 예방 위해 지하철역 주변 등 점검구간 10배 확대
땅속 빈 공간인 지하 공동(空洞)은 빗물이 유입돼 토사가 유실되거나 상·하수관 파손 등의 이유로 생긴다. 지하 공간 활용이 많아지고 도시가 노후화됨에 따라 발생 빈도가 잦아지는데 미리 대처하지 않으면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
서울시가 이처럼 공동 발생 우려가 큰 지역의 조사 구간 길이를 올해보다 10배 늘리고, 과학적 관리를 위한 지반침하 위험지도 구축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우선 집중호우·해빙기 전후로 침하 가능성이 있거나 노후 상·하수관과 지하철역 주변 등의 도로 1850㎞에 대해 내년부터 연 2~4회 반복적으로 공동 특별점검에 나선다. 연차별 정기점검과는 별도로 연 500㎞를 추가 조사했던 범위를 연 5000㎞로 10배 확대하는 것이다.
5년 주기 정기점검에는 올해부터 차도(6863㎞)뿐 아니라 보도(4093㎞)를 포함해 총 1만956㎞ 보·차도를 매년 2000㎞씩 살필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전담 조사 인력과 지표투과레이더(GPR) 등 장비도 2배로 늘린다.
서울시가 관리하는 시내 도로 1만8280㎞ 구간은 2014년부터 전수조사를 시행 중이다. 이를 통해 공동 6394개를 사전에 발견해 복구했다. 지난해까지 두 차례 전수조사가 이뤄졌고, 올해부터 3회차가 시작됐다. 장비 개발과 인력 투입 증가로 조사 구간이 매년 늘어난 반면 공동 발견 개수는 줄어들고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시내 도로 조사구간은 2014년 61㎞에서 올해 1만8280㎞로 60배 확대됐다. 발견된 공동 개수는 2018년 연간 1280개로 정점을 찍고 지난해 361개까지 줄었다가 올해 841개로 다시 늘었다. 1㎞당 공동발견율로 보면 10년 새 0.61개에서 0.23개로 감소했다.
이 같은 예방 활동에 따라 2016년 57건 발생했던 땅 꺼짐 현상은 올해는 22건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최근 강남구 언주역·청담역, 영등포구 여의도 등에서 크고 작은 땅 꺼짐이 발견돼 시민 불안은 가시지 않은 상태다.
이에 서울시는 올해 지하시설물·지질·지하수·지하개발 사업 등의 정보를 모은 지하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한 데 이어 내년에는 과학적으로 지반침하 조사 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그릴 계획이다.
관리주체가 많고, 다양한 지하시설물이 설치돼 복잡하게 얽혀 있는 지하 공간을 통합 관리하는 방식이다. 2029년까지는 서울 전역에 250개 관측정을 설치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반침하 관측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를 막기 위해 지하 10m 이상 굴착 공사장 10곳을 표본 점검했던 지하안전평가를 올해부터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연간 시내 200~300곳에서 진행되는 굴착 공사의 지반·지질·지하수 영향 등을 미리 조사하는 것이다.
최진석 서울시 재난안전관리실장은 “땅속 빈 공간인 공동은 지반침하를 유발하는 위험 요인으로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활용한 예방 활동을 강화해 안전한 서울의 도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빗속에 모인 시민들···‘윤석열 퇴진·김건희 특검’ 촉구 대규모 집회
- 트럼프에 올라탄 머스크의 ‘우주 질주’…인류에게 약일까 독일까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사라진 돌잔치 대신인가?…‘젠더리빌’ 파티 유행
- “나도 있다”…‘이재명 대 한동훈’ 구도 흔드는 경쟁자들
- 제주 제2공항 수천 필지 들여다보니…짙게 드리워진 투기의 그림자
- 말로는 탈북자 위한다며…‘북 가족 송금’은 수사해놓고 왜 나 몰라라
- 경기 안산 6층 상가 건물서 화재…모텔 투숙객 등 52명 구조
- [산업이지] 한국에서 이런 게임이? 지스타에서 읽은 트렌드
- [주간경향이 만난 초선] (10)“이재명 방탄? 민주당은 항상 민생이 최우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