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조국 독립’ 도왔던 차보석·신달윤 선생 묘소 찾았다

노석조 기자 2023. 12. 20. 12: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립유공자 차보석 선생.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

일제강점기 미주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고(故) 차보석·신달윤 선생의 묘지가 최근 확인됐다. 두 지사는 모두 미 샌프란시스코 사이프러스 묘지에 잠들어 있었다. 국가보훈부는 이들 선생의 유해를 국내로 봉환할 방침이다.

잊혀졌던 독립운동지사 차·신 선생의 묘지는 지난 10월 문양목 애국지사의 유해를 봉환하기 위해 보훈부 출장단이 미 현지 묘지 실태 조사를 하다 발견했다. 출장단은 미주 지역 한인신문 등 각종 사료와 증언·제보를 취합해 분석했는데, 이 과정에서 차·신 선생 유해가 사이프러스 묘지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직접 찾아가 실제 묘지가 있다는 걸 확인한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사이프러스 묘지.

보훈부에 따르면, 차 선생은 1892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1921년 중국 상하이(上海)의 재상해유일학생회에서 활동했다. 이후 미국으로 넘어가 1925년부터 대한여자애국단 샌프란시스코지부 단장, 총단장, 서기·재무담당을 맡았다. 1931년 대한인국민회에 들어갔으며 1932년 ‘3·1절’ 기념식 준비위원 등을 지냈다. 차 선생은 샌프란시스코 국어학교의 교사, 재무담당으로도 일했다.

신 선생은 1881년 평안남도 출생으로 미국으로 건너간 뒤 1907년 공립협회 리버사이드 지방회 구제위원, 1908년 샌프란시스코 지방회원을 지냈다. 1910년부터는 대한인국민회 새크라멘토 지방회의 부회장·총무 및 재무담당을 역임했다. 1919년 맨티카 지방회의 총무, 1927년 샌프란시스코 지방회 총무·법무, 1943년 샌프란시스코 한인경위대원으로 활동했다.

차·신 선생은 각각 1925~1932년, 1905~1945년 국내외 독립운동가들에게 여러 차례 자금 지원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차 선생은 1932년 3월, 신 선생은 1956년 7월 각각 미국에서 숨을 거뒀다. 우리 정부는 이들의 공적을 기려 차 선생에겐 건국훈장 애족장(2016년)을, 신 선생에겐 대통령표창(2015년)을 각각 추서했다. 이후 7~8년이 지나서야 이번에 두 독립운동가의 묘지를 찾은 것이다.

최정식 보훈부 과장은 본지에 “해외에 있는 독립유공자 유해 봉환은 유족의 청원을 통해 진행된다”면서 “생존 유족이 없을 경우 교민사회의 청원을 통해 봉환을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독립운동가 문양목 선생.

캘리포니아주 파크뷰 묘지에 안장된 문양목 선생의 유해도 현지 법원에 유해 이장 관련 청원 소송이 제기될 전망이다.

문 선생은 1869년 충청도 태안군 태생으로 1905년 을사늑약 체결 뒤 미국으로 건너가 1907년 대동보국회를 결성했다. 1909년엔 네브래스카주에 한인소년병학교를 설립하는 등 미주 지역에서 국권회복 및 항일독립운동을 벌였다. 고인은 1919년 ‘3·1운동’의 계기가 된 파리평화회의 청원대표 파견 결정 등에도 참여했고, 이후엔 멘티카 지방에 국어학교를 열어 한인 어린이들을 가르쳤다.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됐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