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다양한 기능 갖춘 복합체 형성하는 원천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윤동기 화학과 교수팀이 연성 소재 중 하나인 액정 고분자의 자기조립을 활용해 다공성 액정 고분자 구조체를 제작하고, 여기에 다양한 기능성 나노 입자를 도입해 복합체를 형성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또한 두 가지 이상 나노 입자들을 도입하는 전략을 제시해 다기능성 복합체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윤동기 화학과 교수팀이 연성 소재 중 하나인 액정 고분자의 자기조립을 활용해 다공성 액정 고분자 구조체를 제작하고, 여기에 다양한 기능성 나노 입자를 도입해 복합체를 형성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다양한 기능을 바탕으로 여러 첨단 영역에서 활용 가능하다.
액정 고분자는 높은 내열성과 강도를 지녀 광학 필름이나 코팅 소재로 응용됐는데 최근에는 가스 및 액체 흡착, 약물 전달, 센서 기술 등 분야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표면 개질, 공간적 한정, 빛, 전기장에 의해 배향이 쉽게 조절되는 액정의 특징을 활용해 액정 고분자 기반 다공성 구조체를 제작했다.
이를 매트릭스로 페로브스카이트, 금속유기골격체 등 다양한 기능성 나노 입자를 도입해 유-무기 복합체를 제작했다.
연구팀은 또한 두 가지 이상 나노 입자들을 도입하는 전략을 제시해 다기능성 복합체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기존 다공성 고분자 기반 복합체 제작 연구의 경우, 하나의 기능성 입자를 도입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두 가지 이상 기능성 도입 연구는 부족하다
연구팀이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다기능성 복합체는 서로 다른 나노 입자들의 기능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어, 기존 기능성 입자들의 활용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윤동기 교수는 “이 기술은 기존에 알려진 대표적인 무기 입자들을 액정 고분자를 통해 한 번에 제조, 포함할 수 있는 '올인원 솔루션'”이라며 “오염물질 제거, 안정된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차세대 통신용 인쇄 회로 기판 제조 등에 다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에 지난 11월 22일 자 게재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야, ODA 줄여 'R&D 예산 증액' 가닥
- '알리 되팔기' 관세포탈 사각지대 우려
- 네카오 사전규제… 플랫폼법 만든다
- [5G 기반 조선해양 스마트 통신플랫폼 및 융합서비스 개발사업] 유대승 ETRI 울산지능화융합연구
- 울산시, 국산 항해통신기자재 6종 국제인증 획득
- 어떻게 이 추위로 '와장창'…테슬라 뒷유리 파손 사례 이어져
- '앱스토어 분쟁' 구글, 9100억원 지급 합의… 인앱결제 장벽 제거
- [제2철도교통관제센터] 인적오류 방지하고 국가비상대응력도 강화
- [제2철도교통관제센터] 스마트 철도 관제 '첫발'…2026년까지 시스템 구축 완료
- 세계 최초 5채널 수신시스템 KVN 4호 고주파 첫 신호검출 성공